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연결하는 브릿지, 네덜란드 베르겐에 위치한 플로팅 브릿지를 통해 우리는 18세기 방어의 목적으로 구축된 요새에 쉽게 접근 할 수 있게되었다. 이러한 근본적인 이유는 이곳을 찾는 관광객 뿐만아니라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이벤트를 지원하는 소셜스페이스로 제공되는, 그래서 활용도가 높아진 요새의 원활한 접근성 확보를 위해 시작되었다. (이전에는 오로지 배로만 접근이 가능하였다.) 물에 잘 썩지 않는 아코야 우드를 이용한 이중구조로 수면위에 부유하는 브릿지의 유연한 디자인은 보트의 운행루트를 기억하며 80미터 길이로 유유히 자리한다. 마치 보트가 지나간 물길을 보고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아코야 목재(Accoya Wood): 네덜란드 Accsys Technologies사에서 개발한 친환경 목재로,..
드라마틱한 시퀀스를 자아내는 로모큐브의 건축환경은 외부와 내부의 밀접한 관계가 생성하는 안락하며 쾌적한 거주공간을 거주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디자인된다. 혁신적 형태는 정교한 디테일의 만남으로 루가노 호수를 내려다 보는 경관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급스러운 주거의 오픈 플랜 구현을 도와준다. 무엇보다 확장된 내외부의 접점과 투명, 불투명의 반복적인 공간 구현은 이곳을 풍부한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매혹적인 공간미 창출을 통해 거대한 조각품으로 거주자에게 선물하게 된다. reviewed by SJ,오사 MPA Architetti have designed the Lomocubes building in Lugano, Switzerand. Lomocubes is a new innovative and sophisti..
트리하우스가 추구하는 지속성은 경제적인 효율적인 건축의 거주환경 개선과는 차별화된 자연 공간 형성과 소극적인? 건축의 개입을 통한 자연과의 동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0미터 높이에 매달린 타원포트 형태의 거주공간은 오크나무와 4개의 인공적인 스트럭쳐를 통해 지지되며 2개의 사다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접근루트는 3.8미터에 위치한 하부 테라스와 10.6미터에 위치한 상부 테라스를 구분 지어 연결하는 사다리로, 풍부한 자연환경과의 접점을 최대한 증폭시키는 아웃도어 스페이스; 테라스를 수직으로 연속, 배치한다. 타원형태 주거의 외형을 마감하는 우드와 징크 판넬은 부유하는 달걀형태를 주변 환경과 조화시키는 동시에 트리하우스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완성시킨다. -건축가의 연속적인 시리즈 중..
일본 전통주거 방식 다다미방의 현대적 재해석, 사이타마현 한적한 교외에 자리한 단독주거 '하우스 S'는 총 3명의 거주자를 위한 공간으로 라미네이티드(나무를 얇게 켜 적층한, 접합판재) 우드 빔을 7.8m 모듈 스팬의 격자로 구조화 한다. 이를 통해 구분된 생활공간은 저층부에 거주자들의 공용활동을 보장하는 거실, 식당 및 주방을 배치하며 그 위로 각 거주자의 개인공간, 침실을 배치시킨다. 2차원적 평면 그리드는 주거 중심에 위치한 보이드 스페이스와 함께 3차원 큐빅으로 확장 된다. reviewed by SJ,오사 located in a peaceful residential suburb of saitama, japan, hiroyuki shinozaki architects has designed ‘hous..
with multiple layers of stacked glass and wooden slices, duffy london has built ‘the abyss table’, replicating the dramatic depths of an indigo ocean. the design creates a geological cross-section of the sea, completing the table as a 3-dimensional model of a geological map. ‘I was looking into sheets of thick glass at my glass manufacturer’s factory, and noticed how the material darkened as the..
사우스 브리태니 고등학교 공학동의 모놀리틱한 형상은 두개의 핵심구역; 원형극장과 카페테리아를 통해 구현되며 이를 통해 학교의 건축적 캐릭터를 새롭게 정의하게 된다. 여기에 열린 교육과 상호소통 공간의 지향은 학생, 교수, 연구원 그리고 직원들 간의 긴밀한 상호교류를 증진시키며 교내의 긍정적인 시너지를 발생, 보다 진보적인 교육공간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건축환경은 중첩된 공간들의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특히 콘코스를 중심으로 배치된 교실 및 강의실 그리고 다양한 공용공간들이 서로의 네트워크 속에 발생시키는 역동적인 에너지를 통해 실현된다. 무엇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건축이 지향하는 점은 열린 교육을 위한 훌륭한 매개체로서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사람과 공간을 통합한다는 점이다. reviewed by SJ,..
두개의 돔으로 부터 시작된 파빌리온의 디자인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속된 비정형태로 디자인되며 다시 이를 구현하기 위한 243 조각의 패널부재로 패브릭케이션 된다. 무엇보다 파빌리온의 가시화는 오리지널 형태를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이형부재를 이용한; 모듈화된 부재의 반복적인 패턴 결합 현실적인 대안공간으로 창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하여 완성된 파빌리온은 125sqm 면적의 오픈스페이스를 로봇의 CNC커팅으로 재단된 플라이우드를 이용하여 대형 셀구조로 가시화 된다. (50mm 플라이우드는 243개의 부재, 7600개의 개별적인 핑거포인트로 결합, 단열 및 방수성능을 만족시키는 클래딩 시스템으로 완성된다.) reviewed by SJ,오사 serving as an architectural protot..
장소의 역동적인 시퀀스를 자아내는 머큐리 극장의 외형적 특징은 내부 포이어로 부터 전면 광장으로 확장되는 버티컬 우드 블레이드의 물결형태로 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차럄 및 보도를 통해 접근하는 방문객들에게 각기 다른 움직임과 속도감을 전달함으로써 건축물의 고유한 캐릭터를 부여받는다. 또한 내부 트랜스포머 홀은 총 4가지 타입으로 변신한다. 극장, 카바레, 패션쇼 또는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무대를 8개의 유압머신을 통해 무대부를 낮게 또는 높게 설정하며 프로그램에 맞도록 변경한다. reviewed by SJ,오사 Luxury Village The Luxury Village shopping complex occupies an elongated site of 600 m along Rublyovo-Usp..
최소한의 건축행위는 자연과의 접점을 최대한 보장하며 자연과 함께 지속성장하는 환경을 구현한다. 작은 오두막, 거주를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 지향하는 지점은 먼저 기존 대지; 자연에게의 최소한 충격 (인공적인 구조물로 인한 대지 훼손)과 친자연적인 재료의 사용을 통해 시작된다. 이는 공간구현을 위한 스틸 스트럭쳐를 지면으로 부터 들어 올리며 주요 마감재를 주변 나무와 조화를 이루는 우드 슬래이트 및 초가지붕으로 완성시킨다. 그리고 모듈화된 스틸 스트럭쳐의 사용을 통해 공간의 모빌리티; 이동성 확보 뿐만아니라 건식공법을 통한 최소한의 건축행위와 친자연적 재료의 사용, 결합을 만들게 된다. (가공하지 않는 자연적 재료는 아무래도 외부환경에 취약하며 가공 및 화약처리한 제품보다 사용연한 또한 짧다. 사용연한은 짧..
3달의 제품 제작기간, 12달의 건축시공기간 그리고 20,000개의 칫솔, 2톤이 넘는 청바지, 4,000개 DVD케이스, 2,000개 플로피 디스크, 2,000 사용된 카펫타일은 253명에 달하는 학생들과 그의 지도교수들을 통해 구축된다. 재활용 재료를 이용, 반영구적인 지속가능한 공간 구축을 목표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브링톤 대학, 예술학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연구실험으로 관련 교수를 포함한 학생들 그리고 디자이너, 예술가, 마케터, 시공자, 과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포함하는 워크샵을 통해 진행, 구축된다. 영국 내 첫번째 실험적인 빌딩으로 과잉생산된 재료, 폐기된 플라스틱, 산업 구축과정에 발생된 산업 부산물, 그밖에 주거와 산업현장에서의 폐기물을 이용함으로써 이번 프로젝트를 위한 추가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