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후와 자연환경을 고려한 하우스가 완성됩니다. 덥고 습한 열대기후 속에 건축은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차양 및 공간과 자연환기를 통해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열린 공간을 계획합니다. 콘크리트를 구조 바탕으로 우드재질의 마감재가 편안한 거주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수평요소인 바닥 및 지붕과 수직요소인 기둥은 단순하면서도 직설적으로 구조화 되어, 미니멀 건축의 모습을 그립니다. There are very few walls in this house in rural Bangalore, designed by architecture and design studio Taliesyn, so that residents can enjoy the tropical landscape surroundings. Named Ksa..
경사지에 있는 전망 좋은 장소에 건축은 어떤 방향으로 해야 할까요? 첫번째는 지형지물에 순응하는 건축을 합니다. 비탈면을 따라 건축물의 방향을 위치시킵니다. 두번째는 외부 자연환경과 최대한 호흡하기 위한 장치를 계획합니다. 건축물의 방향에 직교하는 (비탈면에 직교하는) 각 공간마다 연결 지점을 갖는 데크를 반영합니다. 그리고 이 데크를 구조화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드)를 완성합니다. How can we place a house on a steep hillside? This was the main challenge with the VG house project, where its functionality and its placement and construction were conditioned by ..
비스마크 하우스는 거주자의 생활방식을 그대로 담아 표현한다. 구조적 역활과 마감을 함께 수행하는 콘크리트는 약간의 표면처리를 거쳐 거주공간에 사용된다. 그리고 바탕으로 처리된다. 바닥에서 천장까지 열린 외부창호는 남측으로 열려, 집안 내부 깊숙히 채광을 유입시키는 동시에 외부로 열린 조망을 확보한다. 거칠게 처리되고, 표현된 듯 하지만 거주자에게는 직설적이 화법으로 따뜻하게 제공되는 거주공간이다. The Bismarck House is the younger sibling of a pair of semi-detached dwellings in Bondi. The design uses raw materials and sculpted spaces to integrate house and garden while..
주변환경과 동기화하는 건축은 위장, 그 안에 숨기 위한 장치일까? 내부 중정을 안고 L자 형태로 이루어진 주택은 주변 경사와 연속되는 지붕 기울기와 모래 컬러와 유사한 짙은 베이지 컬러로 마감된 노출콘크리트의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산속에 거대한 돌덩어리 같은 모습 같습니다. 굳이 드러내지 않고, 주변과 하나되는 건축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건축가의 의도가 보입니다. In the South of France, sited on a hill of olive trees, pinus pinea, and a vineyard, a family retreat was designed with a mission of maintaining the vitality of the site. An agricultural plot, t..
다음과 같은 재료로 내부는 구축됩니다. 콘크리트, 석재, 목재가 갖고 있는 고유한 물성을 그래도 표현합니다. 최소한의 건축으로 거친마감으로 온기가 있는 내부를 만듭니다. Haus zum Pudel is a minimal residence located in Beringen, Belgium, designed by Marazzi Reinhardt. The architects had the opportunity to acquire a property at a very favorable price in a prominent location in the village of Beringen in Klettgau. They wanted to use this to implement our idea of architec..
상파울로에 위치한 복합문화 공간 프로젝트 입니다. 기존 도시환경을 존중하며 새로운 문화 및 소통을 삽입합니다. 스포츠시설, 도서관, 치과시설등 도시환경 속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인프라 시설이 제공됩니다. in the bustling urban center of são paulo, on the corner of rua 24 de maio and rua dom josé de barros, a new building provides a wealth of leisure and culture spread across 14 storeys. the project, which has been completed by paulo mendes da rocha and MMBB arquitetos, is the latest ..
은퇴자를 위한 집. 별장으로 사용되는 이곳은 길다란 두개의 집이 연결된 평면구조를 갖습니다. 이는 외부환경과 내부를 최대한 밀착시키려는 건축의도로 콘크리트를 바탕으로 하는 미니멀 디자인이 적용됩니다. 여기에 따듯한 원목을 사용, 균형감 있는 거주공간을 완성합니다. READ & Architects builds retirement house that doubles as a vacation home in Japanese mountain town This house near Japan's Mount Asama was designed by READ & Architects for a couple starting their retirement, but it can also be used as a vacation ho..
포루투칼 어느 한적한 호수에 자리한 하우스의 특징은 소극적인 건축을 통해 주변환경과 통섭을 만들어 낸다는 점이다. 노출콘크리트는 외부를 드러내는 외장재로 사용된다. 그리고 내부를 마감하는 내장재로도 사용된다. 구조체 역활도 함께 수행한다. 그렇습니다. 콘크리트가 갖는 물성을 충분히 인지, 반영한 하우스는 미니멀 건축으로 장식과 요소를 최대한 절제한다. 주 생활공간으로써 집이 아니라, 휴식을 위한 쉼터 역활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최소한의 건축이 가능할 수도 있겠다. Casa na Caniçada is located in a densely wooded area next to the Caniçada reservoir, in Vieira do Minho (Portugal). The volumetry of..
재해석된 지역건축문화는 지역건축 어휘를 사용하되, 현재 거주공간에도 유효한 건축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바탕이 되는 콘크리트는 주요한 구조와 공간을 지탱하며 재사용된 목재가 최종 박공지붕으로 마무리 됩니다. Public reuse of the former barn at Hemigkofener Straße 11. The guiding ideas for this design were to treat the architectural heritage with consideration and respect and to preserve the character of the old barn in the center of Kressbronn while transforming it – with just a f..
콘크리트와 와인 그리고 레드브릭. 시간이 만드는 와인처럼 시간이 만드는 건축공간을 위해 콘크리트와 레드브릭이 적용됩니다. 콘크리트는 그 특유의 반영구적인 물성으로 기단부를 형성하며 거대한 레드박스를 형상화 합니다. The winery in Kutjevo appears as the development of a previously designed winery in Radovanci. The new building is located in the center of Kutjevo town and due to a switch from a completely natural environment to a very urban one, there has been a complete turn in the archit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