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재생, 새롭게 건립된 3개의 오피스 빌딩, 시븐 앙상블은 잃어버린 장소의 기억에 대한 회귀로 건축가가 장소에게 지켜야할 약속을 극명하게 표현한다. 이전 소비에트 연방 시절 거대한 군수산업지대로 주변 자연환경과의 단절된 시공간을 연결하는 건축은 중심부에 위치한 중정을 기점으로 각각 3개의 빌딩이 배치된다.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큰 특징인 파사드 디자인은 이전(소비에트 연방 이전 공원에 대한 회상) 장소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며 이곳의 3계절에 해당하는 다양한 꽃들과 식물들의 패턴디자인으로 구현된다. 먼저 중심부에 위치한 지마 비즈니스센터는 역사적인 포티코 양식과 (6개의 코린티안 기둥) 겨울을 테마로 (밝은 회색과 검푸른 색의 조화) 디자인되며, 각각 좌우에 가을을 모티브로 오렌지 컬러의 다양한 꽃들이..
젊음 or 우아함 / 럭셔리 or 경제적인 ? 젊음 and 우아함 / 럭셔리 and 경제적인 ? 도쿄 신주쿠 백화점 3층 68sqm공간에 새롭게 문을 연 팝업 스토어, 3.1 Phillip Lim의 휘황찬란한 인테리어를 통해 우리는 우리가 갖고 있는 아이러니를 본다. 앞서 던지 화두와 같이 상반된 시각 속에 우리는 항상 그 중간 어딘가의 접점을 찾는다. 그리고 그것을 양보의 미덕이라 생각하며 자신의 양 어깨를 다독거린다. 여기 팝업 스토어 인테리어는 상반된 두개의 시선을 하나의 공간 속에 투영한다. 공간을 구성하는 두개의 상반된 곡선 스트럭쳐; 옷을 걸기 위한 행잉 구조와 물품 비치를 위한 창고, 피팅룸는 대칭을 이루며 서로운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로 마감, 대칭을 이룬다. 여기에 바늘과 같이 촘촘히 천..
과거의 역사적인 시간은 현재의 생활을 담는 그릇이다. 자금성 남동쪽 황실사당을 구획하는 붉은벽돌 벽에 맞다있는 오래된, 버려진 두개의 창고는 이제 리노베이션을 통해 주변지역의 문화밴드를 형성하는 노드포인트, 티하우스로 재구축된다. 이전 계급사회의 신분을 구분짓던 붉은 벽은 이제 단순히 황실정원을 구획하는 물리적인 바운더리로 여기 티하우스를 구성하는 역사적인 상징물로 개입된다. 그리고 그 공간 사이에; 역사적인 벽과 버려진 창고 사이에 다음 세계(새로운 세계)를 상징적으로 의미하는 셀구조 지붕 (세포분열을 통해 성장하는 이미지를 내포한다. 자립형 철골구조로 글래스 클러스터로 구축된다.)을 디자인하며 링크된 7개의 셀타입의 룸을 연결, 확장한다. 황실의 전통은 티하우스를 재구성하는 건축적 제스처로 각종 문화..
자연속으로 사라지거나, 적나라하게 자신을 표현하거나. 이중적인 시선을 통해 설치물은 외부에 마감된 거울로 주변자연환경을 반사, 자신을 자연 속으로 사라지게 하거나, 내부에 설치된 조명으로 독창적인 시퀀스를 연출한다. Working in color, light, space, and form, Phillip K. Smith, III creates deceptively simple objects of contemplation, transformation, and interaction. His newest project Reflection Field continues to explore ideas of colour theory, optics, perception, scale, and technology. Phi..
미디어 도서관은 3개의 방향; 동측, 서측, 남측에서 각기 다른 이미지와 뷰를 생성한다. 동측은 도시를 바라보며, 서측은 운하를 바라본다. 그리고 이러한 지리적 특징은 운하를 건너 브릿지를 통해 자연을 도시롤 연결시키며, 도시의 소음과 움직임으로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자유롭게 한다.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된 남측은 이러한 도서관의 특징을 적나라하게 구현하며 내부외부 경계없는 고요한 그리고 평온한 쉘터로 도서관을 형성한다. 미디어 도서관을 구성하는 원칙은 아래와 같다. 러시안 돌 시스템 도서관은 몇개의 다른 레이어가 중첩되며 이루어 진다. 그 첫번째는 작렬하는 태양과 외부환경으로 부터 내부환경을 보호하는 얇은 크로스바로 독서와 고요한 공간연출을 확보한다. 두번째 레이어는 로비와 열람실이 위치한 공용공간,..
London and Rotterdam based architecture firm, Maccreanor Lavington has completed a major new metro station in Amsterdam, Netherlands. The new 550m² station and 1,880m² platform in the neighbourhood of Bijlmermeer started on site in 2010 and sits on the site of the original station, built in 1970. Architects: Maccreanor Lavington Architects Location: 1103 Bijlmermeer, The Netherlands Area: 1880.0..
파사드 디자인은 건축물의 지향점을 적나라하게 표현하는 주요 수단이자, 외부환경으로 부터 내부환경을 보호, 지속가능한 공간을 구현하는 기능적 요소로 사용된다. 제한적인 건축물의 상황을 수용하며 태양 복사로 인한 내부 열에너지 과부하 방지, 직사광선 방지와 더불어 풍부한 간접광 유입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5가지 변수를 고려, 반영한다.(칠레의 산티아고는 난방부하보다는 태양으로 인한 냉방부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화두이다.) 1.주변건물 그림자에 대한 연구 봄 중반, 여름, 가을 중반에 측정된 태양고도에 따른 건물의 그림자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대입, 태양복사로 인한 열에너지 데이타를 구축. 2. 향에 따른 파사드 차별화 서쪽과 북쪽에 집중되는 태양복사 열에너지 검토. 3. 태양의 입사각을 고려한 파사드..
독창적이며 진보적인 기업이미지의 재고는 소통지향형 공간을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만족하는 공간의 생성은 상이한 요소들의 접합, 합성, 통합을 통한 오픈플랜으로 제한된다. 여기 암스테르담 산업단지 Zuidoos, A10 구역에 들어선 지스타로우 헤드쿼터는 상이한 각 분야 및 시설들 간의 유사한 교차점을 이용, 장축으로 긴 170미터, 27,500㎡ 면적 속에 지스타로우의 핵심코어 공간들 -오피스, 워킹스페이스, 지원시설, 주차장-을 배치한다. 그리고 지원시설과 창의적인 코어공간 간의 구분은 재료의 대비와 깊이에 따라 구분 배치되어 각 공간의 특성을 건축외형에 투영하게 된다. -건축물의 전반적인 베이스가 되는 블랙콘크리트를 이용, 모놀리틱한 솔리드 속에 이와 대비를 이루는 투명한 글래스 파사드를 매치,..
청소년을 위한 캠프, 팰리스 오브 스쿨칠드런은 청소년을 위한 쉘터를 목표로 지역 전통의 거주방식 (Khan Shangyrak)의 재해석과 절대주의 (기하학적 형태론을 바탕으로 형태 본질을 탐구한다.) 의 장중한 볼륨의 만남으로 구축된다. - Khan Shangyrak은 카자흐스탄, 유목민들의 전통적인 거주공간으로 가운데 모닥불을 중심으로 실린더형태로 구성된다. 나무를 이용한 골격위에 가축의 가죽을 둘러 완성, 목초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경량화 된 것이 특징이다.- 이와같은 재해석 과정은 센터의 상부에 지름 156미터, 높이 8미터의 대형 실린더 형태를 디자인하며 하늘로 열린 천창과 더불어 내부 아트리움으로 대량의 자연채광을 유입시킨다. 그리고 형태의 구성을 보는 듯한 적층된 '박스'는 청소년들을 위..
그곳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스페인 남부, 지중해 인근에 풍부한 자연환경 속에 작은 파빌리온 하나가 자리한다. 자연과 대지, 그리고 인공적인 건축물과의 관계 속에서 파빌리온의 형상은 형성되고 정의된다. 이것은 오스카 니마이어의 어프로치처럼 자연으로 부터 시작, 다시 자연으로 회귀하는 순환루트로 자연과 동기화되는 지속가능한 건축을 지향한다. 그리하여 선택한 건축 어휘는 자연과 대지위에 개입하지 않으며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연한 글래스로 파사드를 디자인, 외부환경을 조도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하며 적절하게 사라진다. 내부공간은 특별히 프로그램을 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플랜으로 디자인한다. 전시장, 뮤직홀, 커뮤니티를 위한 다양한 이벤트 공간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