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시간을 어떻게 받아 들이면, 현재의 시간에서 재구성 할 수 있을까요? 여기 시빅컬쳐센터는 외부와 단절된 보이드 스페이스 또는 솔리드 스페이스인 지방교도소를 전혀 다른 오픈스페이스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입니다. -아이러니한 공간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외부로 극히 단절되어야 하는 솔리드 스페이스를 외부와 적극적으로 연결되는 오픈스페이스로 변경하다니... 공간의 역발상이 기대됩니다.- 이것의 시작은 중앙홀을 기점으로 구축되어 있는 4개의 파빌리온에 새겨진 건축적 시간을 이해하고 거기에 남겨진 고독과 외로움-나쁜 기운-을 좋은 기운이 있는 공간으로 바꾸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먼저 기존의 낡은 타일벽을 제거하고 그곳에 새로운 징크 구조물을 계획합니다. -와이드한 오픈스페이스를 만들기에..
인더스트리얼 디자인과 하이엔드 라이프가 만납니다. 하이엔드 쥬얼리 샵을 구성하는 두가지 상반된 요소는 이전 산업공간이 투영된 대지의 상황과 현재 고급 상품을 취급하는 리테일샵의 디스플레이입니다. 여기에 자동차 페타이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는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의 연장선상에서 인테리어 컨셉을 끌어가는 주요한 오브제로 활용됩니다. 거기에 기존 벽돌벽에 옷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바이크 스탠드 지지대와 천장면에 매달린 타이어 샹들리에는 추가적으로 인테리어 디자인을 완성시키는 요소가 됩니다. 기존 벽돌벽과 페타이어 그리고 쥬얼리의 만남이 이상하리 만치 잘 어울리는 공간감을 만들어 냅니다. reviewed by SJ In the showroom shop of Berlin-based jewellery designer..
한번쯤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보고 싶습니다. 자전거를 타는 바이크족과 보행자를 위한 유니크한 다리는 서포트재와 교각없이 자유로운 곡선형태로 지면과 지면을 연결합니다. 두개의 점을 잇는 가장 빠른 선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라는 거 혹시 알고 계셨나요? -자세한 수학의 법칙은 ebs 다큐프라임 '문명과 수학' 4편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이러한 곡선은 두개의 점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실질적인 공간의 연결을 넘어서 주변 뷰포인트를 다리로 유입시킴으로써 공간을 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아마도 다리를 디자인하기 위한 4가지 명제-가격, 마음의 위로, 사회안전, 공간의 완성-를 합리적으로 완성시킨 건축가의 대담함과 합리성이 조화롭게 풀린 좋은 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부분은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고 ..
시카고 교차로에 설치된 오브제는 컬러 입니다. 삼차원 페인팅으로 구현된 3가지의 컬러는 빌딩의 창문위에, 도어 위, 그리고 보행자로와 횡단보도위에 덮여집니다. 이렇게 컬러로 덮여진 도시의 부분은 이전 도시의 장소성과 역사성 기능성을 묻어 버린채 커다란 오브제가 됩니다. 2012년 9월 30일까지 전시 된다니 기회 되시는 분들은 다녀오세요... reviewed by SJ american artist jessica stockholder's 'color jam' installation sees a downtown chicago intersection awash with color. the artist envisioned a 'three-dimensional painting', with color spillin..
피닉스에 위치한 도서관을 디자인하는 핵심은 친환경적인 디자인을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성능을 갖도록 하는 것입니다.-흠, 이거는 누구나 원하는 일 아닌가?...- 피닉스 북측 쇼핑단지에 부속되어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가스 스테이션, 자동차 세차장, 패스트 푸드점, 레스토랑, 슈퍼마켓-중 강한 인상으로 도시와 새로운 호흡을 시작합니다. 기존의 콘크리트 사각볼륨과는 별개로 설치된 템퍼러리 스틸 파이프 월은 크게 두가지 측면에서 디자인 되었습니다. 첫번째는 예산에 대한 한계이며 두번째는 기존 부속시설과 차별화 되는 퍼블릭 스페이스에 대한 도시와의 관계성 입니다. 이것은 퍼블릭 스페이스가 도시 속에서 자리하는 문화적 활동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내부 프로그램과는 별개로 이와같은 파사드 디자인을..
이번 마스터플랜을 통하여 우리는 타이완시의 중장기 비젼을 엿 볼 수 있습니다. 도시의 다양성 보장과 관광도시로써의 경제적인 인프라 구축은 어반 플래닝의 중요한 목표로 커뮤니티와 자연이 접목된 친환경 도시로 탈바꿈하는 타이완시의 중요한 목표입니다. 그중에서도 타이완 메인 스테이션을 중심으로 한 블록플랜은 문화와 자연을 바탕으로 하는 주거단지와 활동적인 자연체험학습의 장으로 설계되어 타이완시의 새로운 어반 게이트로 제안됩니다. 사실 마스터플랜에 가장 큰 목적은 인근주변과의 장애없는 연결을 통한 교통의 요충지로써 자리 매김하는데 의이가 있습니다. 자연과 도시를 연결하는 일련의 작업들은 공통된 분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연과 사람을 연결하고 사람과 사람을 연결합니다. 그렇게 연결된 사람들은 다시 커뮤니티를 형성..
마드리드 만자나레스에 위치한 경찰서는 우리가 보아오던 일반적인 경찰서와 사뭇 다릇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얼핏 보기에는 마치 작은 박물관을 연상시키는 공간 구성을 보여 줍니다. 그도 그럴 것이 시공단계의 80%의 시점에서 초기에 계획되었던 박물관을 정부의 요청으로 경찰서로 변경한 프로젝트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경찰서를 전형적인 업무공간이 아닌 가운데 위치한 중정을 기점으로 볼륨의 크기가 다른 공간들을 방사형의 배치로 구성합니다. -이러한 공간구성은 가운데 중정을 중심으로 각 전시실을 관람하는 형태로 계획됬을 것입니다. 오히려 유기적인 업무공간 배치가 가능해졌네요. 그리고 각기 다른 볼륨들은 센터를 중심으로 리니어하게 구성된 중정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여기에 리니어한 중정은 자연채광과 환기를 유도함..
양측회유성 사각볼륨을 구상하다... 일본 야마카사키에 위치한 아파트 리노베이션의 특징은 주거와 오피스의 상반된 프로그램이 한공간을 점유하는 동시에 플렉시블하게 변형되는 프로세스를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실제로 두가지의 공간을 동시간대에 존재하지 않고 거주자의 활용에 따라 연속적인 리니어한 공간이 점진적으로 변화 시킵니다. 그렇게 폭 5.4미터에 길이 10.5미터의 공간은 콘크리트 월에 설치된 연속적인 조명이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 하듯이 내부 순환동선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분되어 집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설치된 인클로징 주방과 다다미방 그리고 게스트 룸은 순환동선에 연결되어 메인 생활공간과 연계됩니다. 건축가가 이야기하는 공간은 양측회유성 물고기를 많이 닮아 있습니다. 민물과 바다..
블링블링한 브라운 모자이크와 타원형 윈도우가 인상적인 파사드를 구성하는 토파즈호텔은 베트남 중심부에 위치하며 새로운 랜드마크를 형성합니다. 다크계열의 젬스톤은 호텔입면을 구성하는 주 마감재료로 자연광에 건축물을 반사 또는 흡수시키며 독특한 분위기를 풍깁니다. 규모는 기타 호텔에 비해서 크지는 않지만 베트남의 전통적인 건축양식을 함축적으로 축약한 파사드는 어반패브릭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구성된 타원형 윈도우에 정점을 맺힙니다. 외부의 모습과 달리 내부에 설치된 타원형 윈도우는 작은 호텔라운지의 암체어처럼 활동적인 도시의 뷰를 한눈에 감상 할 수 있는 뷰포인를 형성하는 동시에 객실내부에 편안하며 정적인 공간을 만드는 주요한 시퀀스로 작용합니다. 내외부를 통섭하는 타원형 윈도우에 설치된 틈새 ..
어반빌딩의 새로운 타입폴로지를 제안합니다. 카미나리-문 게이트 교차로에 위치한 아사쿠사 컬쳐 투어리스트 인포메이션 센터는 인근 주민들의 다양한 문화활동과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을 위한 인포메이션 역활로 컨퍼런스 룸, 다목적홀 그리고 전시공간을 담고 있습니다. 센터가 가지고 있는 형태적 타입폴로지는 일반적인 빌딩과는 사뭇 다릅니다. 수직으로 켜켜이 쌓여 있는 듯한 레이어층은 인근에 위치한 빌딩들의 각기 다른 스카이라인과 링크되며 각기 다른 공간들이 레고블록처럼 쌓여 있는 듯한 분리된 뉘앙스를 풍깁니다.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형태적 모습이 별도의 파사드 디자인을 했다가 보다 각공간들의 단면조닝이 다이렉트로 입면에 투영되어 나온 결과물이라는 점입니다. 여기에 각 층의 끝단마다 대각선을 이루는 층간 루프와 바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