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조그가 제안하는 새로운 어린이 병원 어린이 병원은 두가지 프로그램을 건축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통합합니다. 앞과 뒤의 구분없이 연속적인 버티컬 플레이트는 에어아트리움을 둘러쌓아 이 병원에 하늘로 열린 작은 중정을 만듭니다. 막힘없이 순환되는 중정은 이곳을 찾는 환자 또는 단순 방문객에게는 평온함과 안락함을 이곳의 의학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거주민들에게는 연구소로 인도하는 시작점으로 작용합니다. 공간의 노드점은 공간의 시작이자, 중간이고 마지막입니다. 각각 어린이연구소의 중정과 연구소의 중정은 물리적인 거리를 떠나 그렇게 링크되어 있습니다. 어쩌면 지극히 지오메트릭을 반영한 결과 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reviewed by SJ breaking the usual hospital typology, b..
다양한 퍼즐조각을 맞추어 놓은 듯한 파사드가 인상적인 스쿨 프로젝트 입니다. 필란드 헬싱키 인근 주변 개발지역에 위치한 학교는 500여명의 학생들과 100여명의 아이들을 보육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마치 파도를 연상시키는 루프라인은 저층부 2개층과 구분되는 볼륨으로 서측 사이드에 위치한 운동장에서 쐐기형상으로 시작하여 동측에 펼쳐진 지형면을 따라 마무리 됩니다. reviewed by SJ A school near Helsinki, Finland, caters to a quickly-growing suburban development. The structure can currently accompdate 500 students and a daycare for 100 children, though a ..
에티오피아에 새롭게 제안되는 스포츠 빌리지는 외부환경을 잘 반영하여 지역적 특색을 잘 살린 디자인인 계획안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한 경쟁력이 있는 구성을 보여줍니다. 6만명 수용이 가능한 풋볼 스타디움의 관중 좌석은 지면으로 부터 선큰되어 있는 경기장의 둘레를 에어 감싸도록 지면의 흙을 다짐하여 구성합니다. 그리고 다시 스타디움의 볼륨을 감싸는 외부패널을 전통적인 음식바구니를 다양할 컬러로 형상화하여 패턴라이징 디자인 함으로써 지역적 문맥을 이어갑니다. 이렇게 이루어진 스타디움의 전체 볼륨은 에티오피아의 주 수출품인 커피콩 모양을 따라갑니다. 디자인의 일관된 통일성은 지역적 문맥이 담긴 문화와 기후 그리고 생활을 표현하는 동시에 나라의 경제력이 감안된 경제적인 건축물을 구현합니다. 얼른 이곳에서도 ..
학생을 위한 공간을 지향합니다. 기존 방콕 유니버시티 오피스 라운지를 학생을 위한 시설로 리디자인 합니다. 두개층으로 이루어진 라운지의 하부층에는 오디토리옴과 다양한 활동을 보장하는 렉쳐룸이 계획되었습니다. -이곳에서는 학생들은 리딩, 스터디, 개인교습 휴식과 음식물 섭취등 다양한 친목과 여가활동을 취합니다.- 또한 저층부의 공간볼륨을 이루는 '리딩케이브'는 동굴 단면을 OSB 립 형태로 절삭하여 정렬합니다.이러한 볼륨의 형태는 라운지 저층부의 아이텐티를 부가시키며 다양한 활동들을 보장해주는 파티션 역활 또한 수행합니다. 저층부와는 별개로 상층부는 다이나믹한 활동-가라오케, 탁구, 당구, 다트, 폴댄싱-을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마 이것은 젊은 학생들이 교내에서 지내는 사이클이 반..
싱가포르에 새롭게 조성되는 랜드스케이프 프로젝트 중 마리나베이에 문을 연 베이 사우스는 상업도시에서 관광도시로써의 싱가포르의 또다른 미래를 보여줍니다. 마리나 베이 샌즈와 더불어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것을 예상되는 베이사우스는 총 연면적 101헥타르 중 55헥타르 구역이 먼저 완공되어 많은 관광객들의 발길을 이끌고 있습니다. 크게 인도어 스페이스와 아웃도어 스페이스로 구분되며 조개 형상을 하고 있는 커다란 두개의 유리온실과 슈퍼트리라고 부르는 18개의 구조체가 25미터에서 50미터 높이로 서 있는 수직정원-골든가든-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두개의 온실은 플라워 돔과 클라우드 돔으로 구성되어 세계 각국의 다른 생태계의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지중해기후 또는 아열대 기후는 물론 다양한 기..
건축과 이벤트가 만나는 또다른 방법을 제안합니다. 마치 여러개의 풍선이 연결되어 있는 듯한 돔형태의 설치물은 내부에 네트워킹 되어 있는 터널을 따라 다양한 색감과 공간감을 체험합니다. 여기에 다양한 프로그램-뮤직, 극장, 과학, 댄스, 디자인-은 풍선구조물의 각 노드점과 연계성을 갖으며 세포가 자가 증식을 하듯이 또다른 자기복제를 통해 또다른 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PVC재질로 구축되는 설치물은 100제곱미터의 공간을 4시간만에 구축함으로써 어느장소에서나 다양한 이벤트와 맞물려 활용 할 수 있는 소프트함과 이동성을 갖고 있습니다. reviewed by SJ Alien to its surrounding structures, the newest luminarium by Architects of Air tak..
14세기 돌로 지은 교회와 지하무덤을 새롭게 리노베이션한 프로젝트 입니다. 새롭게 문을 연 지하 토굴은 200여년동안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안은채 뼈와 유골을 모시는 장소로 이용되었습니다. 이와는 별개로 지상층에 위치한 채플실은 새롭게 복원되어 다양한 목적에 활용가능하도록 재구성되었습니다. 나무벤치와 테이블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여 내부 구성을 플렉시블하게 구성함으로써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은 물론 이곳 주민들에게도 오픈하여 전시 또는 다양한 이벤트를 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 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역사적인 공간의 리뉴얼 작업은 14세기의 역사를 21세기의 문화공간으로 재구성하는 드라마틱한 작업을 보여줍니다. 그렇습니다. 역사적인 공간과 건축물을 보존하는데만 그치지 않고 지금의 공간으로 끌어 들여 시공간을 ..
곡선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움이 연속됩니다. 커다란 동심원 안에 피어 있는 우드플라워는 다양한 빛과 색감으로 각 공간의 분위기를 편안하게 변화 시킵니다. 마치 최면에 빠져들것만 같은 나선형태의 우드플라워는 플라이우드 베니어를 얇게 켠 후 이것을 다시 원통형으로 말아서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형태로 만들어 냅니다. 이러한 나선형태의 우드플라이 곡선은 의도되었지만 의도되지 않은 듯한 자연스러움으로 램프 디자인을 완성시킵니다. 여기에 레드, 블루, 브라운 등 다양한 컬러는 사용자의 취향과 내부 인테리어에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준비됩니다. reviewed by SJ Designed by Remedios Simón for LZF, is named after its structural design; delicate ..
덴마크의 연방에 속한 작은 섬나라 파로에 아일랜드에서 두번째로 큰도시 크락스빅 도시 재개발 프로젝트 입니다. 어느순간부터 사람보다 많아진 차량때문에 사람들의 교류는 끊어지고 외부공간은 차량으로 뒤덮히는 악순환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강한 바람이 많이 부는 이곳 기후 탓에 외부활동에 대한 접근이 힘든 점이 한 몫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환경으로 부터 버퍼해줄 보호막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외부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도시에서의 아웃도어 스페이스는 어떻게 구축해야 할까요? 그리고 아웃도어에서 사람들의 커뮤니티는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해야 할까요? 그리고 이러한 공간배치를 통해 도시의 균형있는 발전을 이끄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러한 숙제들은 순차적인 도시개발을 통하여 하나 둘씩 해결해 나..
수이타시내 주거단지가 내려다 보이는 낮은 구릉지에 위치한 하우스는 50년 묵은 벚나무와 함께 나이를 먹어갑니다. 주변의 일반적인 주거의 형태와는 차별화되는 모놀리틱한 볼륨으로 구성된 하우스는 북측으로 면한 커다란 2개의 글래스 큐브가 인상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이 2개의 글래스 큐브는 각각 저층부의 식당과 상층부 거실에 면하여 내부 퍼블릭 스페이스와 외부 파노라마뷰를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창구 역활을 수행합니다. 이것은 낮은 구릉지 위에 위치한 하우스의 캐릭터를 잡는 역활을 하는 동시에 내부와 외부가 소통하는 연결공간으로 작용합니다. 무심한 듯한 얼굴인 것 같지만 균형잡힌 볼륨감과 디테일한 내부공간 조닝이 돋보이는 하우스 입니다. 특히 거실에서 바라보는 벚나무 풍경은 돈주고 살 수 없는 최고의 선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