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향적인 정보의 전달은 지양한다. 여기 자연과 소통하는 스쿨은 일방향적인 정보; 교육의 전달이 아닌 소통을 통한 양방향 교류; 인터렉티브 스페이스를 지향한다. 풍부한 자연환경 속 자리한 스쿨은 외부환경과의 조우를 위해 동서측 방향으로 리니어한 형태를 띄며 -축의 방향에 따라 건축믈은 남향으로 열린, 북향으로 닫힌 배치를 이룬다.- 직선이 아닌 주름진 건축공간을 완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주름진 공간은 지면으로 부터 지붕면까지 투명한 글래스 파사드로 디자인 되어 내외부의 밀착된 경험을 이끈다. 이렇게 밀착된 공간은 소통의 관계를 증폭시키며 내부 동선에 따라 배치된 다양한 커뮤니티 스페이스; 미팅, 컨퍼런스를 통하여 완결된다. 그로인해 공간은 더욱더 풍부해지는 효과를 가져오는 동시에 자연과 공간을, 공간과 ..
삶의 연장자; 노인들을 위한 주거시설은 그들의 안정적인 삶을 제공하는 안식처로 주위환경과 긴밀하게 조우되는 건축공간 속에서 실현된다. 확연히 구분된 두개의 생활공간으로 분리된 주거동은 중심부에 위치한 메인홀과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주출입구로 구성된다. 효율적인 동선체계 구축 및 합리적인 공간 조닝을 통해 입주민들은 개인적인 생활공간 확보 속에 사생활보호와 작업공간 확보를 완성한다. 여기에 내부와 외부, 퍼블릭과 프라빗, 글래스와 우드 등 각각의 대비되는 요소 및 개념이 친밀하게 발란스를 이루며 노유자시설을 대지속에서 자립시킨다. -건축의 외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글래스 박스는 각 개실마다 외부의 뷰와 채광을 확보하는 동시에 우드와 글래스, 보이드와 솔리드로 구분, 대비되는 건축의 다양성을 표현, 건축을..
심플 박공지붕, 모놀리틱한 볼륨은 도시공간 속 자의적인 요소를 배제한 모던건축의 연장선상에서 읽어야 한다. 그리고 도시와의 호흡을 위해 전창으로 열린 파사드는 내외부의 밀착된 경험을 유도, 내부공간의 특징을 외부로 표출한다. 자신의 당위성; 헤어샵을 외부로 알리는 주요한 마케팅이자, 건축공간이 갖어야 할 당위성; 호흡, 소통을 자연스럽게 구현한다. 여기, 볼륨을 구획하는 우드패널은 내부 구조시스템; 경량 철골 트러스를 비롯한 철골 구조 시스템과 조화를 이루며 공간을 완성한다. -내부 철골부재는 가능한 얇은 재료를 사용 구조로 인하여 공간이 침해 당하는 것을 방지, 공간의 경쾌함을 유도하였다.- reviewed by SJ In our second story today from Japanese firm Ry..
offering a place of sanctuary atop of the new chicago lurie children’s hospital, american studio mikyoung kim has created the interactive ‘crown sky garden’. designed for children, families, doctors and administrators to use, the rooftop escape features curving multi-coloured walls that frame a linear bamboo grove. a dynamic interplay between light, and color is accentuated by the glass marble w..
프라이즈 뮤지엄은 크게 두가지 측면에서 접근한다. 지역주민들을 위한 물리적인 커뮤니티 스페이스 제공, 장소에 대한 기억; 예술, 문화, 역사를 투영, 재구성하여 시공간을 연결하는 장소로써의 역활. 이 두가지를 전제로 박물관은 시작된다. 쇼핑센터와 광장사이에 위치한 입지는 저층부를 비워 두개의 도시공간을 연결; 물리적인 보행로를 확보하는 동시에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편의시설을 위치, 박물관과 도시를 연결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공간구성은 19세기 네오클래식을 연상케 하는 슬랜더한 기둥, 그리하여 구조로 부터 자유로워진 건축의 라이트함으로 외부로 열린 광장 및 도시를 조망 할 수 있도록 열린 커튼월로 구축된다. 여기에 상층부는 이 지역의 예술과 문화, 역사를 전시하는 오픈형 갤러리가 위치, 3개의 레벨공간에서 ..
퍼즐 큐브 파사드; 실시간으로 인터렉티브 되는 파사드와 퍼즐큐브, 사용자가 퍼즐조각을 맞추는 동안 거대한 건축물의 파사드는 퍼즐큐브처럼 다양한 컬러의 조명으로 실시간으로 변화하며 흥미로운 시퀀스를 형성하게 된다. 무척이나 흥미롭다. ‘puzzle façade’, by spanish artist and designer javier lloret, brings the experience of solving a rubik’s cube to the urban space. the project transforms the façade of the ars electronic building in austria, into a interactive, vibrantly-colored cube, changing chroma ..
로테르담 시내 중심부, 도심 주거환경 개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된 B타워 프로젝트는 기존에 위치한 대형 상가 -1955년에 건립된 백화점- 와 연접, 연결되며 리테일과 레지던스로 구성된 복합 주거 건축물로 디자인된다. 70미터의 높이의 빌딩은 저층부, 포디움 섹션과 고층부, 타워섹션으로 구분; 먼저 포디움 섹션은 지면의 보행자로와 집적 연결되는 리테일과 로비 그리고 중층에 자동차 주차를 위한 파킹 스페이스가 위치한다. 가로환경의 접근성 - 보행자를 위한 공용공간 확보-을 높이는 동시에 거주자의 원활한 도심생활을 보장하는 주차시스템은 자동차 전용 리프트를 이용, 총 2개레벨에 64면의 주차공간을 계획, 커튼월을 통한 도심경관을 바라보는 색다른 경험 또한 선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상층에 설치한 주..
중국전통의 요소와 현대적 디자인의 결합을 통한 '흐름'을 주제로 하는 거대한 쇼핑몰; 한재 완다 스퀘어는 국제적인 브랜드 스토어를 표방하며 월드클래스 부띠끄와 아울렛, 시네마로 구성된다. 이러한 흐름의 테마는 건축물을 관통하는 주요한 컨셉으로 내외부의 다양한 건축적 요소를 디자인한다. 먼저 남북으로 위치한 두개의 앵커플레이스,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복도는 흐름을 형상화한 패턴 및 곡선으로 시각적 인포메이션을 제공, 쇼핑몰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원활한 동선을 유도한다. 두개의 앵커플레이스는 다양한 형태론, 재료, 디테일을 통해 다른 테마로 구성, 각기 다른 캐릭터를 갖는다. 먼저, 북측의 앵커플레이스는 따뜻한 계열의 골드와 브론즈 재료를 사용, 중국의 전통과 역사를 공간에 투영시킨다. 이와 대비되는 남측은 ..
지하철 역사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공간은 승객들의 안전하면서도 쾌적한 승하차 공간을 보장하는 동시에 물리적인 거주환경의 질을 확보하는데 있다. 거기에 지하철 역사의 캐릭터를 창출하는 일은 당연한 일이다. 폭 20미터, 길이 140미터의 지하철 내 콘코스 구역의 기능적 공간확보를 위한 건축적 장치는 건축과 구조 그리고 디자인을 일체화한 콘크리트 프레임+ 글라스 블록으로 구축된다. 이와같이 구축된 무주공간은 지하철의 안전한 운행통로 확보와 승객들의 승하차 동선 및 대기공간을 형성하며 역사 내부를 밝고 광활한 오픈공간으로 연출시킨다. reviewed by SJ S-Bahn trains will cross beneath the centre of Leipzig from December 2013. This is wh..
스패니쉬 계열 호텔 체인 '룸 메이트 호텔 에티나'가 암스테르담 IJ 부두에 새롭게 문을 연다. 거대한 암석;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곳에 자리 잡은 거대한 암석같은, 을 떠올리는 호텔의 볼륨은 총 13층 높이에 고객들의 평온한 휴식을 위한 객실부가 위치하며 저층부에는 다양한 여가, 휴게시설이 위치한다. 아웃도어 카페, 레스토랑, 바를 비롯하느 다양한 휴게시설은 투숙객들은 물론 부두의 기타 시설과 연계되어 이곳을 방문하는 시민들에게 열린 공간으로 제공된다. 바다와 육지의 경계, 장소의 드라마틱한 스퀀스와 아름다운 바다의 수평선은 내부에 디자인된 감각적인 현대적 인테리어와 함께 호텔을 정의한다. reviewed by SJ reminiscent of large rock formations on the 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