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지어진 헨리밀러 퍼포밍 아트센터 리뉴얼 프로젝트는 도시 예술의 단편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지금 뉴욕의 다양한 생산적 예술행위와 커뮤니티를 통합하는데 있습니다. 리뉴얼 프로젝트는 기존 공간이 가지고 있는 역사성을 거부하지 않고 존중하고 받아 들임으로써 원래의 장식과 요소를 현대적 공간 속에 투영하여 현대적인 빈티지 스페이스를 재 창조 합니다. 특히 기능적 필요에 의한 공간과 예술공간의 집합체로써 극장이 나아갈 바를 투명하게 제시함으로써 이곳을 이용하는 관람객들과 예술가들 또는 배우들에게 예술의 심미적인 가치추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배려의 공간으로 제공됩니다. 그래도 무엇보다 니드 플래티넘을 수행한 건축 디자인으로써 향후 극장공간과 문화공간이 나아갈 바를 모범적으로 제시하는데 의이가 있다 할 수 ..
지금의 우리 소형 아파트에 적용해 보면 어떨까 하는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입니다. 1965년도에 지어진 프랑스 레므뉘레 스키 리조트 주거유닛 리노베이션은 기존 구조와 레이아웃을 최대한 유지하며 리빙스페이스를 확장합니다. 이렇게 확장된 리빙스페이스는 개별적인 2개의 공간으로도 분리하여 활용 가능 합니다. reviewed by SJ h2o Architects have designed the interior of an apartment in the ski resort town of Menuires, France Our design team was invited to rethink a ski resort apartment in Menuires, France. Located at the far end of a bu..
프랑스 북부에 위치한 수도원에 새롭게 덧붙진 글래스 큐브는 뮤직스쿨의 이미지를 새롭게 정의하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내부의 커다란 중정을 중심으로 연속적인 긴 회랑을 갖고 있는 수도원은 재판소와 교회 그리고 교도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에 새롭게 증축되는 글래스 큐브는 과거의 유산을 투영하여 연결하는 동시에 물리적으로는 수도원 공간과 과거의 교도소 공간을 분할합니다. 그것은 1990년도 부터 뮤직스쿨로 활용되는 수도원의 클래식한 공간에 대비되는 이질적인 현대적 공간의 삽입을 통하여 과거와 현재를 합성하는 이종접합을 보여줍니다. 여기에 참 재미있는 것 중 하나는 이전 재료와 새로운 재료의 접합인데, 마치 우리 전통건축의 그렝이와 같은 접합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과거를 단순히 옛것으로 보지 않고 자연의 일..
또 한번 과거로의 여행이 시작됩니다. 로마시대의 포럼장은 도심의 중요한 사회적 공간으로 정치, 경제, 종교, 재판 등 중요기능을 수행하는 장소입니다. 또한 시 중앙에 위치한 포럼장은 서로 다른 형태와 기능을 가진 건축물들을 연결하는 오픈에어 광장으로 둘러 쌓여 있으며 도시를 관통하는 동서와 남북 도로로 연결됩니다. 이번 복원 프로젝트는 스페인 지로나에 위치한 로마시대의 포럼장을 순차적이며 균형있는 복원으로 과거의 유물로 머무르는 공간이 아닌 현재시간 속에 삽입하는 일련의 작업으로 진행합니다. 과거의 유적을 가로 지르는 산책로는 이전 도심지를 연결하는 주요한 도로를 활용함으로써 각 공간들을 자연스럽게 조닝하는 동시에 최소한의 건축으로 유적지를 관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이것은 이번 복원프로젝트..
On paper Miss'Opo is a Guest House located in a historic area in the city of Porto, Portugal. In the flesh however, it's even more, it’s a stylish and creatively functional building full of personality. It includes some stunning multi-functioning spaces such as two three-room studio flats and four two-room studio flats and a chic cafe bar and a shop which through their overall fresh design, have..
1920년대 지어진 싱가폴 리니어 하우스를 새롭게 리뉴얼 합니다. 리니어한 1층에 새롭게 디자인된 풀장은 기존 주거공간에 새로운 모티베이션 스페이스로 공간을 확장 및 연결합니다. 이러한 연결통로의 역활을 하는 계단실은 3개의 레벨을 연결 통합하는 장치로써 활용됩니다. 여기에 풀장 스페이스를 구획하는 양측 벽면은 이전공간의 텍스쳐를 활용한 벽돌로써 현재와 과거를 연결하는 면이됩니다. 이 면으로 떨어지는 천창의 빛과 조명은 이러한 분위기를 가중시키며 전체 공간을 통합합니다. reviewed by SJ Architecture studios FARM and KD Architects have converted a 1920s shophouse in Singapore into a residence with a swi..
시간차이가 있는 공간의 접합은 아무래도 집적적인 연결보다 서로간의 시간차를 존중해주는 버퍼 스페이스를 만들어서 연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싱가폴 게일랑에 위치한 오랜된 2층 주거 증축 프로젝트는 변화하는 도시생활의 적합하도록 증축된 5개층을 내부 중정을 통하여 기존 2개층 주거와 연계 및 확장합니다. 시간이 다른 두개의 주거공간은 서로의 메자닛 스페이스가 되며 가운데 위치한 중정의 계단실을 통하여 반층씩 엇갈리게 연결됩니다. 이것은 협소한 대지위의 주거공간을 수평적으로 넓게 확장하는 시각적효과를 가져옵니다. 여기에 각 개실은 외측면 상단으로 계획된 클리어스토리를 통하여 외부의 자연채광을 유입하여 조도를 확보하는 한편 중정으로 면한 반투명 글래스를 통하여 각 개실과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합니다. 전면과 후면 ..
복원? 재현? 과거의 시간을 현재의 공간에 투영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과거의 영광을 뒤로 한채 흔적만 남아 있는 르네상스 시대의 성터 복원 프로젝트는 과거의 형태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시작은 장소성 인지에서 부터 시작합니다. 과거의 시간이 소중한 만큼 현재의 시간-과러로 부터 모든 것들 반영된 결과물-이 담겨진 공간을 인정합니다. 그리고 폐허로 남겨진 시간의 흔적들을 읽을 수 있도록 설치물을 계획합니다. 과거 건축물이 서 있던 자리를 대신하는 코르텐강 벤치와 성곽 한모퉁이를 차지하는 전망대는 그렇게 최소한의 개입으로 과거를 복원합니다. 전망대의 좁다란 계단실을 따라 올라간 전망대에서 보이는 성곽터는 굳이 재현하지 않아도 남겨진 성벽과 새롭게 만들어진 그루터기로 우리들의 상상 속..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자연이 만들어 준 선물같은 공간을 하나도 거스르지 않고 담담히 담아 공간에 투영 합니다. 이렇게 담긴 공간은 기존 돌담으로 지어진 공간과 백색의 폴리싱 콘크리트로 재구성된 공간으로 연속적인 하모니를 만들어 냅니다. 이렇게 빛과 바람은 이곳에서 저곳-과거의 공간과 새로운 공간-으로 공간을 막힘없이 흘러가며 여기 하우스를 포르멘테라의 뜨거운 태양으로 부터 평온한 안식처로 만들어 줍니다. 게다가 이곳을 더욱더 드라마틱하게 만드는 것은 자연 그대로를 받아 들인 건축공간과 자연의 랜드스케이프가 만나 형성하는 뷰포인트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떠한 건축으로도 쉽사리 흉내 내지 못하는 아우라가 자연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청명한 가을 하늘에 한적한 전원풍경이 눈 앞에 선하게 펼쳐지는 것 같습니다. re..
평화로운 스위스 전원 마을 속 자리 잡은 창고를 주거로 개조합니다. 어느 팜하우스 못지 않은 텍스쳐를 갖고 있는 창고의 외벽은 시간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아 자연의 일부분이 되어 있습니다. 건축가는 이러한 사실을 그대로 받아 들여 이전 텍스쳐를 최대한 존중한 공간을 제안합니다. 기존 창고의 높이를 이용 3개층으로 구성된 주거공간은 내부의 콘크리트 벽과 층간을 구성하기 위한 우드빔이외에 다른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로컬지역의 전통적인 공간을 현대적인 모던한 공간으로 리뉴얼합니다. 여기에 외부로 열린 대형창과 수직으로 열린 오픈공간은 외부의 자연채광을 자연스럽게 유도함으로써 빛과 텍스쳐가 있는 편안한 안식처로 정의내립니다. reviewed by SJ This old barn conversion by lo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