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토리니 그레이스 호텔은 없다. 단지 푸른바다를 바라 볼 수 있는 하얀색의 공간만이 존재 할뿐이다. 더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이곳에서도 알아주는 그레이스 호텔은 부띠끄 호텔로 유명하지만 건축물 자체가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보다 자연에 겸허이 자기 자리를 내줌으로써 더 럭셔리한 프라빗 호텔이 되었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자연보다 더 훌륭한 건축물은 없고 더 훌륭한 디자인은 없다고. 건축가는 자연과의 조우를 생각할때 상당히 많은 고민을 할 수밖에 없다. 얼마만큼의 자연을 내 안으로 가져 올 수 있을까? 얼마만큼 덜 디자인해야 이 자연과 하나 될 수 있을까? 요사이 건축은 그 어떤 디자인보다 많은 것을 담을려고 하는 어폐를 보이고 있다. 많이 담아야 훌륭한 디자인이고 남에게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
해발 1600 산위의 2개의 탑이 보인다. 강한 포텐셜로 칼츠버그의 랜드마크가된 된 두개의 탑은 사실 공동주거, 레지던스 시설이다. 이곳 알프스산맥은 예전부터 겨울스포츠의 메카와 같은 곳으로 스포츠 산업과 관광산업이 잘 발달된 지역이다. 그래서 인지 건축가의 커다란 두가지의 컨셉(랜드마크, 친환경) 이 잘 녹아난 두개의 탑을 디자인 했다. 인공적인 시설물이 자연과 만나는 면을 최소화하여 자연을 보호하고 건물의 소재도 또한 친환경적 소재를 사용했다. 주거 유닛 외부로 형성된 깊은 발코니 또한 효과적으로 직달광선을 차단해주는 역활을 수행하며 다시 사선 패턴으로 디자인된 우드루버와 연계되어 디자인적으로 조화로운 형태를 만들어 냈다. 낮고 지형을 따라 형성되는 공간의 흐름을 계획하는 것도 어떨까 생각이 들기도 ..
기존의 형식을 파괴함으로 오는 쾌감은 다른 디자인의 즐거움보다 크다. 왜 우리는 현실에 안주하는가? 편안함을 찾기 위해서? 남들과 다름에서 오는 시선이 불편해서? 무엇보다 지금의 현실에 길들여져서 다른 길은 잘못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단지 관습이고 자기안의 생각일 뿐이다. 일탈해라 그리고 벗어나라. 주먹 한가득 가지고 있는 것들을 다 놓아버려라. 꽉 움켜진 주먹으로는 아무것도 새로운 것을 잡지 못한다. 예술과 생활의 차이는 내가 걷지 못한 한발자국의 차이 일뿐이다. A manipulation of something that we already know and something that we have a specific sense about has always been at the heart o..
거칠어 보이지만 결코 거칠지 않은 정상위의 커다란 메스 돌덩어리 같아 보이지만 결코 둔해 보이지 않는 잘 다듬은 의도된 자연석 같다. 말이 좀 많이 이상하긴 한데 내가 받은 느낌은 일본식 정원의 인공적인 자연의 느낌이였다. 물론 건축가의 뛰어난 디자인 능력으로 만들어진 걸작은 틀림 없다. 특히 놀랍도록 잘 정리된 선과 메스를 눈에 띄지 않으면서 공간에 편안함을 준다는 것은 그리 쉽지만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반 중층으로 열린 저층부는 전면은 넓게 뷰가 보이도록 열어주며 공간을 뒤로 후퇴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된 상부공간으로 하여금 태양의 차단을 이끌어 낸다. 분명 우리나라에서는 약간은 더 투박하게 지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이렇듯 외부에 보이는 선들을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그 안에서 ..
프렉탈, 자가증식하는 설치물 작은 유닛의 결정체가 무한반복하면서 결국은 더 큰 형태를 이루는 기하학적 패턴이다. 프렉탈이론은 패러매트릭설계를 할때 자주 거론되고 이용되어 진다. 특정변수값을 이용하여 무수히 반복되는 비례수치값, 그리고 그 비례로 형성되는 형태들... 형태를 만들어내는 당위성을 수학적 힘을 빌어서 만들어내는 계산자들. 그것이 디자인이라고 믿는 몇몇 오만한 계산자들. 분명 그들이 가는 길은 피터줌터와는 다르다. 하지만 디지털 건축의 방향이 국한적으로 치닫는 우리네 현실에 그들이 중앙에 앉아 있는 것이 살짝 불편한 것 뿐이고... 그렇다고 이번 프로젝트를 비롯하여 기타 설치물들이 이상하다는 말은 아니다. 팝업 스토어와 같이 자가증식한 패턴이 2차원공간에서 3차원공간으로 구축되는 형상은 참 재미..
곡선램프를 따라 흘러가는 자연스러운 공간의 연속성이 좋은 프로젝트네요. 학생때 르꼬르뷔제의 빌라사보이를 접했을때의 충격이 다시 떠오르는 것은 왜 일까요? Back in 2008 we published the extension and renovation of the Ljubljana City Museum by OFIS arhitekti. Now they shared on their twitter account this video update made by Marco Mazzotta that shows some more details and diagrams of the project.
기존 공장을 스튜디오 겸 주거(소호)로 리노베이션한 프로젝트 입니다. 이렇게 리노베이션의 작업들은 신축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완숙한 분위기의 경험을 자아낸다. 오랜 빈티지에서 나오는 향기는 새로운 것에 대한 신선함과는 달리 흉내 낼 수없는 자연스러움과 친숙함이 묻어 있다. 언제부턴가 차가운 세련미보다 트랜디한 디자인보다 완숙한 빈티지가 편안하게 느껴진다. 결국 디자인이란 사용자 또는 거주자가 얼마만큼 자기것으로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일인 것이다. 아무리 굿디자이라도 자기몸에 안 맞으면 옷장에만 걸어 놓고 쳐다만 보는 드레스가 되는 것처럼 말이다. 굳이 나이가 먹어서 빈티지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고 유행이 빈티지라서 좋아하는 것도 아니다. 자연스러움 만큼 훌륭한 디자인도 없는 것이다. 이럴..
알루미늄 롤을 이용한 설치물이 디스플레이와 장식품의 경계를 넘나들며 계획된 리테일샵 계획입니다. 우드바닥과 노출천장, 그리고 콘크리트 벽면으로 이루어진 심플한 구성에 포인트가 되는 알루미늄 설치물은 조명과도 어울러져 여러각도에서 다양한 스펙트럼을 발생시킨다. 강력한 오브제와 그 오브제 시선의 끝에 위치한 상품의 진열은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를 하도록 하게 하는 강한 동기부여를 주고 있다. '디젤'이란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자유스러우며 고급스러운 컨셉과도 잘 들어 맞는 계획으로 디자이너의 놀라운 감각과 브랜드의 해석능력이 뛰어나 보인다. If you take a visit to the Diesel Denim Gallery in Aoyama, Tokyo, you will encounter a fascinati..
interactive design 동화책이 현실로 구현된다. 놀이와 인터렉티브 미디어가 만나 새로운 공간을 창출했다. 이렇게 가상공간, 디지털 공간과의 조우는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은 물론 우리가 상상하는 모든 공간들을 창출해 낸다. 아마 조금더 기술이 발전된다면 건축물을 짓기 전에 미리 다양한 공간의 체험을 하여 건축가에게는 새로운 영감을 주고 건축주에게는 현실적인 타당성을 검증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Little Magic Stories is the latest project by Chris O’Shea, with aim to encourage children to use their creativity to bring stories to life. The installation allows th..
두개의 큐브로 만드는 체어 두개를 나누는 곡면의 기준은 인체공학적인 곡면의 추출로 형성하였다. 단순한 기하학의 조형미가 돋보인다. Hong Kong designer Kitmen Keung has created a lounge chair and ottoman by slicing a cube of foam in two. Called Dual Cut, it was designed for Belgian brand Sixinch. The two pieces of foam fit together for easy storage and transportation. Splitting a raw rectangular foam block with only two L-shaped cut lines, the Dual Cut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