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창고, 하이웨이 서포트 센터는 네덜란드 드렌터 지방과 Rijkswaterstaat 도로의 유지 보수를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제안된다. 크게 구성은 소금을 위한 창고; 콘크리트 바닥과 벽 그리고 거대한 우산? 같은 우드 캐노피를 통해 건조함을 유지하는 창고와 그린루프로 뒤덮이 리니어한 두동의 다목적 테크니컬 시설과 창고로 구성된다.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위한 건축은 대지위 기존 나무를 단순히 제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건축물의 구조체를 위한 기둥으로 주변 숲을 모방한 휴식공간을 구획하는 구조체로 재활용된다. reviewed by SJ, 오사 Along the A28 in Assen, the new highway support center has been completed. Contractor Gev..
애견을 위한 디자인 가구, 포근한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하우스는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델링된 데이터, 형태를 패브릭케이션하기 위해 프레임을 추출 CNC 커팅을 통해 절단후 제작한다. 단순하지만 감각적인 디자인은 인테리어 소품으도로 훌륭히 사용될만 하다. sympathy for stray cats and dogs has led pote, a korean design studio, to create ‘fishbone house,’ a clean and simple dwelling for animals. the aesthetic came to mind after seeing the skeletal form of a fish in a market. along these lines, the architectu..
두개의 상징적인 브랜드; 디즈니, 스타벅스의 협업으로 탄생한 스타벅스 플래그쉽스토어는 디즈니가 선사하는 마법같은 공간을 테마로 두개의 스토리라인을 하나의 공간 속에 투영한다. 물리적으로 이격된 디즈니랜드와 스타벅스를 하나로 묶는 작업은 매장내 설치된 70인치 터치스크린을 통해 링크, 인터렉티브 스페이스를 창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디즈니랜드의 곳곳을 살펴보며, 고객들은 직간접적인 체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스타벅스의 아이텐티를 정의하는 각종 디자인 그래픽은 다양한 방법으로 벽면에 디스플레이 되며 이곳만의 고유성을 이야기 한다. 이번 플래그쉽스토어의 또다른 특징은 LEED를 만족시키는 건축환경 구축으로 지속성장 가능한 공간 구현은 물론 쾌적하며 안락한 커뮤니티 스페이스를 방문객들에게 ..
일본 신가에 위치한 소호주택은 '상점같은 주거'를 컨셉으로 저층부 카페같은 일식당과 상층부 주거공간 결합으로 이루어 진다. 공간 결합의 시작은 장소에 대한 기억에서 시작, 50여년전 일본전통 상가주택이 즐비한 마을의 기억에서 시작된다. 저층부 일식당에서 시작된 공간의 흐름은 상층부 주거공간으로 안락한 거주환경 제공과 디자인 가구와 옷을 판매하는 소품삽으로 양면적 환경을 형성한다. reviewed by SJ,오사 ALTS Design Office have recently completed a home with shop on the ground floor in Shiga, Japan. This plan is a project of the store combination house which is not se..
다라나 미디어 도서관은 경험과 영감의 폭넓은 장을 위한 독창적인 공간; '지식의 나선형 공간'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주변 랜드스케이프의 자연스러운 지형은 도서관 아트리움 내 다양한 램프, 레벨, 스탠드로 통해 연속되며 도서관의 핵심공간으로 인포메이션 및 방향성을 설정한다. 그리고 여기 지식의 나선형 공간이 창조하는 다양한 교육환경은 도서관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함축적인 건축어휘를 통해 필터링, 전달함으로써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풍부한 경험공간 및 소셜공간을 제공한다. reviewed by SJ,오사 Dalarna Media Library is organized as a “spiral of knowledge” identifying a new library culture that stages a..
scatto italiano is a brand of handcrafted bikes created by italian designers giuseppe gurrado and pietro nicola coletta. based on the tradition of ‘made in italy’ the project seeks to establish connections with local craftsmen who have passed down their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family generations. the components all come from a different specialists – the steel columbus frame has been source..
새로운 개발 지역내 위치한 80공동주거는 지역적 성장과 함께 발전하는 지속성장 공동주거를 지향한다. 새로운 도시공원 맞은편에 위치한 필지는 외부환경성을 확보하며 중정을 기점으로 L자 형태로 15*52m 크기의 두개 블록이 배치된다. (각각 북측 도로와 동측 도로에 직교 배치된다.) 각층당 10세대, 총 4층으로 구성된 각 블록은 도로에 면한 7세대와 직교배치된 3세대로, 각 세대는 편복도(외부도로에 면한)로 연결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곳, 공동주거의 건축적 특징을 잘 드러내는 지속성은 다음과 같은 요소 속에 투영, 반영된다. 먼저 지형의 나즈막한 경사면을 이용한 반층(반지하) 높이로 열린 지하주차장은 자연채광과 환기를 확보한다. 외형적, 공동주거 파사드 특징을 보여주는 스틸메쉬 패턴과 우드버티컬은 무채..
새로운 소셜 스페이스; 자이언트 새둥지는 플레이그라운드와 가구가 접목된 설치물로 안락하며 포근한 촉감공간 형성을 통해 다양한 소셜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제작된다. 나무로 제작된 둥지(바운더리)에 채워진 타원형태의 쿠션은 각기 다른 사이즈로 디자인, 디스플레이되며 설치물을 완성한다. -흡사 거대한 새둥지를 연상시키는- 바운더리 크기에 따라 4,5명에서 16명정도의 인원이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제작될 예정으로 휴식, 웹검색, 독서, 러빙, 대화 등등 다양한 활동을 제약없이 제공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Giant birdsnest aka “Giant Birdsnest for creating new ideas” was conceived and created as a prototype for..
유연하며 감각적인 레드컬러의 쇼파는 자연의 또다른 선물 코르크를 이용하여 디자인된다. 부드러운 코르크의 촉감은 쇼파에 안락함을 그 회복력(반발력)은 쇼파에 지속력을 친자연적인 물성은 사용자에게 지속성장 가능한 디자인의 경험을 선사한다. Czech designer Lucie Koldova has designed a sofa for Belgian design brand Per/Use using cork as the primary material "Cork is an incredible material with natural origins. I became familiar with it when I was working at a smaller scale and I liked the texture and the..
학교가 지향하는 열린 공간은 자연과 건축과의 연결, 자연과의 교육공간의 연결을 이야기한다. 계단실 및 램프를 통해 건축물로 유입된 동선은 남측에 위치한 커다란 외부 복도를 거쳐 강의실 및 기타 실로 집적 연결된다.(편복도형) 이처럼 외부복도는 전체 3층 건축물의 파사드 및 공간을 정의하는 주요한 디자인 요소로 교육과 자연과의 연결을 가시적으로(물리적으로) 보여주며 학교의 교육원칙으로 실현한다. 두가지 상반된 파사드는 북측에 인접한 고속도로로 부터 학생들의 수업공간을 보호하는 다크 컬러 파사드 (메탈 판넬로 최소한의 개구부를 허용, 메시브한 디자인을 구현)와 뷰의 확보는 물론 채광을 확보하는 열린 글래스 파사드로 구성된다. 특히 여름철, 남측 파사드는 넓은 복도와 긴 처마를 이용 직사광선을 차단함으로써 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