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턴 상징주의에서 영감을 얻어 탄생한 설화수 플래그샵의 디자이너들은 스파 시설에서 지하를 아울러 루프탑 테라스에 이르기까지 샵 전체를 아우르며 장관을 이루는 황동 조형을 탄생시켰다. 샵 주변을 거니는 방문객들에게 자연스럽게 빛으로 표현한 랜턴의 황동 격자무니가 통합적이면서도 조각같은 조명 설비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인테리어의 나머지 부분 또한 따뜻한 느낌의 재질인 나무와 패브릭으로 마감하였고, 회색의 스톤 타일을 사용함으로써 단단하면서도 빈 공간감을 주고 또한 무거우면서도 가벼운 느낌의 흥미로운 감각을 나타내고 있다. Shanghai-based design studio Neri&Hu Design and Research Office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is st..
해안가 작은 마을에 새로운 베이글 가게가 문을 엽니다.이전 낚시용품 창고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작은 베이커리 카페로 변신합니다. (지역에서 생산되는 밀을 사용합니다.)외부로 노출된 내부공간과 고목은 공간의 기억을 적나라하게 노출합니다. 여기에 새롭게 더해진 백색공간이 현대적인 공간과 기능을 뒷받침합니다. 낡음은 고유한 캐릭터를 생성합니다. architecture in japan: yokohama-based architects ROOVICE have renovated a former fishing supplies warehouse into a bagel shop for the small coastal city of miura. with only a population of 1300, the archit..
Archi-Union는, 낡은 콘크리트와 벽돌로 만들어진 공장 건물의 꼭대기에 작은 나무 조각들로 된 가로장을 확장해보기로 했다. 전시회 공간으로 리노베이션 하기로 결정하면서, 오래된 공장을 그 원래 건물이 가진 특성을 잃지 않으면서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시켜야 하는 숙제를 디자이너는 해결해야 했다. 그렇게 해서, 기존의 벽돌과 콘크리트를 그대로 내외부적으로도 분명히 가시화 하면서 여기에 작은 나무들로 대들보를 세운 듯한 펴면을 상단에 덧붙임으로써 외부면을 통해 그대로 채광을 허용하고 동시에 가시적으로도 부담이 가지 않을 정도의 면적을 더하는 효과를 냈다. Archi-Union Architects has added a slatted timber extension on top of an old concre..
컨테이너를 이용, 구축한 유치원 프로젝트는 50년간 유지된 지역문화 영속을 바탕으로 합니다. 용이한 건축은 지진으로 건물을 보호하는 구조체 역활을 동시에 수반합니다. 내부에 위치한 중정을 기점으로 컨테이너를 적층, 외부로 부터 어린이를 보호하는 보호막 역활을 수행합니다. 외부와 대비되는 내부는 목재로 마감, 어린이들에게 안락하며 따뜻한 분위기를 전달합니다. this kindergarten in saitama, japan has been renovated using a series of stacked shipping containers. designed by HIBINOSEKKEI + youji no shiro, a team of architects who specialize in the design an..
집앞으로 난 길의 이름을 따라 Cul-de-sac house 라고 지은 베트남의 날렵한 주택은 특히 좁은 주택단지를 한 인구밀도가 높은 동남아시아 도시에서 최신 유행하는 트렌드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0미터 길이의 집 안에 충분한 채광이 들어올 수 있도록 설계된 이 집은 수십년동안 계속 거리에 노출되어 있었기에 Nguyen Khac Phuoc 건축사와 그 팀은 중앙 현관홀(아트리움) 주변으로 인테리어를 배열하기로 하였고, 그 끝엔 천창을 두었다. 그리고 60*60의 정사각 오프닝을 더함으로써, 빌딩을 통하에 공기가 흐를 수 있게 유도하였다. A three-storey-high atrium brings natural light and ventilation into the heart of thi..
그녀 또는 그를 위한 장소, 리딩누크. 금주에 완공하는 하동농가주택 리모델을 포함, 근래 설계하는 주택에 꼭 하나씩 삽입하는 건축어휘다. 정주하는 공간; 주방, 거실, 식당, 서재의 한켜에 위치, 거주자의 정주성을 높이는 동시에 안락한 아지트를 만들어 준다. 짜투리 공간에서 느끼는 안락함은 어린시절 종이상자로 만들었던 아지트를 떠올리는 추억의 한자락에서 시작한다.Reading nooks are the absolute most ideal place to curl up with your favorite book. You’re not lying down in bed so you’re less likely to fall asleep but you’re also not sitting straight up so y..
전쟁 후 남겨진 오래된 절들과 수많은 낡은 목조 주택들이 있는 도쿄 야나카는 골목도 작은 갤러리도 많은 매우 매력적인 곳이다. 우리는 이렇게 주변에 온통 매력적인 건물들이 가득한 분위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주택을 만들어보기로 결심했다. 주택은 좁다란 두 개의 거리를 접하고 있는 깃발 모양의 택지를 하고 있었는데, 이웃한 주택에 둘러싸여 있기도 하고 어쩌면 비밀 정원같아 보이기도 했지만 바꿔 보자면 동시에 거리의 일 부분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택지 자체에서 우리는 집 구조에 대한 영감을 얻었는데, 2개의 기본 성분- 즉 화이트 코어와 함께 그 주변을 감싼 골목 모양의 통로를 구성키로 했다. 백색 코어 내에 주방과 부엌, 침실, 거실, 욕실 등의 공간을 구성시키고 통로에는 가족을 위한 공간 - 도서관과..
돌과 나무를 이용, 공간의 장점을 극대화 한다. 간결하게 적용된 건축어휘는 내부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바탕으로 오너먼트가 배제된 미니멀한 공간을 완성시킨다. The entrance is designed as a continuation of the promenade, as a square of interconne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materials used were thought to bring to the environment an abundant natural light. A contemporary design and sober where the highlight is the products. The integration of natura..
몽땅연필 하우스. 모나미153 볼펜 껍데기에 몽땅연필을 끼워서 사용해 본적 있습니까? 그 기억이 없다면 아련함보다 신선함, 또는 자연을 생각하는 환경보호에 대한 생각이 먼저 일꺼다. 여러 브랜드에서 출시하는 연필홀더도 있지만 조금은 특별하고, 고유해 보인다. 감성적인 측면에서we all know what it’s like to see how we have to throw away our pencils, even though there’s still a lot of them to be used. or how we can accumulate them because we don’t have a sharpener close to us, ending up with many unsharpened ones. or w..
오늘 소개하는 유치원 및 탁아시설은 코펜하겐 브뤼게 섬 끝자락에 위치한 해안가에 있는데 작은 보트선박시설이나 작은 규모의 주택과 같은 그 주변에 현존하는 건물들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덴마크의 수도 내에 있긴 해도 아이들의 삶은 바다의 신선한 공기와 갈매기 소리로 가득한 일상생활을 누리고 있다. Nokken은 총 124명의 아이들이 살고 있는데, 3개의 탁아그룹과 4개의 유치그룹이 있으며, 이 곳에는 훌륭한 실내 분위가와 더불어 안전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The new Kindergarten and nursery is placed by the sea, on the tip of Islands Brygge in Copenhagen and the architecture is desig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