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건축은 지역적 특성을 투영한 건축환경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립된 공간은 다시 다양한 방법으로 인간에게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한다. 리차드 브랜손의 특유한 휴양시설 "마하리 므주리"는 케냐 나이로비 서쪽으로 240km에 위치한 케냐 자연보전지역 내 럭셔리 사파리 캠프에 위치, 풍부한 자연환경과 건축의 조우를 지향한다. 마사이족 거주지역내 생태환경의 보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건축은 경량구조재를 이용한 최소한의 인공구조물 구축 -자연에 최소한의 피해를 가하는-과 지역재료 사용 및 지역주민들 고용, 채용으로 지역경제의 동반성장을 진행한다. 총 12채의 개별거주공간은 지형을 따라 적정 거리로 배치되며 작렬하는 태양으로 내부를 보호하는 거대한 텐트형태로 디자인된다. -안락한 라운지와 개별 욕실..
지면에서 부터 시작된 건축의 흐름은 자연과 건축의 경계가 모호한 경사지붕으로 구현, 자연 속 또다른 장관을 연출한다. 경사지붕위 식재된 다양한 조경은 자연 속으로 건축을 숨기며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야외활동을 지원하는 루프가든으로 사용된다. 여름철 피크닉, 바베큐 파티, 강의 또는 덴마크 전통의 미드섬머 데이를 위한 장소로, 겨울철 경사지붕을 이용한 최적의 도시 눈썰매장으로 제공된다. 이와는 별개로 내부공간은 켜켜이 쌓여진 도시들의 유적을 감상하듯이 적층된 테라스가 랜드스케이프 된다. 이를 통해 마치 타입슬립을 하듯 방문객들은 전시장의 생동감 넘치는 장면들과 과학적 경험을 연속된 공간 속에서 만나며 박물관 내부를 구성하는 "집속의 집"을 접하게 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new mus..
제주, 나인브릿지에 위치한 '포럼'은 CJ사의 다목적 지원시설로 풍부한 주변 자연환경을 투영, 거대한 인공지반으로 건축과 자연을 경계를 무너뜨린다. 건축물의 컨셉이 잘 드러난 슬로프 루프가든은 지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 및 동선 그리고 장연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연장, 드라마틱한 시퀀스로 주변의 시선을 압도한다. 지붕면을 따라 연속된 상부의 중심에 형성된 거대한 보이드 스페이스는 CJ사의 로고를 형상화하는 동심원 형태로 내부에 위치한 미팅룸과 워크스페이스의 코어 역활을 수행한다. -하늘의 기운을 내부로 전달, 유입하는 소통공간이자 풍부한 자연광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채광공간- 그리고 지하층에는 테니스 및 농구를 할 수 있는 다목적 홀과 미팅룸이 배치, 각종 이벤트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reviewed..
가든을 디자인하는 영감은 아라비아 반도의 고유한 자연과 문화환경으로 부터 파생된 모래언덕, 지역의 전통적인 관개시스템, 오아시스, 베두인의 직물 및 아랍 에미리트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헤자를 모티브로 사용한다. 눈물방울 형태의 랜드스케이프는 지역의 마이크로 기후 조절 기능과 중심상업지역내 거주자들의 다양한 커뮤니티 및 휴게공간 제공을 위한 아웃도어 스페이스; 척박한 기후로 부터 지역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자연공간, 정원의 일부분으로 자리한다. 주변환경의 관계를 반영한 유기적인 배치, 그리고 유기적인 랜드스케이프로 내외부 건축환경을 완성한다. reviewed by SJ,오사 Sowwah Square is the first development within the larger Sowwah Island mas..
조립식 패시브 하우스의 새로운 대안, 팝업하우스의 가장 큰 특징은 손쉬운 시공방법, 빠른 시공기간, 재활용 가능한 재료의 친환경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경제적인 시공비로 새로운 주거타입의 대안으로 제공된다. 리싸이클 재료를 이용한 스트럭쳐 시스템은 우드패널과 단열블록의 결합제품으로 왠만한 단열재 및 외단열공법보다도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거주환경 구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별도의 장비없이 스크류 드라이버로 4일만에 완성되는 조립식 주택의 최대장점은 지속가능한 거주환경을 저렴한 비용으로 완성한다는 점이다. reviewed by SJ,오사 Multipod Studio have designed the Pop-Up House, a housing concept that is low cost, uses recycl..
테크놀로지 콩피에뉴 대학의 새로운 건축물은 지속가능한 건축을 지향한다. 3층에 연속된 오픈플랜을 외부환경으로 부터 보호하는 외부 파사드는 쉐이딩 시스템이 적용된 우드패널과 불투명 혹은 심플한 윈도우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건축물을 동서방향으로 배치, 바람길을 형성하며 자연환기를 유도한다.- 이러한 파사드 디자인은 북측을 제외한 남측, 동측, 서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연구실과 사무실 등 각 프로그램의 사용관계에 따라 선쉐이딩 각도를 조정, 열림, 닫힘을 통해 적절한 채광과 뷰포인트를 제공한다. 기능적 요소의 충족은 물론 건축물의 지향점을 표현하는 생물기후 반응형 파사드는 내외부의 밀착된 경험을 통해 건축을 통합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building is designed as a..
1929년도에 지어진 산악대피소의 확장 프로젝트는 기존 공간의 협소한 공간 확장을 통하여 건강, 안전, 직원들의 편의, 각 편의시설 확보는 물론 척박한 외부환경으로 부터 내부공간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건립된다. 산세가 끝나는 끝자락, 빙하와의 사이에 위치한 대피소는 지형을 따라 최대한 남측을 향해 배치한다. -패시브 디자인을 지향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지형적 특징과 날씨를 고려한 구축방법은 최소한의 부재를 이용한 효율적인 구축방법론을 통해 구현된다. 먼저 건축물을 지지하는 기초는 사전 제작된 콘크리트 기단부를 이용한다. 그리고 가벼우며 강성이 높은 우드프레임을 이용, 건축물의 주요한 골조를 형성한다. 여기에 단위유닛으로 공장제작된 벽과 바닥을 조립하며 스텐인레스 판넬로 외벽과 지붕을 마무리 한다. 이..
지속성장 가능한 장소의 기준을 제시하다. 대지의 지속성장성을 확보하는 건축공간의 구현은 주변환경을 통합하는 웰빙스페이스로 재활용 자재의 사용과 에코효율 증대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건축물의 디자인과 구축의 포인트는 다음의 6가지 포인트로 구성된다; 1.대지의 지속성장 가능성 / 2.물의 효율적 활용 / 3.환경과 에너지를 고려한 건축 / 4.재료와 자원 / 5.쾌적한 내부환경 / 6.리노베이션과 컨셉 상기사항을 원칙으로 마드리드, 멘데스 알바로에 위치한 캠퍼스 랩솔은 123,000m2 규모로 대형 중정을 둘러싼 4개 건물과 100그루의 마드리드 자생 식생으로 구성된다. (비가 적고 매우 건조한 대륙성 기후로 식물의 생존에 척박한 환경) 그리고 6개 대원칙은 다음과 같이 건축에 적용, 반영된다. 1.지..
자연과 동화되는 즐거움. 지속가능한 트리하우스의 가장 크 매력은 생태환경을 재해석, 건축어휘로 번역한 거주환경과 이를 통해 구현되는 어드벤쳐 캠프의 버라이티한 체험에서 찾을 수 있다. 자연과 동기화된 트리하우스는 지속가능한 공간을 지향한다. 태양광 전지, 풍력터빈, 대형우수조 그리고 정수시스템은 이러한 지속성을 유지시켜준다. 또한 다이나믹한 시퀀스를 연출하는 건축외형은 코르텐 스틸 스트럭쳐를 사용, 다양한 생태환경의 경험을 적층된 레벨공간 속에서 제공한다. 그렇게 상호교감형 공간은 자연을 인간에게 소개해준다. reviewed by SJ The Sustainability Treehouse, a Living Building Challenge targeted interpretive and gathering f..
지속가능한 거주공간을 지향한다. 여기 Via Verde 공동주거 프로젝트는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과 막힘없는 소통공간; 커뮤니티 스페이스 확보를 목표로 진행된다. 총 222세대, 3개의 구역으로 구성된 단지는 대지 북측 끝에 위치한 20층 높이의 타워동과 6~13층 규모의 듀플렉스동이 중심부에 그리고 2~4층의 타운하우스동이 남측에 배치된다. 지면에서 부터 옥상에 이르는 외부 정원은 단지내 소통공간의 중심으로 지면에는 거주자들의 다양한 야외활동을 보장하는 단지중정과 도시경관을 즐길 수 있는 각 세대 테라스 그리고 옥상에 설치된 옥상정원이 구성된다. 여기에 각 세대는 이러한 외부공간과 밀착된 2면 이상의 개구부를 확보, 내부의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보장하며 거주자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확보하게 된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