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공원을 거닐듯이, 유쾌한 산책이 시작된다. 이번 오피스랜드스케이프는 직원들과 고객들간의 간극을 좁히는 밀착된 내부환경 구축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인테리어 디자인이 적용된다. 먼저 트리로 부터 모티베이션된 우드 스트럭쳐 시스템은 회사이미지의 재고와 디자인 방향성에 초첨을 맞추며 유리 파티션과 소음보드 및 공간을 구획하는 드라이월 시스템으로 각 부서간의 프라이버시와 오프닝의 적절하게 조정되도록 디자인 된다. 특히 각 레벨공간에 위치한 소셜 스페이스; 미팅공간은 독립적인 부스형태로 유연한 복도를 따라 생성, 직원과 고객들의 원활한 커뮤니티 보장과 효율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생성시킨다. 여기에 파스텔 톤의 컬러 코드는 유연한 내부 공간의 밝은 이미지를 배가 시킨다.reviewed by SJ,오사 As the..
스마트 펍은 하이퀄리리 푸드 레스토랑과 이벤트바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크라요바, 프레이지바 호수 근처의 아름다운 풍경을 가진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은 '요소와 재료의 대비'를 컨셉으로 하는 컴템퍼러리 일렉틱-인더스트리얼 스타일로 디자인 된다. 따뜻한 물성을 지닌 우드와 재활용 벽돌은 화이트 메탈 및 세라믹 타일과의 대비, 글로시 요소와 거친 자연질감의 우드플로어와의 대비 등 반복적인 대비를 통한 공간의 다양성을 담아낸다. 그리고 토넷체어와 안락 쇼파 그리고 화려한 타일 패턴으로 디자인된 바 영역은 고전적인 레스토랑과 병렬로 접한, 또다른 캐릭터를 내부에 생성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매력적인 공간 포인트는 레스토랑 중심부 천장에 매달린 2미터가 넘는 샹들리에의 압도적인 화려함이 선사하는 따스한 분위기가 아..
공용과 사적공간에 대한 경계의 합리적인 해법은 이번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건축환경에 고스란히 반영되며, 합리적인 지속성을 주거의 첫번째 목표로 프로젝트는 시작된다. Geneva 와 Lausanne 사이에 위치한 주거블록, 총 5개 중 2개의 블록이 첫번째 단계로 완공된다. 지역적 특징을 반영한 도시 가이드 라인은 공동주거의 포괄적인 건축을 규정짓는 레이아웃으로 적용, 기존 도시공간과 연속된 도시환경을 완성한다. 여기 두개의 블록은 각기 다른 성향, 어반 멀티 유닛 주거 타입과 개별적인 빌라를 지향하는 타입으로 서로 다른 아파트먼트 타이폴로지를 제안한다. 4개층, 16세대는 듀플렉스 또는 싱글타입의 스튜디오에서 6개 룸으로 구성된 주거세대로 완성되며 단지 내부에 설치된 칠드런케어 센터와 지하 주차장으로 연결..
아르헨티나 코도바 바리오 귀에메스에 위치한 중정형 공동주거, 시티 블록 센터는 스튜디오 및 주거가 혼합된 총 12세대로 젊은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 사진작가, 음악가, 배우들을 위한 거주공간으로 제안된다.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큰 주제인 도심공동생활은 내부 중심부에 위치한 중정과 이를 연결 및 구분시키는 테라스의 건축적 어휘를 통해 실현된다. 각 유닛을 버퍼하는 테라스의 슬라이딩 도어는 중정을 구성하는 조경과 마찬가지로 나뭇잎을 연상시키는 형태로 디자인 되며 내외부를 확장 및 소통시키는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는 각 주거공간을 디자인하는 자연소재의 마감재 -노출콘크리트와 오가닉형태의 목재로 마감된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며 공동주거의 지향점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모던하며 세련된 공간이 주는 정..
자연으로 부터, 자연을 향해, 자연을 담는 가구. mosses and lichens are primitive organisms that grow in damp locations such as rocks and trees. they form the lowest layer of vegetation and are equipped with chlorophyll, giving them a green color with varying degrees of intensity. with respect to this natural occurrence, alcarol, the design duo of andrea forti and eleonora dal farra, traversed the terrain of the ita..
여행자를 위한 피난처, 라봇 투어리스트 캐빈은 노르웨이 북단 노들랜드의 적나라한 자연환경의 조우를 위한 베이스 캠프-피난처-로 제공된다. 척박한 자연환경과의 공생은 피난처를 외부환경 -강한 바람과 대량의 적설량-으로 부터 자생적인 건축환경 구축을 요구하며 박공지붕형태의 자연순응형 공간을 완성한다. 두개의 공용공간을 기점으로 30개의 침대는 7개의 침실로 구성되며 주방과 식당을 겸비한 메자닛 공간과 긴 벤치와 의자가 놓여진 거실공간으로 구성된다. 지역환경의 단면을 보여주는 듯한 외부 마감재는 자연과 건축의 중성적인 관계를 잘 드러내는 내츄럴한 분위기를 생성한다. 자생적인 건축환경은 별도의 전력공급없이 태양광을 이용한 내부 조명과 두개의 스토브를 통한 난방으로 구축된다. (두개의 스토브는 각 공용부에 설치,..
Malgorzata Knobloch and Igor Wiktorowicz of WITAMINA D have designed the 1/2 Stool.The “1/2” stool is made of half of the tree trunk. The unique character of wood is contrasted with the technical, laser cut metal elements. The stool is very stable and durable. Thanks to the application of a protective sealing technique to the wood and metal the stool can inhabit both inside and outside. It can a..
잉글랜드 사우스햄튼에 위치한 팝업 우드 시어터는 Nuffield Theatre극단의 공연을 위한 가시설 구조물로 무대와 관객과의 밀착된 공연환경 구축을 위해 아레나 타입으로 디자인된다. 흡사 축구장과 퍼포먼스 홀이 결합되어 있는 듯한 공간구조를 보인다. 이는 극장 스페이스의 드라마틱한 타이폴로지 생성을 컨셉으로 잉글랜드 축구문화에 매치데이를 연상시키는 다이나믹한 관중석 배치로 완성된다. 그리하여 구축된 극장은 심플하며 경제적인 -한대의 크레인의 운용을 통해 구축가능한- 방법론을 구조계획에 적용, 우드팀버를 이용한 빔앤 포스트 모듈 시스템으로 완성된다. 규칙적인 모듈 속에 건축의 리드믹컬함을 동시에 구현하는 디자인은 임시공간의 한계성을 넘어 지속적인 커뮤니티 스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reviewed by ..
현대 모던 예술작품의 전시와 다양한 소셜활동 보장을 위한 아스펜 아트 뮤지엄 프로젝트의 독특한 외형적 특징은 건축가; 2014년 프리츠커 수상자 시게루 반의 일련에 작업속에서 지속적인 건축을 구현한다. 공간의 본질 탐구를 위한 건축의 심플함은 기본요소의 유기적인 결합 속에서 발현되며 그를 통해 합리적이며 효용적인 건축을 탄생시킨다. 이는 대나무 바구니 제작시 한켜 한켜를 서로 위아래로 교차하며 단단하게 조직화하는 것처럼 파사드 디자인을 패턴화함으로써 내측에 위치한 글래스 커튼월과 더불어 외부환경을 필터링하는 더블스킨으로 제공된다. 공간 본질의 탐구를 통해 실현되는 실용적인 건축은 자의적인 심미적 디자인과는 달리 건축에 대한 합당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구축하게 한다.reviewed by ..
헝가리 부다페스트 서측으로 40km 떨어진 Váli 계곡에 위치한 아레나 리뉴얼 프로젝트는 헝가리의 위대한 축구 영웅, Ferenc Puskás (페렌츠 푸스카스)에게 헌정하는 경기장으로 2006년에 새롭게 조성되었다. UEFA 규정을 준수하는 세계적인 경기장을 목표로 다음과 같이 확장 및 리뉴얼 된다. 좌석 간 거리가 1미터로 여유로운 일반 관중석 3,400석과 특별 게스트를 위한 420석 규모의 VIP 부스, 그리고 취재기자 및 각종 언론 매체가 위치한 프레스센터가 서측 윙에 설치된다. 무엇보다 경기장의 독특한 외형적 특징을 보여주는 루프디자인과 전면 파사드 디자인은 헝가리의 고유한 오가닉한 형상을 재구성하여 고유한 캐릭터 창출과 관중들의 안락한 경기관람을 제공하도록 도와 준다. 콘크리트 주각 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