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키루나에 위치한 로켓스쿨은 기존 십자가형태의 공간을 리뉴얼 하며 주변 자연환경을 흡수, 투영하는 고유한 캐릭터로 디자인된다. 건축물의 파사드는 기존에 검은색으로 채색된 징크 판넬과 블랙과 화이트 외벽 그리고 수직으로 빛나는 우드판넬로 구성된다. 여기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좁고 높게 지어진 빌딩의 출입구는 스틸 기둥과 외부의 스틸케이블로 서포트하며 스쿨을 기존 건축물과 차별화시키는 랜드마크 요소로 작용한다. 이와는 반면 교실 파사드를 구성하는 원형창문은 레드 및 오렌지 컬러로 외부환경으로 부터 내부교실을 보호하는 기밀한 요소로 사용된다. 이러한 건축환경의 구축은 지속가능한 건축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저절감 에너지사용을 위한 고효율 유틸리티 계획으로 보강된다. reviewed by SJ Swedis..
도시의 틈새를 재구성한다. 자신의 밀도를 견디지 못하고 서서히 붕괴되는 상하이, 그 틈새 속에 자리 잡은 스플릿 하우스는 새로운 도심형 주거로 제안된다. 현대 도심생활이 투영된 주거공간은 기존 싱글주거공간에서 공동주거형태로 탈바꿈하며 주거 내부에 위치한 대형 계단실 겸 홀로 수직 연속된다. 이렇게 3개층에 걸쳐 위치한 주거공간은 계단실을 기점으로 스킵플로어 구조로 3개의 독립적인 주거유닛으로 개별화 된다. 도로에 면한 내부공간은 주거의 공용공간-리빙스페이스-으로 도시를 투영하는 거대한 천창 파사드로 디자인, 여기에 반층 올려진 후면공간에는 각 주거의 프라빗 룸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각 주거의 욕실은 계단실에 위치된다. 도시의 틈새, 주거 또는 스튜디오로 재구성된다. reviewed by SJ Rethin..
1899년도에 건립된 인더스트리얼 빌딩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1980년대에 화재로 인하여 멈추어버린 공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는 작업으로 사무실, 예술가 스튜디오, 전시장, 음악 및 이미지 스튜디오, 극장, 유치원이 새롭게 계획된다. 이와같이 기존 공간 속으로 삽입된 새로운 공간들은 하늘로 열린 대형 천장 그리고 몇개층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보이드 스페이스를 통하여 빛과 함께 열린 공간으로 연속된다. reviewed by SJ Space Group completed the refurbishment of the former industrial building designed by architects Ove Ekman and Einar Smith and erected from 1896 to 1899. In..
20세기 초 지어진 주거로 부터 확장된 도서관은 콘크리트 프레임과 글래스 파사드로 도시와 지역주민을 연결하는 어반 윈도우뷰를 생성한다. 도시공간을 버퍼하는 동시에 도시를 바라보는 어반 윈도우는 기존공간과 새로운 공간을 병렬연결하는 이종결합을 통해 시간과 공간을 동기화 한다. 그렇게 기존 셀의 존중을 바탕으로 연속된 새로운 공간은 거리와 도시로 열린공간을 구축하며 게이트 프레임을 형성, 내부에 위치한 도서관의 중정으로 외부환경을 유입시키게 된다. 도시로 열린 커다란 전창이 인상적인 도서관의 파사드는 우리가 도시와 관계 맺는 건축의 방식을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로 참조할만 하다. reviewed by SJ Mexican architects Fernanda Canales and Arquitectura 911s..
3세기 이전 왕족을 위한 거처, 애슐리성은 2차 세계 대전까지 호텔로 사용되어지다가 전쟁후로 최근까지 방치되었다. 폐허가된 역사적 유물은 이번 현상설계를 통하여 클래식과 현대적인 공간이 혼합된 네오클래식 주거공간으로 재탄생한다. 건축주의 요청을 기본 모토로 재구성되는 애슐리성은 기존 역사적 시간을 존중, 복원하는 건축으로 이곳에 과거의 공간속에 새로운 공간을 삽입한다. -주거, 출입게이트, 커튼월, 호수, 교회, 엘리자베스풍의 정원이 추가된다.- 이러한 건축적 방법은 기존공간과 새로운 공간, 재료를 같은 레이어 선상에서 접합 시킴으로써 유기적이며 이중적인 공간의 아이러니를 만들어 낸다. 그렇게 허물어진 벽의 유기적인 한귀퉁이와 새로운 벽돌벽은 우리네 그렝이처럼 자연스럽게 만난다. 자연은 변화시키는 대상이..
오랜된 팜하우스는 이제 예술가를 위한 작업실, 전시장, 생활공간 이자 포럼실 그리고 예술가의 사적공간 침실로 변신한다. 기존 ㄷ자 평면형태의 팜하우스와 새로운 리빙스페이스의 병렬 접합은 내부의 중정을 공유하는 ㅁ자형태의 평면으로 귀결되며 내외부의 막힘과 열림을 연속시키는 대비를 만들어 낸다. -두개의 ㄷ자 평면이 만나 ㅁ자 평면을 이루는데, 하나는(기존 팜하우스)는 솔리드, 다른 또하나는 (리빙스페이스) 보이드로 구성된다. 묘한 긴장감?- 이와같이 리빙스페이스의 3면 파사드는 투명한 글래스 윈도우로 디자인하여 주변 자연환경을 흡수, 필터링 함으로써 거주자에게 정제된 공간을 선물한다. 특히 인상깊은 시퀀스를 만들어 내는 상층부에 위치한 빨간 박공지붕 형태의 예술가 침실은 저층부와 틀어진 축으로 배치, 전체..
독일 코트부스에 위치한 유서 깊은 웰츠스피겔 극장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이전 시간 속에 현대의 모던함과 네오클래식 스타일이 가미된 감성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기존 단일관에서 추가로 극장부를 신설, 각기 다른 테마의 공간을 공존 시킨다. 섬세한 디테일이 살아 있는 우드천장과 미려한 곡선미가 살아 있는 기존 공간은 클래식한 공간의 형태미와 재료를 살리면서 이에 어울리는 낮은 채도의 베이지 톤 패브릭과 빈티지 패턴으로 마감 한다. 이와 별개로 새롭게 증축된 극장은 이전 극장의 타입폴로지를 계승하되 여기에 현대적이며 모던한 스타일로 디자인 한다. 특히 기존 극장공간이 차분하며 부드러운 공간이라면 새로운 극장은 쉬크한 매력을 발산하는 공간으로 대비된다. 이렇게 두개의 시간은 공존한다. reviewed by SJ ..
다이나믹한 움직임이 느껴지나요? 세계적인 건축금속업체인 Zahner사는 기존공장의 공간 확장과 스스로 상품화 되고자 쇼케이스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리모델링을 원하였습니다. 건물의 유니크함을 위해 금속산화 패턴에서 시작된 디자인의 영감은 물결 무늬의 영감에 더해지면서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아트와 기술이 만난 강력한 파사드를 구축했습니다. 루버사이로 투명,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창은 공장 실내 작업환경의 쾌적성을 높힘과 동시에 그들의 작업을 보여주는 쇼케이스가 되게 합니다. 루버 또한 원래의 역할과 함께 강력한 이미지를 부여하는 요소입니다. 기본이겠지만 건축은 기능과 미를 동시에 추구해야만 완성도가 높다는 것을 다시금 느껴봅니다. 실무를 하다보면 의도한 디자인에 부합되게 디테일이 풀어지는 경우가 힘듦을 알..
오래된 오두막 리뉴얼 프로젝트는 3,200개의 핸드드릴 타일과 블루 폴리프로필렌 로프 500미터로 빛나는 휴일주택을 구성한다. 이러한 변신을 위해 건축가는 다음과 같은 심플하며 독특한 요소 및 재료를 이용한다. 두명의 건축가가 집적 손으로 드릴링한 3,200개의 타일, 500미터의 블루 폴리프로필렌 로프, 파인우드 바닥재 지역의 전통적인 스칸다비아 건축양식으로 영감을 얻은 상부의 프라빗 큐빅- 개인 침실-은 백색으로 마감된 휴일주택과는 사뭇 다른 푸른 컬러의 나무로 마감된 매우 정적이며 고요한 독립적인 사적공간을 완성한다. 이 푸른침실로 부터 반투명한 도어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빛은 집안의 랜턴과 같이 독특한 시퀀스를 만들기도 한다. reviewed by SJ With 3,200 hand drilled ..
프로젝트의 목표는 기존 건축물이 가지고 있던 건축적 양식을 -고대 아랍 건축- 기존 문서나 고대 아랍건축의 유사한 탑의 유형을 사용하여 정확히 복원 및 재현하는데 있다. 특히 추가된 공간 및 재료는 기존 공간 및 재료와 확연히 구분되는 디자인 요소로 사용하여 구와 신에 대한 경계를 명확 그 두개의 상이함에서 오는 긴장감, 창의적 힘을 유지하도록 한다. 기존 건축물이 가지고 있던 원래의 성격-망루와 같이 적의 동태를 살피는-을 십분 발휘 드넓게 펼쳐진 자연풍경을 전망 할 수 있는 전망대로 재구성되는 타워는 부분적으로 파손된 부분을 지역적 재료-이 지역의 흙을 다짐한 흙블록-를 이용하여 이질감없는 건축을 완성한다.- 이것은 로컬타임의 흔적을 갖고 있는 석재의 컬러톤을 맞춤으로써 시간을 연속시킨다- 여기에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