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싱키 중앙 도서관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컨셉은 다양한 어반 컨텍스트-커뮤니티, 문화, 자연 그리고 지속가능성- 가 서로간의 상호 관계를 맺으며 반응하는 장소를 구현하는데 있습니다. 이러한 장소에 촉매제 역활을 하는 건축환경은 심플한 프레임워크으로 귀결되는 건축디자인을 통한 그리드 레이어 환경을 재구성합니다. 그렇습니다. 도서관 내부는 수많은 교차 요소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수많은 오픈스페이스를 동시에 형성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오픈스페이스는 사람과 문화의 교류를 보장하는 장소로 제공되는데 이것은 자연 속 거대한 나무의 이미지를 닮아 있는 도서관의 주요한 볼륨이 물과 양분을 통하여 새로운 열매를 맺는 나무생태환경과 닮아가는데 있습니다. 이것은 거대한 디바이스로, 앞서 말한 수많은 오픈공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독창적인 건축 형태가 인상적인 건축물은 흑해 연안에 새롭게 조성되는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 일부분으로 건축가와 엔진니어의 긴밀한 협업 속에서 디자인 및 구축되었습니다. 향후 인근 주민들의 공용서비스를 위한 건축물은 다양한 공용 커뮤니티 프로그램과 웨딩사업을 보장 및 지원하는 시설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특히 건축물의 아이텐티를 정의 짓게 하는 독창적인 볼륨 형태는 일반적인 오피스의 플렉시블을 위한 일반화와 상반된 건축양식으로 건축물의 내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양만큼을 볼륨화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볼륨들의 나머지는 가상의 전체 큐빅에서 덜어내며 이와같은 볼륨을 만들어 냅니다. 그 결과 건축물은 건축과 조각의 경계에서 독창적인 형태를 갖는 지방자치단체의 건축물로 자리 잡게 됩니다. reviewed by SJ T..
Copenhagen designer Henriette W. Leth has designed a colourful, modular storage system for Danish design brand Normann Copenhagen. Made of folded steel, the boxes are powder-coated in six different colours: white, grey, rose, rust, green and blue. "I became tired of looking at unattractive book covers on the shelves and therefore decided to find a solution which could not only contribute with so..
키오스크-녹스 혁신 및 지속가능 성장 센터-는 7학년부터 12학년 사이의 학생들에게 친환경 그린교육과 훈련을 제공하는 장소로써 지속가능한 센터를 지향합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센터는 100명을 수용하는 규모로 디스커버리 연구실, TAFE연구실, 그리고 다양한 보조 연구실 및 체험장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전달합니다. 그중 센터의 특유한 파사드 디자인은 태양의 직사광선을 능동적으로 차단 및 우회하여 유입시킴으로써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입니다. 이와같은 파사드 디자인은 이곳을 방문하는 학생들에게 센터의 목적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훌륭한 교보재 역활을 수행합니다. 여기에 내부로 부터 발현되는 빛과 수직루버의 글라데이션 컬러는 센터의 비쥬얼적인 효..
중력을 거스르며 뻗어 있는 장중한 구조체가 인상적인 주거프로젝트는 건축과 자연 그리고 이것을 연계하는 공간이 스스럼 없이 만나도록 디자인 합니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이번 프로젝트에서 형태적으로 가장 인상깊은 특징은 주거공간을 구조적으로 구축하는 8개의 장중한 스틸빔 입니다. 이 메시브한 스틸빔은 18미터에 달하는 길이로 각각 x,y,z 축의 모든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동시에 교차 및 오버랩을 하며 각 개별적인 보이드 스페이스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다시 이 보이드 스페이스를 서브구조체인 우드프레임을 이용하여 내부의 각 프로그램으로 구체화 합니다. 이렇게 담겨진 각 개별적 공간은 그리드 스페이스 안에서 유기적으로 배치되며, 경사면 아래로 펼쳐진 파노라마 뷰포인트를 내부로 유입및 동조 시킵니다. 그결과 주..
사라예보 파인아트 아카데미를 연결하는 브릿지의 가장 큰 화두는 아이러니 입니다. 상반된 두가지 요소를 연결하는 동시에 대비를 통한 컨셉의 의도를 명확히 전달합니다. 바쁨과 느림, 오른쪽과 왼쪽, 세속과 영적, 도시의 심볼과 아카데미 게이트 등의 요소를 브릿지 위에 발란스를 맞춥니다. 물리적으로 도시와 아카데미를 연결하는 브릿지는 심플하며 유니크합니다. 이것은 38미터의 길이를 리니어하게 연결하는 알루미늄 스틸 프레임과 글래스 난간 그리고 브릿지 중심부에 휘감아 돌아가는 원형 루프를 통해 구현됩니다. 도시 게이트의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는 심볼로 원형루프는 브릿지를 건너는 이용자들에게 작은 휴식공간으로 제공됩니다.- 루프공간은 브릿지의 상반된 이미지가 극적으로 만나는 장소로 각각 유리와 돌을 사용한 벤치로 ..
캄피에오 광장에 면한 19세기 건축물 복원 프로젝트는 이전시간을 현재 공간에 연속시키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화재로 인하여 군데 군데 남겨진 이전 건축물의 파사드 조각들은 과거 도시생활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아 현재의 공간 속에 산재합니다. 그리고 여기 남겨진 잔해위-이중 아치형 창문-에 적붉은 컬러의 오랜시간의 흔적을 재생하든 듯한 코르텐 스틸강으로 만들어진 190장 타이포그래픽 패턴으로 디자인 됩니다. 22개의 각기 다른 폰트 조합으로 이루어진 패턴은 이전 시간을 다시 한번 써 내려갑니다. 이러한 심미적인 환경은 야간시에 더욱 환상적인 뷰포인트를 만들어 냅니다. 시간의 흔적을 기억하는 또다른 방법. reviewed by SJ outside of venice, italy, a 19th century str..
영국 로얄 오페라 하우스의 소품을 제작하기 위한 워크샵 입니다. 이곳 워크샵은 오페라 하우스에서 사용되는 거대한 무대막 제작을 위한 페인트샵 목공 그리고 철골 제작에 관련된 워크샵을 포함 합니다. 특히 워크샵의 건축적 특징을 잘 나타내는 반구형태는 거대한 무대배경이 장애없이 제작 될 수 있도록 트러스를 이용한 무주공간으로 계획됩니다. 트러스 스트럭쳐 사이에 계획된 천창은 공간 깊숙히 주간의 빛을 유입시켜 작업환경을 보장하는 컨텐츠로 디자인되어 집니다. 이러한 워크샵의 강렬한 존재감은 프로뎍션 캠퍼스의 새로운 활력으로 정의 될 것입니다. reviewed by SJ Nicholas Hare Architects were appointed by the Royal Opera House in 2007 to desi..
리사이클은 재생 바이클을 부르는 또다른 이름이 됩니다. 매립지의 재활용 알루미늄만을 사용하여 조립된 '리싸이클' 시리즈는 체인벨트가 아닌 고무벨트를 이용한 구동계 시스템을 적용, 여기에 미니멀 디자인을 적용 최소한의 설계와 디테일로 낭비없는 새로운 타입의 자전거를 완성합니다. 재활용과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스텀 디자인을 통해 또하나의 유니크 디자인을 기대하게 만듭니다. reviewed by SJ los angeles based-start up ReCycle has developed a series of 100% recycled aluminum bicycles using only reclaimed materials. from cork saddles, to a chain free belt drive, th..
바클레이스 센터가 추구하는 디자인 목표는 지역주민들과 호흡 가능한 지역 커뮤니티 스포츠 스페이스를 구축하여 흩어진 도시활력을 한군데로 모으는데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디자인 경향은 건축가 SHoP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보여준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이미지네이티브 디자인에서 잘 드러납니다. 두개의 메인 스트림이 교차하는 곳, 쇄기형태의 대지에서 한발 물러서 위치한 센터는 6십 7만 5천 스퀘어 풋 면적안에 1만 8천명을 동시에 수용 가능한 다용도 아레나를 메인 공간으로 하는 다양한 스포츠 관련 공간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출입광장에 디자인된 거대한 캐노피 스페이스는 도시와 센터를 연결하는 버퍼스페이스로 바클레이스 센터에서 가장 인상 깊은 공간위계를 보여줍니다. 이곳에 중첩된 공간의 특성은 거대한 캐노피 내부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