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관과 계단실의 만남은 그 자체만으로 드라마틱한 공간을 연출한다. 투명한 글래스 스텝은 나선형으로 원형 아쿠아리움을 휘감이 올라가는 스틸 스트링거의 외단부에 지지되는 캔틸레버 구조로 디자인되어 그 형태미를 한층 더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주거에서 보기 힘들지도 모르겠지만 혹시 높으신 회장님댁에는 있을지 모르겠다. ^^ reviewed by SJ Diapo, a London-based staircase fabricator, have sent us some images of a cantilevered glass helical staircase they designed and built around a large aquarium earlier this year. Description The stair is ..
공간은 저마다 나타내고자하는 얼굴이 있다. 그 얼굴은 때로는 기업의 문화가 되고 리테일샵의 판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디스플레이 스페이스가 되기도 한다. 에너지 드링크 레드불사의 암스테르담 헤드쿼터는 기업의 핵심가치를 공간에 투영하여 에너지와 액티비티의 관계성을 각기 다른 볼륨으로 그려낸다. 추론과 직감, 아트와 산업, 어두움과 밝음, 천사의 마음과 악마의 분노 이와같은 극적인 대비는 공간을 이루는 주요한 장치적 기법으로 사용되며 공간을 형성화한다. 이러한 아이러니한 공간에서 발생하는 마찰계수는 공간의 접점에서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공간을 폴딩하며 볼륨을 구획한다. 에너지볼륨으로 구획된 블랙스페이스는 화이트 스페이스와 간극을 이루며 공간에 집중력을 높인다. 여기에 공백을 메우는 보이드스페이스는 공간의 볼..
도심주거의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도쿄에 위치한 에이치 하우스는 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벽과 천장, 바닥면을 무장 해체하여 연결함으로써 시각적인 확장과 물리적인 연결을 동시에 확보한다. 이와 같은 공간에서 층에 대한 개념은 사라지며 레벨과 공간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다. 단일한 프로그램으로 구획된 한정적인 공간과는 달리 다용도,다기능을 수반하는 변형 및 확장하는 공간은 모바일 시대의 유동성과도 많이 닮아 있다. 공간을 오프닝하는 보이드가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이 각각의 공간의 심도를 조절하여 공간의 원근을 없애는 일련의 공간구조는 2차원적인 공간구성을 3차원의 공간구조로 변형 시키는 동시에 시간의 흐름까지 변화시켜 4차원의 공간이미지로 구축시킨다. 3인 가족 기준으로 계획된 주거이지만 몇개의 모듈을 확..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워터프론트는 상이한 2개의 공간을 연결하는 임계 스페이스이다. 경계면에 위치한 임계스페이스는 상이한 공간들의 무게의 균형감을 맞추는 일련의 발란스가 필요한데, 이와같은 균형미는 사이트를 넓고 깊게 볼수 있는 마스터플래너의 안목이 필요하다. 산업항구로 활용되는 지금의 장소에 주거단지와 리테일샵 그리고 문화센터를 계획함으로써 문화와 커뮤니티가 살아 숨쉬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구성한다. 이렇게 재구성된 워터프론트는 해안가의 토폴로지와 산업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스트럭쳐를 통합하는 일련의 공간으로 계획되어 진다. 외부 관광객들을 위한 크루즈 터미널과 방문객 및 거주민들을 위한 다목적 극장, 카페, 레스토랑 등의 다양한 복합커뮤니티 스페이스는 내외부를 끝임없이 연결하며 13만 스퀘어미터 공간안에 ..
레트로와 모던디자인이 묘한 발란스를 이루는 전원주택은 편안하며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풍긴다. 현대적인 감각의 가구 또는 빈티지 가구가 제멋대로 배치되어 있는 듯한 자연스러움 마저 숲속 어딘가에 나뒹굴 것만 같은 나무그루터기를 스툴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풍만하 자연이 베어 있다. 멋부리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으로 유러피안의 빈티지와 어메리칸 클래식을 담아내는 디자이너의 감각이 돋보인다. reviewed by SJ Sitting upon 12 acres of land along with a barn and a swimming pool, The William Wurster Ranch is a prime example of California Cool. Interior designer Charles De L..
도시공간 구조에서 공용공간은 도시의 버퍼존 역활을 수행하며 단절된 도시공간 구조를 연결한다. 작은 섬나라 키프로스의 니코시아에 계획될 퍼블릭 스페이스는 이러한 현대적 도시공간의 다양한 접점을 연결하여 단절되었던 공간과 시간을 연결한다. 역사적 아이러니한 상황에 처한 지리적 특성은 이곳을 유럽과 아시아의 중첩된 문화를 혼재하게 되었다. 이로인한 그들만의 정체성은 현대도시 공간에서도 정의하기 힘든 복합다중공간이 되어버렸다.-어떻게 보면 일제강점기와 눈앞의 이익 추구를 위한 개발만로 아이텐티 없는 획일화된 공간구조로 변질된 우리네 도시를 닮아 있다. 누군에게 구불구불한 좁은 골목길은 불편함에 대상이였고, 한옥은 불편한 주거환경인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시간과 장소를 잃어버렸고, 개탄하며 그들을 손가락질 하고 ..
오늘은 재미있는 제품을 하나 볼까한다. 우리 삶속에 깊숙이 들어와 뺄 수 없는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하여 지구반대편에 있는 사람과도 소통하고 모르는 사람들과도 이야기 할 수 있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라이프와 아날로지한 우리 삶의 빈 곳을 채워줄 색다른 제품이 탄생하였다. 리틀프린터, 우리는 이것은 통하여 당신이 즐겨보는 뉴스 섹터를 출력하여 스크랩 할 수도 있고, 친구들과 즐길 퍼즐이나 잡답 또는 해야 할 일들을 출력하여 냉장고 위에 붙여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 언젠가 종이를 대체하는 디스플레이의 시대가 오겠지만 오래시간동안 거쳐온 우리 삶을 당장 바꾸기에는 아직 무리가 있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활용 범위가 넓은 리틀 프린터를 사용해 보는 것은 어..
도시는 인간삶의 패턴을 반영하며 삶의 패턴에 맞게 질서정연한 방식으로 정렬된다. 기존 산업화도시에서 변화하는 도시의 패턴은 그렇게 함부르크 하버에 위치한 할펜시티 호텔을 다양한 공간적 체험으로 변화시킨 숙련된 건축가의 감각속에서 재구성 되었다. 장소가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적극 활용한 컨테이터 박스의 활용은 공간을 재구성하여 이곳을 찾는 투숙객들을 이전시대의 시공간 체험으로 이끈다. 이것을 통한 공간적 체험은 도시공간 패러다임의 변화를 한정적인 공간내로 유입하여 시공간의 격차를 줄임으로써 공간의 체험적 너비를 넓힌다.이와같은 일련의 행위는 일반적인 사고의 틀에 갇혀 있는 우리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지점으로 작용하며 그라운드 레벨에 위치한 로비와 레스토랑, 바 그리고 샵을 통하여 항구생활의 과거와 미래의 비..
독일 슈트르가르트시의 중앙도서관은 기존 도서관에서는 찾을 수 없었던 커뮤니티 스페이스에 대한 고민이 심도있게 묻어 있다. 지하 4개층을 오픈하는 보이드 스페이스는 지하공간을 오픈 / 통합하는 동시에 비쥬얼적으로 색다른 공간 체험을 유도시킨다. 여기에 지하 4개층을 연결하는 오픈형 계단은 각 레벨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며 여기서 얻은 건축적 체험을 통하여 '소통의 단절'을 연결하는 건축적 컨셉을 보여준다. 지역적 차이와 문화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언어 분리-소통의단절-를 건축공간의 체험에서 통합할려는 건축가의 의도는 4개의 방위가 만나는 벽면에 각기 다른 언어로써 쓰여진다. 이렇게 쓰여진 각기 다른 언어는 오픈 스페이스를 통하여 통합된다. -로컬언어인 독일어는 북측벽면에, 국제언어로 통용되는 영어는 서측벽면에,..
산 정상에 우뚝 서 있는 블랙볼륨은 자연의 일부분인양 커다란 암석과 같이 자연을 대표하는 심볼이 되어 이장소를 새롭게 정의한다. 비탈진 경사면 위에 세워진 주거는 땅에 반쯤 묻혀 있는 지하부분과 상층부로 구성되며 각기 다른 공간으로 자연을 맞이한다. 지면에 맞다 있는 지하부분은 커다란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후면으로 선큰 되어 있는 커다란 외부 보이드 공간을 내부로 유입시켜 자연과 동화된다. 이와는 반대로 8미터 정도를 부유하는 듯한 캔틸레버 스페이스는 외부를 덮고 있는 블랙박스로 태평양의 드라마틱한 뷰와 동화된다. 이렇듯 드라마틱한 볼륨은 2가지 자연-바다와 산-이 접목되면서 이곳을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된다. 어느누구라도 이곳에 들어오면 자연이 주는 경외함에 침묵하며 거대한 자연속에 동화되는 색다른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