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이를 위한 오픈 하우스, 독일 뮌헨에 신축된 "얼리 엑셀런트 센터"는 아이들, 부모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가족을 위한 공간으로 정규교육과정과는 차별화되는 열린 교육을 지향한다. 무엇보다 자연과의 친밀한 경험을 위한 건축환경은 적극적인 외부환경 유입을 위한 다양한 장치로 120명 가량의 아이들에게 쾌적한 교육환경을 제공한다. 먼저 내부에 자리한 각 실은 남측에 위치한 정원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중복도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각실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하도록 사이사이에 공용공간을 삽입한다. 이를 통해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원활하게 유도한다.- 그리고 중복도의 지붕에 3개의 독특한 천창을 설치, 자연환기와 채광을 유도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내부 공간은 이 지역의 나무를 가공한 외장재 -버티컬 우드 바-..
Oscar Farinetti, the founder of Eataly, recently reversed an established principle: “today, we must act global and think local”.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Raiooo, which employs local knowledge and materials to export worldwide a product in which technology, aesthetic and function are design paradigms. Conceived by MA Integrated Design students of Viana do Castelo Polytechnic, Raiooo is a veh..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뉴 내셔널 갤러리가 연상되는 새로운 페스티발 홀은 독일 Neckartailfingen 지역의 컬쳐밴드 형성을 위한 구심점으로 주변자연환경의 밀착된 건축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페스티발 홀은 크게 두개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지역의 다양한 이벤트를 수용하는 다목적 홀과 그 배후 지원시설; 솔리드 스페이스와 주변 자연환경의 밀착된 경험을 유도하는 투명한 글래스 파사드가 위치한 컬쳐홀과 방문자 지원시설; 오픈 스페이스로 구성된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의 인상적인 건축환경을 표현하는 루프 스트럭쳐 시스템은 주변 자연환경으로 부터 유추된 이미지-숲속 수많은 가지들이 겹쳐지는 이미지-를 건축적 어휘로 재구성, 격자구조-다이아몬드 형태-로 이루어진 우드 팀버로 구조화 된다. reviewed by S..
패션사진작가를 위한 단독주거, 프레임 하우스는 상습 침수지역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을 반영, 지면으로 부터 80cm 들려진 주출입구와 방수처리된 목재를 사용한다. 전면 도로변을 마주하는 싱글 글래스는 FRP 프레임웍이 랜덤하게 적용된 강화콘크리트와 방수처리된 목재패널과 함께 하우스의 심플한 파사드 디자인을 조화롭게 완성한다. 그리고 외부에 위치한 목재패널 -티크우드: 인도네시아 수종으로 자외선을 비롯한 물에 강해 외부 목재로 사용된다.-은 내부로 유입되며 내외부의 연속된 시퀀스를 연출한다. 2층으로 천장재 뿐만 아니라 바닥재, 이동식가구 및 고정식가구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공간을 동질화 한다. 그리고 거대한 채광창을 통해 유입된 빛은 다시 여기-티크우드로 생성된; 바닥, 벽, 천장-에 아름다운 글라데이션을..
Berlin studio Läufer + Keichel has designed a lightweight chair for German manufacturer Schneiderschram based on the wooden crates used to transport fruitThe design duo Julia Läufer and Marcus Keichel reinterpreted the simplicity of the modest fruit crate to develop a solid ash chair using computer numerically controlled (CNC) milling technology.Slats on the seat and back of the Satsuma chair ar..
바로셀로나 해변가 산세바스찬에 위치한 해변바는 풍부한 자연경관을 즐기는 사교모임의 장으로 열린 공간을 지향한다. 해변바 및 레스토랑을 상징하는 레드컬러는 이지역, 해변가에 위치한 각종 음식점들이 즐겨사용하는 오렌지블랙과 밀리터리 그린과 함께 내부 내츄럴 우드 테이블, 위키램프 등 다양한 가구 및 소품과 어우러 지며 강렬하면서도 아담한 그리고 아늑한 소셜 스페이스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이곳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신선한 음식과 칵테일을 열린 공간 속에서 즐길 수 있게 된다. reviewed by SJ,오사 Sandra Tarruella Interioristas have recently completed La Guingueta, a beachside bar and restaurant located at San..
풍부한 자연환경은 이번 하우스 프로젝트를 완성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건축과 인간이 지향해야할 지속성을 제공하는 바탕이 된다. 인공적인 연못과 대서양사이에 위치한 하우스는 대서양의 풍부한 자연 경관을 확보하는 동시에 4명의 아들 및 손님들을 위한 각 개실을 포함하는 열린공간으로 다음과 같은 시설물과 함께 설계된다; 잔디, 수영장, 파빌리온(풀 하우스) 차고, 스포츠 코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스를 구획하는 외부경계는 내부공간의 합리적인 배치를 통해 조닝된 공간 및 기능에 따라 설정, 조망확보 및 내외부의 밀착도 증대를 위한 개방된 파사드 디자인으로 우드판넬과 코르텐 스틸의 마감을 통해 완성된다.reviewed by SJ,오사 Sandwiched between a freshwater pond and the ..
건축과 자연의 경계는 적극적으로 유입된, 자연을 모방한 건축의 어휘를 통해 상쇄되며 이를 통해 구현된 건축공간은 자연과의 밀착된 환경을 거주자에게 제공한다. 12년 일본 미노시에 건립된 미노 보육원은 이러한 건축환경을 연장, 대대로 숲과 나무와 함께한 일본의 전통적인 특성, 가구식 목조건축의 현대적인 재해석을 통해 지금과 과거를 여기에서 링크 시킨다. 이는 아래와 같은 몇가지 목적을 목표로 진행된다. 저탄소 거주환경 / 사토야마 지역 인적자원 활용 / 삼림과학과 문화 / 바이오매스 자원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 우드 및 팀버의 활용 / 재활용 재료 사용 / 지역 전통 구축기술 적용 상기 내용을 기본원칙으로 하는 '지역소비를 위한 지역생산 유도'의 혁신적인 건축은 건강한 지역문화 정착을 위한 지속적인 ..
Aanischaaukamikw원주민 문화센터는 지역 원주민의 전통과 역사를 현재에 전송하는 매개공간으로 시간과 장소의 영속성을 지금, 또는 다음 세대를 위해 전달한다. 그들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을 차용, 재해석한 센터와 부속건물들은 중심부에 길다란 원뿔 형태의 전시홀을 기점으로 방사형태로 배치된다. 국제적인 박물관 설계 룰을 따라 디자인된 전시홀은 박물관 기능과 다양한 소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으로 어르신들의 재미난 이야기 또는 뮤직 쇼, 댄스 등 다양한 이벤트 지원과 원주민들의 다양한 생활상을 볼 수 있는 전시장으로 구성된다. (그당시 그들의 사냥기술, 예술, 수공예품들이 그들의 언어로 전시 된다.) reviewed by SJ,오사 Aanischaaukamikw Cree Cultural Insti..
다슌 파빌리온이 지향하는 소통지향형 공간은 건축과 공용공간 간의 간극을 좁히는 밀착된 건축환경 구현을 통해 주변환경과 실시간으로 동조되는 공간을 생성한다. 먼저 공원 내 도로를 따라 유연한 곡선형태로 배치된 파빌리온은 볼록한 아크; 도로에 평행하게 면한 리니어한 내부공간에 티하우스와 키프트삽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내부로 수렴되는 건축물의 방향을 따라 내부에 -건축물의 끝단- 도시공원의 안내센터와 관리사무소를 위치 시킨다. (화장실은 티하우스, 키프트삽과 안내센터 사이에 위치하며 기능적인 효용성과 접근성을 확보한다.) 이는 공용공간에 대한 기능적 충족과 관리영역의 보완성을 확보한다. 여기에 도로에 면한 우드벤치; 우드데크는 공원내 공공시설물로 제공되며 상부에 위치한 캐노피를 통해 거주성 또한 확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