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공간 또는 장소를 연결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여기서 다르다는 것은 시간의 차이-공간이 가지고 있는 시간- 그리고 레벨의 차이 그리고 위계의 차이를 말합니다. 스페인의 칸다브리아 해와 맞다 있는 해변가에 위치한 유서깊은 포트는 과거의 영광을 뒤로한채 잊혀지고, 버려짐으로써 사람들에게 인지되지 못하는 장소가 되어 버렸습니다. 이와같은 현상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물리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환경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전면으로는 레벨차이가 많이 나는 해변가도로, 그리고 후면으로는 밀집도가 높은 주거단지가 위치함으로써 장소는 그렇게 스페이스 보이드가 되어버립니다.- 여기에 시의회는 공간과 시간을 잇는 스페이스 허브를 계획하여 포트 속에 존재하는 과거의 시간을 현재의 바다로 연결합니다. 동선의 허..
노르웨이 한적한 지방도로 그리고 자연을 벗삼아 자리 잡은 트럭검열소는 최소한의 터치로 국립공원의 조경에 대한 뷰포인트가 조각나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러한 소극적인 개입-여기서의 소극적인 개입은 주위자연환경과 어울리는 최소한의 범위에서 적극적인 개입을 이야기 합니다. 말이 어렵기는 하지만 안하는 것이 아니라 더 디테일하게 개입하여 안한듯 한듯 설정하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은 콘크리트 지붕을 덮고 있는 옥상녹화에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그리고 하부로 깊숙히 처진 듯한 지붕을 받치고 있는 기둥 또한 동측글래스 파사드 안으로 숨겨 최소한의 인위성을 배제시킵니다. -기둥을 내부로 숨긴 것이 아니라 파사드 안에 흡수시켜 버림으로써 마치 기둥이 없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킵니다.- 여기에 연속적인 랜드스케이프 뷰를..
멕시코에 위치한 리버풀 백화점의 입면을 구성하는 트위스트 패턴은 건축물에 캐릭터를 부여합니다. 건축물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뷰포인트에 따라 다른 볼륨감을 제시하는 입면 디자인은 총 5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구축됩니다. 공간과 속도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볼륨의 크기는 공장에서 콘크리트 슬래브를 180도 트위스트한 다양한 길이의 패널을 사전 제작합니다. 관찰자의 시점도 중요하지만 관찰자의 속도 또한 이 볼륨을 바라보는 다른 시간차를 발생시킬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심플하지만 다양한 얼굴을 갖는 건축물이 탄생하는 것입니다. reviewed by SJ Five layers of concrete ‘propellers’ create the new façade of a Liverpool d..
중국 난산에 위치한 클럽하우스 내부에 비틀어진 공간은 활동적인 에너지를 발산합니다. 내부를 구성하는 벽, 바닥 그리고 천장은 난산지역의 자연지형-높 낮이가 다양한 계곡과 산세-을 모티브로 현대적인 모던함과 미니멀함으로 재구성합니다.지오그래픽 폼- 편심된 삼각형태의 메스들은 실질적으로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벽인 동시에 난산의 암석들을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거친 듯 하지만 잘 깍여진 돌산의 형태를 보고 있는 듯 합니다.- 여기 천장에 매달린 LED 조명은 구름 속에서 내리는 비를 형상화 하여 또하나의 자연을 표현합니다. 그리고 바위를 닮아 있는 골드샴페인 컬러의 인포데스크도 인상적입니다.- 공간에 도입된 자연은 때로는 은유적으로 때로는 집적적으로 공간을 표현합니다. reviewed by SJ 'chongq..
대지가 도로와 만나는 폭은 겨우 4.7미터인 것에 반해 깊이는 22미터에 달하는 매우 길쭉한 대지위에 재미있는 형태의 주거가 계획되었습니다. 또한 대지 양측에 위치한 기존 건축물은 주거의 공간적 환경을 결정지는 주요한 외부환경 요인으로 작용하여 3개 레벨의 선형공간을 형성하게 됩니다. 3개의 레벨공간은 각기 다른 뷰포인트와 레벨로 외부와 만나는데 이와같은 공간구축은 지면에서 시작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연속적으로 벽과 바닥 그리고 지붕으로 변화하면서 만들어 내는 건축적요소의 사용으로 구현됩니다. 고밀도 도시가 갖고 있는 도시맥락과 주거 내부의 관계 맺기는 이렇게 연속적인 구조의 흐름으로 연결됩니다. reviewed by SJ tokyo-based firm florian busch architects has..
건축공간은 사람과 자연을 연결하는 가교역활을 수행합니다. 그렇게 뮤지엄은 자기 자리를 마을 주민들에게 겸허히 공용의 공간으로 내어 줍니다. 공용공간으로 형성된 마을의 커다란 퍼블릭 플라자는 마을의 중요한 커뮤니티 장소로써 다양한 이벤트와 놀이 그리고 휴식처로 활용됩니다. 여기에 광장아래로 보이는 계곡의 드라마틱한 뷰는 주민들과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주는 보너스 입니다. 그렇습니다. 공간의 비움은 건축에 대한 여유로움과 플렉서블을 만들어 냅니다. 그렇기때문에 지면과 대비되는 극적인 다이나믹함도 얻을 수 있고 뮤지엄만의 독특한 캐릭터로 만들 수 있습니다. 무조건 채우는 것이 능사는 아닙니다. 조그만 자연에게 양보하면 더 큰 공간을 얻을 수 있습니다. reviewed by SJ In this project, ..
또한번 겸허이 다가섭니다. 그리고 자연속에 서 있는 크로스의 형태를 따라갑니다. 칠레에 위치한 채플은 건축가의 이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거대한 크로스형태가 인상적인 뷰를 만들고 있습니다. 예배당 볼륨을 이루는 심플한 사각형의 콘크리트 박스로 부터 노출된 4개의 빔은 격자를 이루면서 건축물을 지탱하는 구조시스템을 이루는 동시에 채플의 성격을 극명하게 드러나게 하는 조형적인 미를 보여줍니다. -공간과 구조는 뗄레야 뗄수 없는 상호관계에 있습니다. 공간이 구조와의 관계를 일정부분 넘어갈때 우리는 공간이 오너먼트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외부의 조형적인 형태보다 내부공간은 더욱더 드라마틱한 분위기를 자아내는데, 이것은 지면으로 부터 들려 올려진 하단부에 위치한 연속적인 길다란 창문에 있습니다. 지면으로..
싱가폴 중심가에 위치한 아트스쿨은 전문적인 아티스트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도심속 부족한 자연환경에 대하여 건축물 스스로가 자연을 생성하고 그것을 구축하는 건축적 패러다임을 적용함으로써 각 공간에 자연 채광과 환기를 유입합니다. 크게 수평적 볼륨으로 구축된 저층부 퍼블릭 스페이스와 수직적 볼륨 아트센터의 공간은 중앙에 위치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통합및 운영됩니다. 여기에 연계된 블랙드롭과 블랭크캔버스 영역은 다시 전체 공간을 연결하는 건축적 공간요소로 작용합니다. 블랙드롭 영역은 콘서트 홀, 연극을 위한 공연장 그리고 블랙박스 극장을 연결하는 세미퍼블릭 스페이스 공간으로 각 공연공간을 버퍼해주는 동시에 자연적인 환경을 내부 유입시켜 각 공간에 커뮤니티를 연계해 주는 중요한 구심점으로 작용합니다. 블랭크..
언덕위에 자리 잡은 와이드스크린 하우스는 이름처럼 와이드한 뷰 포인트가 특징인 주거 입니다. 화려하지 않지만 심플함이 주는 강력함은 두개의 수평요소와 한개의 수직요소로 구축됩니다. 수직요소인 다크계열의 화강암은 두개의 콘크리트 볼륨을 4:1 비율로 퍼블릭 스페이스와 프라빗 스페이스로 구분 지으며, 전체 공간구성에 리드믹컬한 흐름을 발생시킵니다. 일반 도심지에 직장을 두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군든 꿈꾸고 있는 주거가 아닐까 합니다. 여유가 있다면 세컨드하우스로 활용하고 향후 은퇴후에 생활 할 수 있는 보금자리로 만들면 좋을 것 같습니다. reviewed by SJ Located at San Gaspar Golf Club (Jiutepec de Morelos, Mexico), in an area of 1,60..
자연을 바라봅니다. 그래서 자연을 담습니다. 그렇게 담겨진 자연 속에서 우리는 다시 자연을 재생산 합니다. the owners and the site Windsurf sail designer Robert Stroj moves from Europe to Maui to lead the design research studio of Neil Pryde in Kahului, Maui. If Maui south coast is gentle and works for indulging all-inclusive holidays, its north coast is a rough surfer’s paradise with strong winds and most important perfect waves. Watch th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