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패니쉬 계열 호텔 체인 '룸 메이트 호텔 에티나'가 암스테르담 IJ 부두에 새롭게 문을 연다. 거대한 암석;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곳에 자리 잡은 거대한 암석같은, 을 떠올리는 호텔의 볼륨은 총 13층 높이에 고객들의 평온한 휴식을 위한 객실부가 위치하며 저층부에는 다양한 여가, 휴게시설이 위치한다. 아웃도어 카페, 레스토랑, 바를 비롯하느 다양한 휴게시설은 투숙객들은 물론 부두의 기타 시설과 연계되어 이곳을 방문하는 시민들에게 열린 공간으로 제공된다. 바다와 육지의 경계, 장소의 드라마틱한 스퀀스와 아름다운 바다의 수평선은 내부에 디자인된 감각적인 현대적 인테리어와 함께 호텔을 정의한다. reviewed by SJ reminiscent of large rock formations on the edge..
연방정부센터 사우스 빌딩 1202는 시애틀 남측에 위치한 기존 웨어하우스를 리뉴얼한 건축물로 연방정부의 다양한 업무수행과 지역주민들의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는 복합공간으로 제안된다. 하이 퍼포먼스, 경제적인 건축환경 그리고 지속가능한 근무환경을 위한 토탈 디자인은 이번 프로젝트의 지향점으로 내외부가 밀착된 U자 형태의 건축공간으로 완성된다. 그리고 건축물의 상징적인 이미지 구현과 효율적인 근무환경을 완성하는 디자인 컨셉은 자연의 곡선에서; 인접한 드와미시강의 굽이치는 물길에서 받은 메타포를 정부센터의 팀단위 작업체계에 효율적인 유연한 공간으로 제공된다. 특히 건축물 중심부에 위치한 인도어 캠퍼스는 빌딩의 소셜센터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공용서비스와 커뮤니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용공간을 구성하는 기존..
스토어 브랜드 오피스 프로젝트의 지향점은 주변환경과의 조화, 친자연적인 건축재료의 사용 그리고 이를 통한 건강한 작업환경 구축에 있다. 약 1500명 가량의 노르웨이 은행직원과 보험직원들의 효율적이며 활동적인 비즈니스 플랜을 제공하는 내부 사무공간은 체계적으로 정립된 인포메이션과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적인 연결을 따라 각각의 전용공간으로 구분된다. 특히 이러한 내부환경 조성을 도와주는 콜트파사드 시스템은 최상의 컨디션을 위해 채광, 환기를 비롯한 방음의 기능을 완벽히 수행한다. 여기에 직원들의 복지를 위한 서비스 공간은 레스토랑, 두개의 까페, 샵, 갤러리, 아트 스포츠 공간과 건축물 후면에 조성된 아웃도어 데크 스페이스로 구성된다. reviewed by SJ Lysaker Park is an exempla..
웰컴 비욘드, 그 특유의 감성이 또 한번 묻어 난다. 모던한 공간속에 만나는 안락함은 현대건축공간이 추구하는 심플, 모던, 기능 의 보편적 가치가 간과하는 인간감성공간으로 향한다. 여기 강위에 띄어진 '모던 하우스보트'는 이전 그들이 진행해온 일련에 감성공간의 연장선상에서 휴양지, 전원마을이 아닌 도시라는 인공환경 속에 쉘터로 디자인된다. 베를린 시티스케이프의 감성적인 시퀀스는 수면과 맞다 있는 우드 데크를 걸쳐 외부로 열린 전창을 통해 실 내부 깊숙히 유입된다. 더블베드룸, 리딩룸, 오픈 플랜으로 디자인된 주방 및 욕실은 이곳을 이용하는 4인 가족에게 도시를 즐기는 또다른 방법을 제공해 준다. reviewed by SJ Welcome Beyond, one of the best travel website..
캠퍼스 중장기 발전 플랜의 일환으로 교내에 필요로 하는 교육지원 프로그램과 갬퍼스 내 고유한 캐릭터 창출을 위해 이번 도서관 프로젝트는 시작된다. 주변시선을 압도하는 오가닉한 형상 -에어로 다이나믹한 형상-과 메자닛 층으로 겹겹히 레이어드 된 내부 콘크리트 슬래브로 도서관의 건축은 분리 된다. 구조로 부터 분리된 자유로운 외피는 지속가능한 건축의 지향점을 목표로 디자인된다. 같은 체적 내 가장 적은 외피면적을 차지하는 에어로 다이나믹한 형상은 건축물의 열에너지 운영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동시에 외부 태양으로 부터 유입되는 다량의 직사광선을 차단, 버퍼하게 된다. -때로는 투명하게 때로는 불투명하게 외부 판넬은 디자인되며, 이에 따라 유입된 자연광은 내부 이중 외피로 설치된 멤브레인 막을 ..
나노테크놀로지를 위한 대학의 프로그램 확충은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를 발촉시킨다. 대학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제안되는 테크놀로지 센터는 지역적 건축,자연 문맥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대학내 새로운 교육환경을 수용하는 타입폴로지를 정립한다. 건축물의 선형을 따라 배치된 내부의 연구실은 건축물 중심부에 위치한 중정, 그리고 이 중정에 면한 복도로 연결, 소통된다. 이러한 건축적 특징은 내외부의 간극을 밀착시키며 긴밀한 연결관계와 소통공간을 확보한다. 소통의 연속은 과학에서 예술로, 연구자에서 학생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며 소통된다. reviewed by SJ Poised at a new threshold to campus, the Krishna P. Singh Center for Nanotechnology w..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기존공간과 새로운 공간, 두개의 이질적인 공간이 얼마나 같은 공감대를 형성하는가에 따라 성공여부가 판가름 난다. (때로는 이질적인 대비감을 일부러 형성시키며 공간에 캐릭터를 부여하기도 한다. 공간에 성격에 따라 다르다.) 5개의 대형 아치 윈도우가 위치한 전면부에 수평으로 접합된 증축공간은 기존 건축물의 재료 -적벽돌-와 상이한 재료 -글래스, 스틸-를 사용하며 특색있는 상업공간을 창출한다. 도시컨텍스트와 법규 테두리 안에서 생성된 볼륨은 총 6미터 높이의 크기로 저층부는 1,196㎡ 면적과 중층의 445㎡ 면적으로 생성된다.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을 위한 레스토랑과 직원식당이 위치한 저층부는 3개의 기존 대형아치 윈도우와 나란히 접합, 기존공간과 긴밀히 연결되며 그 위에 직원들의 탈..
글래스 오피스. 유리와 거울 그리고 그안에 담긴 공간들. 상하이에 위치한 소호 오피스는 공간의 반사, 투영, 오버랩되며 다양한 공간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공간의 다양성은 유리를 사용하며 극적인 디자인 연출방법으로 구현되며,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공간이 깊어지고 얕아지는 시각적 경험을 이끈다. 특히 유리 넘어로 투과되는 내부의 기존 벽체, 바닥, 천장면과 외부의 광할한 상하이 시내의 풍경은 오버랩된 내부 공간과 조우를 이루며 드라마틱한 환경을 조성한다. reviewed by SJ An all glass and mirror inner cladding exposes the infrastructure of SOHO's new office building in Shanghai. The glass creates m..
건축가팀 DIALOG가 추구하는 건축목표는 주변환경, 랜드스케이프와 통섭되는 지속가능한 건축 공간 속에 교수, 학생들간의 다양한 커뮤니티를 보장하는 배움의 장을 생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건축의 시작에는 에너지흐름을 효과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건축시스템, 액티브 디자인과 주변환경과 건축과의 관계를 정립하는 패시브 디자인으로 부터 시작한다. 특히 내외부의 2,600스퀘어미터, 5층 크기의 건축물을 감싸는 외피, 글래스 커튼월은 이러한 테마를 능동적으로 구현하는 디자인 요소 "사이언스 온 디스플레이"로 효과적인 채광과 환기를 만든다. 이를 통해 내부의 모든 실은 자연, 외부환경과 밀착되며 설비에 의한 공조, 냉난방을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며 효과적인 에너지 세이빙 건축물을 구현한다. 리드 플래티넘 빌딩은 아무렇게..
At Design September in Brussels, El Ultimo Grito will present Collapscapes – a series of fictitious industrial spaces that expand on the designers’ existing Imaginary Architecture series. Four glass works, Chemical Plant, Mine Shaft, Super Collider and Gas Depot, look at industrial architecture and the contraction (or collapse) of industrial sites that follows increasingly mechanised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