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를 위한 공간. 안락하며 편안한 휴식을 위한 공간이 마련됩니다. 정제된 인테리어 디자인 한켜에 자리한 리딩누크는 선큰된 형상으로 자리합니다. 담소도 좋고, 독서도 좋습니다. 자신만의 공간이 있다면. Tucked into a forest in the Czech Republic, and situated on a rock above the edge of a river, sits a family home designed by architectural studio A69.In the middle of the home’s minimalist white interior sits this elevated platform with a sunken lounge area full of squishy pillows and..
Kitchen cabinets without hardware is a growing trend. The kitchen seen here, designed by Fraher Architects for a home in London, is an example of that trend. Working together with their in-house joinery team, the designers included a recessed finger detail made from European oak, to make it easy to open the drawers and cabinets. Here you can see how the recessed finger detail works when opening ..
David Thulstrup 스튜디오는 코펜하겐에 있던 공장 건물을 포토그래퍼를 위한 주거공간으로 탈바꿈 시켰다. 식물이 채워진 아트리움, 벽돌과 목재, 그리고 철강으로 구성된 벽이 특징인 이 집은 리노베이션 과정을 통해 기존에 있던 벽돌의 분계선을 건축가는 그대로 이용하고 싶었다. 창문이 거의 없는 벽이었기에 주택의 정가운데에 유리를 끼운 아트리움을 놓음으로써 3개 층에 이르는 건물 전체에 채광이 잘 통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약간의 트위스트를 이용한 단순한 제스처로 기존의 벽돌 벽을 유지하면서도 좁은 부지에 위치한 새 건물 구조 안으로 채광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Studio David Thulstrup has turned a former factory building in Copenhagen into..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사인; 메세지가 반응한다. the first dedicated public art district in india came to life this year. as part of st+art, 25 local and international street artists descended upon the iconic lodhi colony area, turning the urban landscape into an open air gallery. one of the core installations sited in the lodhi district is a dynamic, typographic graffiti artwork by DAKU. ‘time changes everything’ vi..
랜턴 상징주의에서 영감을 얻어 탄생한 설화수 플래그샵의 디자이너들은 스파 시설에서 지하를 아울러 루프탑 테라스에 이르기까지 샵 전체를 아우르며 장관을 이루는 황동 조형을 탄생시켰다. 샵 주변을 거니는 방문객들에게 자연스럽게 빛으로 표현한 랜턴의 황동 격자무니가 통합적이면서도 조각같은 조명 설비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인테리어의 나머지 부분 또한 따뜻한 느낌의 재질인 나무와 패브릭으로 마감하였고, 회색의 스톤 타일을 사용함으로써 단단하면서도 빈 공간감을 주고 또한 무거우면서도 가벼운 느낌의 흥미로운 감각을 나타내고 있다. Shanghai-based design studio Neri&Hu Design and Research Office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is st..
해안가 작은 마을에 새로운 베이글 가게가 문을 엽니다.이전 낚시용품 창고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작은 베이커리 카페로 변신합니다. (지역에서 생산되는 밀을 사용합니다.)외부로 노출된 내부공간과 고목은 공간의 기억을 적나라하게 노출합니다. 여기에 새롭게 더해진 백색공간이 현대적인 공간과 기능을 뒷받침합니다. 낡음은 고유한 캐릭터를 생성합니다. architecture in japan: yokohama-based architects ROOVICE have renovated a former fishing supplies warehouse into a bagel shop for the small coastal city of miura. with only a population of 1300, the archit..
Archi-Union는, 낡은 콘크리트와 벽돌로 만들어진 공장 건물의 꼭대기에 작은 나무 조각들로 된 가로장을 확장해보기로 했다. 전시회 공간으로 리노베이션 하기로 결정하면서, 오래된 공장을 그 원래 건물이 가진 특성을 잃지 않으면서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시켜야 하는 숙제를 디자이너는 해결해야 했다. 그렇게 해서, 기존의 벽돌과 콘크리트를 그대로 내외부적으로도 분명히 가시화 하면서 여기에 작은 나무들로 대들보를 세운 듯한 펴면을 상단에 덧붙임으로써 외부면을 통해 그대로 채광을 허용하고 동시에 가시적으로도 부담이 가지 않을 정도의 면적을 더하는 효과를 냈다. Archi-Union Architects has added a slatted timber extension on top of an old concre..
컨테이너를 이용, 구축한 유치원 프로젝트는 50년간 유지된 지역문화 영속을 바탕으로 합니다. 용이한 건축은 지진으로 건물을 보호하는 구조체 역활을 동시에 수반합니다. 내부에 위치한 중정을 기점으로 컨테이너를 적층, 외부로 부터 어린이를 보호하는 보호막 역활을 수행합니다. 외부와 대비되는 내부는 목재로 마감, 어린이들에게 안락하며 따뜻한 분위기를 전달합니다. this kindergarten in saitama, japan has been renovated using a series of stacked shipping containers. designed by HIBINOSEKKEI + youji no shiro, a team of architects who specialize in the design an..
집앞으로 난 길의 이름을 따라 Cul-de-sac house 라고 지은 베트남의 날렵한 주택은 특히 좁은 주택단지를 한 인구밀도가 높은 동남아시아 도시에서 최신 유행하는 트렌드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0미터 길이의 집 안에 충분한 채광이 들어올 수 있도록 설계된 이 집은 수십년동안 계속 거리에 노출되어 있었기에 Nguyen Khac Phuoc 건축사와 그 팀은 중앙 현관홀(아트리움) 주변으로 인테리어를 배열하기로 하였고, 그 끝엔 천창을 두었다. 그리고 60*60의 정사각 오프닝을 더함으로써, 빌딩을 통하에 공기가 흐를 수 있게 유도하였다. A three-storey-high atrium brings natural light and ventilation into the heart of thi..
그녀 또는 그를 위한 장소, 리딩누크. 금주에 완공하는 하동농가주택 리모델을 포함, 근래 설계하는 주택에 꼭 하나씩 삽입하는 건축어휘다. 정주하는 공간; 주방, 거실, 식당, 서재의 한켜에 위치, 거주자의 정주성을 높이는 동시에 안락한 아지트를 만들어 준다. 짜투리 공간에서 느끼는 안락함은 어린시절 종이상자로 만들었던 아지트를 떠올리는 추억의 한자락에서 시작한다.Reading nooks are the absolute most ideal place to curl up with your favorite book. You’re not lying down in bed so you’re less likely to fall asleep but you’re also not sitting straight up so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