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SURA-CASA TER 소극적인 건축을 지향하는 주택은 두개의 낮은 직사각형 볼륨이 L자의 형태로 배치됩니다. 그 중 하나의 볼륨 위에는 아치돔 형태의 지붕으로 디자인 됩니다. 모래색의 콘크리트와 수평 줄무늬로 재료의 켜를 표현하는 외관은 주변 자연환경과 동기화하는 건축어휘로 거대한 돌덩이리, 또는 오브제 같은 느낌을 전달합니다. Casa Ter: A Vernacular-Inspired House in Spain Celebrates the Tactile Beauty of Catalan Craftsmanship Located amid a rural setting of farm fields, pines and oaks in Baix Empordà, a coastal county in Costa Brav..
António Costa Lima Arquitectos-Residential Building by the Aqueduct 입면디자인 방향은 도시환경에 적극적인 호흡을 위해 동쪽에서 서쪽으로 외관의 개방률을 높여간다. 반복적인 솔리드 외관은 철골구조프레임으로 개방되며 변화한다. 이러한 건물외관은 리스본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테라스를 만들며, 건물의 서측을 가볍게 디자인, 도시환경과 적극적인 호흡을 유도한다. The demolition of the pre-existing warehouse and the construction of this new building on a backed plan allows uncovering a section of the Águas Livres Aqueduct, call..
Gardini Gibertini Architetti-HV Pavillon 하우스 공간은 고대 로마의 건축양식을 현대에 재현하는 기하학적 공간구성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불필요한 요소는 배제됩니다. 내부 마감재 또한 구조체; 콘크리트를 그대로 노출하여 사용한다. 바닥 또한 콘크리트 바닥면 위 레진으로 처리하여 사용한다. 여기에 원목 그대로를 구현한 가구와 마감재가 공간의 온도를 균형감 있게 맞춘다. HV Pavillon is a minimal space located in Maremma, Italy, designed by Gardini Gibertini Architetti. Raised off the ground, the building is presented as a pavilion released to..
Pedra Líquida-São Bento Residences 거대한 콘크리트 볼륨은 포르토의 전통적인 건축양식을 현대적 도시환경에 재해석한 입면 디자인 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패턴으로 지역기후에 대응하는 건축방법으로 보여집니다. 그보다 장중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건축계획이 독창적인 공간을 표현합니다. The São Bento Residences project is located on a notable corner of Porto's Historic Centre, next to the city’s main station and just a few meters from the old cathedral. This corner results from a 1940’s demolition p..
not architects studio-Weather House 도시환경에서 중요한 쉼표역활을 수행하는 도심공원에 마주한 이번 하우스는 외부환경과 적그적인 조우를 추진한다. 구조역활과 마감재 역활을 수행하는 콘크리트 이외에 창호는 전면 개방된다. 그렇게 사라진 내부는 외부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하우스의 이름처럼 날씨에 따라 함께 하게 된다. Weather House is a minimal residence located in Tokyo, Japan, designed by not architects studio. In front of the site, there is a large park with lush greenery that serves as a walking path for people. When ..
자연과 가장 가까워지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단층으로 구성된 주택은 최소한의 건축을 통해 공간 본연의 모습에 가까워지도록 노력한다. 외벽의 구조적 역활을 담당하는 콘크리트는 외장재(마감)의 역활 또한 함께 수행한다. 구조적 해석을 제외한 비내력구간은 외부와 소통을 위한 창으로 적용한다. 내부 마감재 또한 자연스런 목재를 적용, 미니멀한 거주환경을 구현한다. House LO by Ateliér Lina Bellovičová was completed in 2018 in Chřiby, Czech Republic, and uses Hempcrete as its primary building material due to its great insulating features, recyclability, and res..
지역기후와 자연환경을 고려한 하우스가 완성됩니다. 덥고 습한 열대기후 속에 건축은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차양 및 공간과 자연환기를 통해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열린 공간을 계획합니다. 콘크리트를 구조 바탕으로 우드재질의 마감재가 편안한 거주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수평요소인 바닥 및 지붕과 수직요소인 기둥은 단순하면서도 직설적으로 구조화 되어, 미니멀 건축의 모습을 그립니다. There are very few walls in this house in rural Bangalore, designed by architecture and design studio Taliesyn, so that residents can enjoy the tropical landscape surroundings. Named Ksa..
경사지에 있는 전망 좋은 장소에 건축은 어떤 방향으로 해야 할까요? 첫번째는 지형지물에 순응하는 건축을 합니다. 비탈면을 따라 건축물의 방향을 위치시킵니다. 두번째는 외부 자연환경과 최대한 호흡하기 위한 장치를 계획합니다. 건축물의 방향에 직교하는 (비탈면에 직교하는) 각 공간마다 연결 지점을 갖는 데크를 반영합니다. 그리고 이 데크를 구조화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드)를 완성합니다. How can we place a house on a steep hillside? This was the main challenge with the VG house project, where its functionality and its placement and construction were conditioned by ..
비스마크 하우스는 거주자의 생활방식을 그대로 담아 표현한다. 구조적 역활과 마감을 함께 수행하는 콘크리트는 약간의 표면처리를 거쳐 거주공간에 사용된다. 그리고 바탕으로 처리된다. 바닥에서 천장까지 열린 외부창호는 남측으로 열려, 집안 내부 깊숙히 채광을 유입시키는 동시에 외부로 열린 조망을 확보한다. 거칠게 처리되고, 표현된 듯 하지만 거주자에게는 직설적이 화법으로 따뜻하게 제공되는 거주공간이다. The Bismarck House is the younger sibling of a pair of semi-detached dwellings in Bondi. The design uses raw materials and sculpted spaces to integrate house and garden while..
주변환경과 동기화하는 건축은 위장, 그 안에 숨기 위한 장치일까? 내부 중정을 안고 L자 형태로 이루어진 주택은 주변 경사와 연속되는 지붕 기울기와 모래 컬러와 유사한 짙은 베이지 컬러로 마감된 노출콘크리트의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산속에 거대한 돌덩어리 같은 모습 같습니다. 굳이 드러내지 않고, 주변과 하나되는 건축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건축가의 의도가 보입니다. In the South of France, sited on a hill of olive trees, pinus pinea, and a vineyard, a family retreat was designed with a mission of maintaining the vitality of the site. An agricultural plot,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