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파울로에 위치한 그레이톤의 콘크리트 공동주거는 ㄷ 자 형태의 중정형 주거형태로 디자인 되었다. 2세대 조합의 평면은 복도를 중정면으로 하여 거주자의 프라빗 스페이스과 퍼블릭 스페이스의 구분을 명확하게 지어 거주의 쾌적성을 높여주었다. 주변과의 연계성이 좋도록 열려있는 그라운드 레벨의 환경은 주변과 램프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얕은 폰드를 조성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값비싼 재료나 형태적인 미학은 없지만 쌍파울로의 주변지역에 알맞게 디자인된 공동주거인 것 같다. reviewed by SJ Density and VoidThe city of São Paulo is marked by a dense occupation which blurs the perception of both its origin..
여행자를 위한 쉼터는 콘크리트 밴드로 대지와 링크한다. 차량의 활동성은 다이나믹한 건물의 형상에 구현되었으며, 여행자들에게 더 없는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콘크리트 밴드로 감싸진 측면 파사드는 커튼월과 수평루버 시스템을 적절히 사용하여 내부의 이용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내부 프로그램으로는 가솔린 주유, 화장실, 간단한 식음료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카페로 구성되어 있어 장거리 여행자 또는 단거리 여행자들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여행중에 발견한다면 저절도 들어가서 쉬어가야만 할 것 같은 충동을 느낄 것 같다. reviewed by SJ italian practice damilanostudio architects had completed the 'gasoline service station' l..
커크우드 퍼블릭 도서관은 고속도로변에 위치하여 소규모 주거단지의 버퍼존 역활과 커뮤니티 스페이스 역활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곳 도서관만의 아이텐티한 입면 디자인은 고속도로를 면하는 파사드에 설치된 시멘트 보드와 주출입구의 글래스 파사드의 루버시스템에서 찾아 볼수 있다. 먼저 고속도로에 면한 파사드는 사각형 시멘트 보드를 패턴으로 디자인하여 고속도로의 소음을 내부로 부터 보호하는 지오메릭 폼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글래스 홀 외부에 설치된 수평루버와 수직루버는 각각 남측과 서측의 태양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내부의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활을 한다. 이 두가지 입면 디자인은 도서관 내부를 소음과 태양열로 부터 보호하여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켜준다. 물론 내부에 계획된 에어컨디셔닝과 히팅시스템은..
YG 훼밀리의 보금자리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재료인 노출콘크리트와 컴템퍼러리 디자인의 트랜드인 비정형이 조화을 이루면서 포스트 모더니즘 디자인을 보여준다. 차가운 겉모습과는 달리 따뜻한 내부는 이용자들에게 편안함을 주는 것이, 이곳 어딘가에서 연습하고 있을 수많은 지망생들과 인기 연예들에게 더 없이 좋은 공간을 제공한다. reviewed by SJ from BeyondDesign 이미지 출처: http://n.ccdailynews.com/sub_read.html?uid=224401§ion=sc17
수평적 공간을 가로지르는 리니어한 콘크리트 박스는 소브리노 하우스를 정의하고 디자인 한다. 2.5미터의 대지내 레벨차이는 공간을 정의하고 공간을 인도하는 중요한 역활을 한다. 2개의 중정(집 내부에 위치한 중정, 게스트 하우스와 본가 사이에 위치한 풀장이 있는 중정)은 중첩된 레벨에 위치하며 하우스의 이너스페이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동시에 아웃도어와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도와준다. 거칠며 강렬한 콘크리트 메스와 달리 미니멀한 인테리어는 건축물과 공간을 통섭시킨다. reviewed by SJ Facing a complex project where the house is also a workplace, we proposed an organized level where all the living uses a..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교회에서 우리는 새로운 공간의 시도를 엿 볼 수 있다. 커다란 콘크리트 박스로 디자인된 교회공간은 성스러움과 동시에 무한한 확장공간을 보여준다. 공원 광장으로 면한 파사드에 설치된 무빙월은 가변적으로 움직이며 공간을 구획한다. 아웃도어 스페이스로 열린 콘크리트 박스는 그 자체로 훌륭한 무대가 되어 외부 자연과 조우한다. 공간의 변화함을 교회안에 담아낸 건축가의 센스가 돋보인다. reviewed by SJ La pequeña capilla del Colegio Los Nogales parte de un prisma puro y elemental que escenifica la presencia de Dios, la armonía y lo esencial. Sin embargo l..
파리에서 남서측 샤빌에 위치한 익스텐션 하우스는 리노베이션의 또다른 방향성을 보여준다. 1920년 대의 오랜된 주택을 동측으로 인접해 있는 이웃주거와의 보이드 공간을 이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였다. 건축주의 요구에 따라 첼로를 연주 할 수 있는 리허설 룸과 그 하부에 위치한 차고는 클래식한 기존 디자인과 차별화 되는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새로운 접점를 만들어 낸다. (과거와 현재를 접붙여 작업할때 그것을 경계를 명확하게 하여 두드러지게 할 것인지, 아니면 모호하게 만들 것인지는 향후 디자인의 방향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할 것이다.) 오랜된 것에 새로운 것을 더한후 이것을 다시 재해석 과정을 통해 디자인된 프로젝트는 시간의 연속성과 새로움을 접목시켜 이질적인 공간을 만듦으로써 우리가 보지 못하는 과거와..
내외부의 통합적인 공간구성은 어떻게 외부로 부터 자연스럽게 공간을 유입시키는 것이 관건이다. 콜롬비아의 쌍둥이 레지던스는 비스듬히 배치한 두개의 L자 형태의 콘크리트 박스가 만들어 내는 아웃도어 스페이스가 어떻게 이너스페이스와 연계되는지 잘 보여주는 프로젝트이다. 정직하게 비어진 콘크리트 박스 내부는 외부 자연환경을 마음껏 끌어당긴다. 이렇게 투영된 자연환경은 내부 퍼블릭 스페이스를 지나 다시 반 외부공간(중정)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반복적인 순환 구조는 자연스럽게 연속적인 흐름을 발생시키며 각 공간을 이어준다. 이것은 벽식구조로 막혀 있는 아파트의 평면형식과는 차별화되는 오픈플래닝 시스템으로 거주자에게 보다 쾌적한 라이프 스타일을 도와준다. 솔리드와 보이드, 막힘과 열림 등의 리드믹컬한 공간구성은 ..
당신이 보고 있는 어디까지가 외부이고 내부인가? 굳이 내외부의 공간의 위계를 구분할 이유가 있을까? 내부로 유입된 나무와 워터풀장은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프라빗 하우스를 한층 더 재미있는 공간으로 인도한다. 여기에 콘크리트 구체를 부드러운 곡선으로 폴딩한 형태는 공간을 휘감아 내부로의 방향성을 보여준다. 이 지역의 어메니티를 잘 반영한 형태와 구성은 이웃과도 원활한 소통을 이루면서 친자연적인 공간구성을 보여준다. reviewed by SJ Cooling pools of water and trees line corridors and rooms inside an Indonesian house by architects Budi Pradono. Located in the city of Depok, the two-..
경계를 넘어선 건축: 로스앤젤레스의 시츠-골드스타인 주택 상상력이 빚어낸 공간 베버리 크레스트의 완만한 언덕배기. 이곳에 자리 잡은 시츠-골드스타인 주택은 건축의 고정관념을 과감히 허문 예술 작품이다. 존 로턴은 1961년부터 1963년 사이 이 공간을 스케치하고 구현했으며, 1972년 제임스 골드스타인의 손길을 거치며 더욱 깊은 의미를 얻었다. 건축가의 혁신적 상상력은 전통적인 주거 공간의 틀을 완전히 뒤흡쳤다. 각진 모서리와 열린 평면은 기존 건축의 경계를 허물었고, 콘크리트와 투명한 유리는 내부와 외부의 구분을 지워버렸다. 자연과 하나 되는 건축의 시 내장 가구와 경계 없는 유리벽은 공간의 연속성을 극대화한다. 작은 자갈을 닮은 카펫, 주택 벽을 타고 올라가는 부드러운 넝쿨, 그리고 사방에 울창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