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중과 인정 그리고 가로환경에 대한 깊은 해석의 프로젝트이다. 우리가 가로변 느끼는 높이는 어느정도일까? 도심, 빌딩 숲을 걷고 있는 당신의 눈높이는 어디까지 인가요? 분명한 것은 가로변에 입주해 있는 상점주인의 몫도 아니고 도시환경을 관리하는 도시과의 몫도 아니다. 건물에 대한 그리고 도시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계획하여야 하는 건축가의 몫인 것이다. 피티더블유는 스트리트 레벨과 고층레벨의 분리를 통하여 새로움과 익숙함 그리고 존중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익숙한 새로움은 그래서 우리로 하여금 더욱더 그 공간안으로 유입되도록 만드는 촉진제가 되어준다. In June 2010, PTW Architects won a limited competition among five Australian practic..
지속가능한 건축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다. 일련의 그들의 작업의 연장선에 있는 듀오 오피스는 형태의 아이텐티만을 디자인 하는 것이 아닌 패시브 디자인이 얼마만큼 형태적인 디자인 요소로 잘 활용되는지 보여주는 예이다. 특징으로는 수평으로 전체 건물의 띠를 이루고 있는 호리존틀 핀이 있다. 이 핀은 수평의 루버역활을 하여 태양빛을 적절하게 차양하여 실내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바람길에 의해 냉각되는 유선형 단면적을 이용하여 실내의 과부화된 온도를 냉각시켜주는 두가지 역활을 한다. 물론 여러가지면에서 현존해 있는 지속가능한 건물과 유사하고 더 진보된 아이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외부에 수평으로 돌출된 루버를 디자인 요소로 잘 활용하여 전체적인 컨셉을 마무리 지은 디자인 통합력은 센스이상의 깊이감..
7개의 굽이치는 폴딩안에 형성된 7개의 성스러운 예배공간은 7일동안 만들어진 성스러운 역사를 재연한다.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현한 고딕양식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교회의 이미지를 형상화 한다. 종교를 담는 공간은 공간이 주는 특성상 아이텐티한 공간, 또는 형태를 상당히 랜드마크적인 공간으로 형상화 한다. 형태에서 주는 우월감을 종교에 대한 믿음으로 연결시키는 이와 같은 공간 계획은 중세부터 내려오는 교회의 우상화 작업과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분명 건축물마다 각기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어 그에 맞는 얼굴을 갖고 있어야 하지만 종교적인 건축물만큼 형태에 집착하지 않는다. 조그만 부담감을 덜어 내면 안될까? The new yorker architecture office Axis Mundi is behind th..
순백색의 영혼을 따라가 보자. 죽음과 삶이 공존하는 곳. 영원한 작별과 영원한 약속이 공존하는 곳. 라우웬스 채플의 중정은 우리에게 영혼과 작별하는 안녕의 시간을 보여준다. 중정에 면한 복도는 자연스럽게 외부의 환경과 버퍼존 역활을 하며 공간의 분위기를 중화시켜 준다. 건축에 있어 재료는 어떤 컨텐츠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라우웬스 채플처럼 공간감이다. 깊이 있는 공간은 어떠한 장식물도 필요없이 각 공간들을 무한히 확장시킨다. 확장된 공간은 죽음과 삶을 이어주는 연결고리가 되어 안녕히 영혼과 작별하도록 도와준다. 더 많은 장식물과 더 자세히 설명을 건축물과 공간에 하였다면 오히려 순수성을 잃어 서로다른 공간을 이어주지 못했을 것이다. Late last year, Finnish firm Av..
황하 그 바람이 불어가는데로... 독특한 발생부터가 눈길을 끄는 프로젝트다. 사이트(황하) 가지고 있는 모래, 바람의 자연적인 환경을 모티브로 유니크한 랜드마크 호텔을 지오메트릭 폼의 형태로 발전시켰다. 강가 주변의 돌이 물에 씻겨 나가듯이 바람의 흔적에 모래속의 돌이 들어 나듯이 물과 바람이 흘러간 흔적은 거칠지만 자연스러운 형태로 남아 각각의 고유한 뷰를 만들어 낸다. 호텔이 들어선 방향성 또한 사막으로는 솔리드하면서 예리한 형태를 구현하여 건물의 자생력(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주는 역활을 하고 있다. 주변 인프라와 관계성이 중요한 호텔의 특성상 대지가 같는 환경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엘로우 리버 호텔과 같이 대지의 환경적 요인을 잘 반영하여 랜드마크적인 공간을 제한하는 일 또한 향..
중정을 내어 만들다: 도심형 주택설계를 하다보면 앞마당과 뒷마당을 갖는 형식이 아닌 중정형 설계를 많이 하게 된다. 외부로 부터 자연스럽게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도심에서 느낄 수 없는 아웃도어스페이스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아트리움 하우스는 그런 측면에서 현재 계획되어지는 도심내 중정형 주거와 비슷하다. 중정을 기준으로 한쪽면은 게스트룸과 게스트 베스 그리고 주생활공간에서는 저층부에 거실 겸 부엌을 연계하여 공간의 확장성을 좋게 하였다. 단순한 공식으로 거주자에게 만족을 주는 것은 건축가의 능력이자 힘이다. This house for a bachelor began as a one-story workshop that occupied the entire 22’x100’ site.The pre-existin..
다니엘 리베스킨트가 설계한 세컨드 하우스 파격과 센세이션, 예각이 주는 날카로움, 조각과 조각, 공간의 파편들... 각 공간들간에 연속적인 긴장감은 공간과 공간의 시선을 끊지 않고 다음 공간으로 연계시켜 주는 연결고리 역활을 하여 준다. 이 긴장감을 유지함으로써 현재의 공간과 이전의 공간 그리고 다른 레벨의 공간이 확장되는 것이다. 외형적인 형태에 보여지는 조각난 공간들은 결국 단일공간으로 확장되어 읽혀진다. 정신착란증의 무자비한 선과 면속에서 그의 공간을 읽는 것은 결코 쉽지않다. 이번 프로젝트도 여타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바닥,벽,천장을 이루는 각기 다른 객체(면)를 수리적 개념에 의한 공간이 아닌 환경적 개념의 공간으로 계획하여 만들어 졌다. 우리는 지금 수리적 영역에서 설계하고 구조화 하고 있다...
감각적인 메스의 디자인 선택이 돋보인다. 공중을 부유하는 형태는 하늘을 날아갈 것만 같은 배와 닮아 있다. 두개의 공간이 중첩되면서 발생되는 아이텐티한 공간은 내부 콘서트홀의 유니크한 형태가 더욱더 돋보이도록 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물론 외피의 면적이 많아 질수록 금액에서 부담이 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랜드마크를 위해 건물에 힘을 불어 넣기 위해서는 특정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들어가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 주경에는 정형화된 커튼월을 읽고 야경에는 메시브한 컨서트홀의 유니크한 형태를 읽는 것이 이 프로젝트만의 매력으로 다가올 것이다. Founded in 1824,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is one of America’s leading research universitie..
중국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파사드에 깊이 새겼다. 중국의 고대의 유물들을 전시하는 박물관은 건물자체가 기념비적 역활을 한다. 예로부터 우리는 특정한 장소에 기념비를 세움으로써 그 장소에 특별하고 고유한 아이텐티를 부여했다. 광동뮤지엄은 광저우시의 새로운 도시사업의 일환으로 그 역사와 장소성을 계승한다. 깊이 새겨진 패턴을 따라 들어간 내부의 공간은 커다란 아트리움 중정을 기준으로 다이나믹한 메스로 구분되어 진다. 또 그 메스는 갤러리가 되고 복도가 되고 휴게공간이 된다. 슈퍼메시브한 덩어리를 나눌때 건축가는 여려가지로 방향성을 잡는다. 일반적으로는 내부 조닝에 따라 덩어리를 나눈다. 특정 컨셉에 따라 혹은 친환경적, 구조적에 따라 덩어리를 구분한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와 같이 패턴화 하여 덩어리를 구분..
2세대를 위한 고급주거를 보여주다: 상당히 불리한 대지 조건(전면:3.7m,깊이25) 을 효과적으로 풀어낸 프로젝트이다. 크게 두개의 생활공간으로 나눈 후 그 두개의 공간의 중심에 자연적으로 빛과 공기가 유입 될 수 있도록 4개층을 오픈한 중정을 만들었다. 또한 중정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세대를 위한 생활공간은 적절히 나누어진 버퍼존의 형성으로 개인생활과 공용생활의 경계를 만들어 주고 있다. 수직으로 분리된 생활공간은 각각의 독창적인 계단을 통하여서도 재미있게 디자인 구분되어 진다. 물론 수직적 공간을 어른들이 사시기에는 상당히 불편한 점이 많다. 젊은 사람도 마찬가지라 본다. 중정을 기준으로 수직적 구성이 아니고 층간으로 구분하여 수평적으로 세대를 활용하고 한층을 스킵으로 엇갈려서 구성하였더라면 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