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음의 미학, 오래된 것, 시간의 흔적이 담긴 공간, 발리에 위치한 비스롯 레스토랑은 빈티지 인터스트리얼 디자인의 종합선물세트를 보는 듯 하다. 인도네시아의 토속적인 재료 및 디자인 요소는 앤티크함과 클래식함을 전달해주는 요소 내부 곳 곳에 위치하며 거친 바닥재와 벽돌, 나무로 마감된 천장재와 더불어 공간에 온화한 빛을 감돌게 하는 분위기를 형성시킨다. reviewed by SJ The Bistrot, the new vintage Parisian eatery and bar on buzzing Jalan Kayu Aya - also known as Jalan Laksmana and Jalan Oberoi - fondly known as the ''eat Street'' in Seminyak, Kuta di..
3세기 이전 왕족을 위한 거처, 애슐리성은 2차 세계 대전까지 호텔로 사용되어지다가 전쟁후로 최근까지 방치되었다. 폐허가된 역사적 유물은 이번 현상설계를 통하여 클래식과 현대적인 공간이 혼합된 네오클래식 주거공간으로 재탄생한다. 건축주의 요청을 기본 모토로 재구성되는 애슐리성은 기존 역사적 시간을 존중, 복원하는 건축으로 이곳에 과거의 공간속에 새로운 공간을 삽입한다. -주거, 출입게이트, 커튼월, 호수, 교회, 엘리자베스풍의 정원이 추가된다.- 이러한 건축적 방법은 기존공간과 새로운 공간, 재료를 같은 레이어 선상에서 접합 시킴으로써 유기적이며 이중적인 공간의 아이러니를 만들어 낸다. 그렇게 허물어진 벽의 유기적인 한귀퉁이와 새로운 벽돌벽은 우리네 그렝이처럼 자연스럽게 만난다. 자연은 변화시키는 대상이..
점프! 점프! 이제 즐거운 걷기가 시작된다. 공원을 가로지르는 51미터 트램벌린 로드는 공원 인프라시설 중 하나로 보행로와 놀이공간이 혼합된다. 색다른 산책의 경험은 지역적 문맥을 빠르게, 높게, 느리게,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때로는 포물선으로 이곳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보행자의 활동에 따라서... reviewed by SJ “Fast track” is a integral part of park infrastructure, it is a road and an installation at the same time. It challenges the concept of infrastructure that only focuses on technical and functional aspects and tends..
역동적인 도서관의 파사드 디자인은 종이공작, 오리가미를 연상시키는 시퀀스를 만들어 낸다. 순수한 도형의 레이어 사이로 열린 내부 공간은 도시와의 호흡을 위한 오픈 디자인으로 디자인 됨과 동시에 빛의 움직임에따라 다양한 얼굴을 만들어 간다. 여기에 역동적인 볼륨은 내부공간 속으로 침투하며 공간의 다양성을 표출하는 도구로, 내부 오픈 스페이스를 프로그래밍하는 기준으로 동선과 개실을 만든다. 그렇게 도서관은 퍼블릭 스페이스 속에 아이텐티한 스페이스를 형성한다. reviewed by SJ The building reveals its preciousness at first sight. Its pure, sophisticated geometry situates it as a public building. The d..
살아 있는 생명체를 보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든다.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구부러지는 관절의자, 그리고 삼각형 모듈을 이용하여 3차원 패턴을 만드는 외피 시스템. 디자인-객체-은 사람과의 인터렉티브 커뮤니케이션을 꿈꾼다. reviewed by SJ The theme video that greets visitors to Ventura Lambrate this year is a tempting invitation to pursue design... and literally, chase it. A bizarre troupe of chairs crosses the space at a fast pace, then more slowly and, after a few gym exercises, reappears..
낡고 녹슨 양철판으로 지어진 집이라면 흔히 판자집을 연상시키는게 보편적 사실이다. 여기 호주에 지어진 단독주거는 이러한 시각을 비틀어 지역적 시간을 반영한 녹슨 양철판을 외장재로 사용, 아이텐티한 주거 디자인을 완성시킨다. 개인 사무실과 스튜디오를 겸하는 하우스는 원래 이곳에 위치한 낡은 양철 오두막의 분해된 잔해, 양철판으로 외관을 디자인 함으로써 장소의 연속성을 표현하는 동시에 여기 하우스만의 특별함을 담아 낸다. 그리고 2층에 설치된 대형창은 코르텐 스틸로 이루어져, 외관에 사용된 녹슨 양철판과 맥락을 같이 하는 동시에 거리와 마을로 열린 오픈 뷰를 확보하는 창구로 디자인 된다. 이번 주거프로젝트는 시간에 의해 변화하는 공간의 모습을 묵묵히 담아 냄으로써 건축이 대지와 어떻게 지속 될 것인가를 보여..
새로운 주거를 꿈꾼다. 심플한 화이트 박스의 주거 내부는 외부환경과의 조우, 각 개실들의 플렉서블한 프로그램, 움직임을 통합하는 주거공간을 제안한다. 건축주의 요구조건이 반영된 3개의 레벨공간은 각 개실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막힘없는 열린 주거공간으로 통합된다. 이러한 통합은 중앙에 위치한 와이드한 계단실이 1층부터 3층의 공간을 집적 연결하는 주거환경 속에서 이루어 진다. 곧 계단실은 내부 개실을 나누는 기준인 동시에 공간을 소통시키는 매개체로 저층부의 부모침실과 다다미방, 중층의 가족실, 상층부에는 아이들을 위한 침실과 공부방을-계단실에 설치된 오픈형 테이블- 형성시킨다. 이번 하우스에서는 중앙에 설치한 계단실이 단순히 레벨이동을 위한 이동수단이 아닌 주거생활을 즐기게하는 목적공간으로 디자인된다..
런던 사우스뱅크 국립극장의 임시극장, 쉐드는 하워스 탐킨스가 설계한 NT 재개발 프로젝트 중 세번째 극장시설이다. 이러한 쉐드는 사각의 평면을 갖은 오픈형 극장타입으로 전면에는 국립극장과 측면에는 강과 만나는 곳에 위치하게 된다. 네모반듯한 심플한 건축 디자인은 콘크리트의 장중한 매시브한 건축을 보여주는 국립극장과 대조를 이루며 NT 프로젝트의 구두점과 같은 어휘로 사용된다. 쉐드를 특별하게 각인시키는 레드컬러의 외관은 이와같이 마침표가 아닌 쉼표로 공간, 장소를 연결시킨다. 여기에 지속가능한 건축은 100% 재활용하는 225석의 좌석과 재료 그리고 자연환기를 위한 4개의 환기타워로 강렬한 레드컬러와 더불어 쉐드 디자인을 정의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reviewed by SJ Haworth Tom..
대지의 역사적 시간을 연결하는 조형물 디자인은 과거에 쓰여진 어휘를 차용, 이용하여 현대적인 방법, 스타일로 재구성한다. 지난 500여년의 흔적들은- 파도, 얼음- 고스란히 대지에 남겨진 기억조각들로 콘크리트 벽을 덮고 있는 코르텐 스틸 판넬 위에 새겨진다. 과거로의 타임슬립을 유발하는 붉은색 녹청은 이곳을 방문하는 여행자들에게 선사하는 드라마틱한 건축 조형물에 과거의 기억, 흔적을 연결하는 건축적 장치로 철이 공간, 시간과 만나 산화되어 원래의 텍스쳐와는 다르게 변모하듯이- 변화한다는 의미보다는 숙성되어 깊이가 베는 과정- 시간과 장소를 영속시킨다. 건축에 공간을 완성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소금이 아니라 시간이다. reviewed by SJ After the partial collapse of th..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paris-based designers ronan and erwan bouroullec, BMW i has presented 'quiet motion' during salone del mobile 2013. reminiscent of a carousel, the installation rotates slowly and silently - an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movement and contemplation as well as of the forward-looking vehicle design. proposing to interpret the question of the interior environment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