매시브한 큐브들이 감각적인 균형미를 이루는 씨지엠 하우스는 건축주의 두가지 큰 요구사항에서 시작합니다. 요구사항은 어른들 및 아이들의 그룹핑 커뮤티니가 가능한 퍼블릭 스페이스와 각 개실간의 독립성이 보장되는 거주환경 입니다. 이러한 공간 계획은 은유적이지 않은 즉각적인 공간구성을 바탕으로 시작 됩니다. 먼저 건축가는 구분이 가능한 개실을 별도의 큐빅으로 나누어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큐빅으로 나누어지는 외부공간을 다시 다양한 그룹 커뮤니티가 가능한 공용공간으로 리디자인 합니다. 이것은 주변환경과 다양한 방향에서 조우함으로써 주변환경에 흡수되는 공간적 특징을 만들어 냅니다. 그래서 그런지 주거형태는 마치 주변에 널려 있는 바위덩어리를 많이 닮아 있습니다. 이렇듯 인공적이지만 자연적인 주거공간 배치에..
베스트셀러 로지틱스 센터는 유럽의 유명한 의류브랜드 물류를 담당하는 회사 입니다. 산업형 빌딩의 전형적인 예시를 목표로 계획된 건축물은 물류 기능을 만족시키는 공간을 설계하는 것은 물론이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아이이텐티를 갖는 건축물을 지향합니다. 그리고 또한 지속가능한 건축을 지향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면에서도 충실히 솔루션을 찾아 내고 있습니다. -재활용 마감재, 우드 클래이딩 시스템, 대형 스케일의 그린 루프, 고효율 기계설비의 사용- 이러한 설계환경은 모든 작업장이 균질한 환경 속에서 쾌적하고 안전하도록 유지시킵니다. 베스트셀러 로지틱스 센터가 유럽 물류회사의 표본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reviewed by SJ The new logistics centre, located on th..
하늘 저 구름 한조각을 사로 잡습니다. 스카이 캐쳐 하우스 외벽에는 창문이 없습니다. 외부에서는 내부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없습니다. 메인 출입구에 디자인된 격자문을 통해 진입한 내부 공간은 가운데 하늘로 열린 중정을 기점으로 플로워 투 실링 글래스로 내부로 열린 주거공간이 중정을 감싸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거공간의 각 개실은 베란다와 외부와 관계속에서 조정되며 중정과 소통합니다. 스카이 캐치 하우스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일까요? 제목처럼 하늘을 한폭의 프레임으로 담아 내는 중정을 극대화 하기 위함 일까요? 단지 그것뿐만은 아닐껍니다. 도심 속 자연과의 조우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선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reviewed by SJ the 'sky catcher ho..
Mexican firm Fernando Romero EnterprisE (FREE) has won a competition to design a chapel in Miami with plans modelled on the pleated fabric gown of religious figure the Lady of Guadalupe. As a Roman Catholic icon of the Virgin Mary, the Lady of Guadalupe is a popular image in Mexican culture and the architects explain how they were invited to design a Catholic Church devoted to her image. The pro..
타워 비원은 사실 호텔로 계획되었습니다. 그랬던 계획과는 달리 대지 조성단계에서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유물이 발견되면서 건축물의 용도를 호텔에서 주거와 오피스로 변경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주요한 구조체-각 객실을 이루는 주요한 벽식구조-는 완성단계에 있었기에 기존 호텔유닛을 이용한 새로운 계획안이 진행되었습니다. 기존 객실을 통합 및 분리하여 각각의 다양한 평면으로 발전시키는 계획안은 5개층의 오피스 구역과 7개층의 공동주거 구역으로 나뉘면서 각각 특성있는 공간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중앙에 위치한 계단실과 복도를 기준으로 32스퀘어미터 원룸형태의 주거와 2개의 기존 객실을 이용한 60스퀘어미터 주거타입이 공존하는 평면은 공동주거 기준평면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여기에 오피스 기준층은 2개 내지 3개의 기존..
건축은 필요에 의해 실사용 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따르는 잉여공간을 생성하기도 합니다. 태생적인 한계에 의해 불필요한 공간으로 정의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공간 속에서 우리는 전체 공간이 숨쉴 수 있는 숨구멍을 찾기도 합니다. 여기 풀하우스는 물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이러한 숨구멍을 표현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잉여공간은 남겨져 필요없는 공간이 아니라 공간과 공간을 버퍼해주는 버퍼스페이스이자 서로의 독립성을 유지시켜주는 필터존 이자 세미 프라빗 스페이스로써 공간의 숨통과 같은 역활하는 곳을 가르킵니다.- 그리고 도시와의 서로 다른 관계로 인하여 각기 다른 볼륨과 객체성을 지닌 3개의 볼륨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곧 3개의 볼륨은 동일한 환경 속에서 서로를 인지하며 하나의 바운더리로 변화, 동기화 됩니다. 이..
건축이 할 수 있는 디자인의 최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최대한 자연과 닮아가는 것입니다. 그루지아 카즈베기 아름다운 풍경 속에 자리 잡은 룸스 호텔은 조금은 이국적인 건축으로, 조금은 자연과 대조적인 건축으로 자연과 동화되는 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전형적인 소비에트 연방의 관광센터와 같은 외형은 주위자연환경과 대조를 이루는 인공적인 선들의 집합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호텔의 각 객실로 부터 외부로 돌출된 발코니를 구분짓는 메탈 파티션으로 호텔 파사드 이미지를 결정짓는 주요한 디자인 요소로 사용되어 호텔의 외형적 특징인 심플함과 기하학적인 볼륨을 정의합니다. 이러한 심플하며 반복적인 패턴 속 건축은 자연을 닮아 가며 자연 속으로 동기화 되기 시작합니다. -호텔을 구성하는 주요한 외장재인 나무를 이용하여 자연..
이번 프로젝트는 2009년 지진으로 대부분의 문화시설이 파괴된 라퀼라 시티의 문화재건 프로젝트 중 하나로 템퍼러리 오디토리옴 프로젝트 입니다. 이제는 과거의 기억만 남겨진 광장속 대지는-이전의 성곽과 극장이 있던 자리- 문화재건의 시작이자 구심점으로 중요한 장소가 되어집니다. 템퍼러리 오디토리옴은 총 3개의 볼륨으로 중앙에 위치한 거대한 큐브내부에 268명을 수용하는 오디토리옴과 화장실 그리고 공연팀을 위한 개인 드레스룸으로 구성됩니다. - 큐브의 형태는 전면 광장방향으로 30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외부 전면에서 바라볼때는 건축물의 역동적인 공간감을 내부에서는 다양한 퍼포먼스의 테니컬 스페이스 확보와 관객들의 눈높이를 확보하기 위한 형태입니다.- 3개의 큐브는 우드팀버로 구조화 되며 외부에 다양한 컬러의..
타임리스 큐브는 아프카니스탄의 새로운 시간을 약속합니다. 그리고 잃어버린 시간의 조각들을 하나 둘씩 새롭게 재조합함으로써 분절된 문화 기억을 되살리는 장소를 제안합니다. 그렇습니다. 새롭게 제안되는 아프칸 뮤지엄은 아프카니스탄의 풍부한 문화유산과 고귀한 정신을 담는 장소로써 현재 전쟁으로 황폐해져 단절된 문화의 끈을 연결합니다. 전쟁은 이 지역의 문화를 수많은 조각으로 나누었습니다. 이러한 파편을 다시 하나하나 덧 붙여 -이슬람 전통 문양과 패턴에 따라 재조합- 모놀리틱 볼륨으로 구체화됩니다. -전쟁으로 조각난 문화를 큐브에 다양한 형태의 패턴으로 투영시킵니다.- 이러한 상징성은 아프칸 뮤지엄을 이 지역의 문화를 대표하는 심볼로 랜드마크화 하며 시간과 역사의 단절을 다시 재생하는 공간으로 정의됩니다. r..
공정거래를 위한 첫단추는 힘없는 로컬 주민들이 거대한 유통조직에 대응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통한 계몽활동에서 시작합니다. 여기 까시아 쿱 트레이닝 센터는 전세계 시나몬 생산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인도네시아 전원 마을에 새롭게 자리 잡은 커뮤니티 시설로 마을주민들의 교육과 각종 사회활동을 보장하는 공간입니다. 여기 트레이닝 센터를 통해 마을주민들은 정기적인 교육과 각종 커뮤니티 활동을 체험 함으로써 그동안 오랜 노동시간에도 불구하고도 적은 임금으로 대물림되는 가난의 사슬을 벗어 날 수 있습니다. 까시아 쿱 트레이닝 센터는 화려하지 않습니다. 이지역에서 생산되는 벽돌과 나무는 센터를 구성하는 주요한 재료로 사용되며 연면적 600 스퀘어미터로 중앙에 커다란 중정을 가진 ㅁ자 형태의 건물로 구체화됩니다.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