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 대한 동경은 건축을 포함한 다양한 디자인 행위에 당위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생태환경에 필수불가결한 거주환경의 조건을 충족시켜주는 기초가 된다. 여기 공원내 놀이터에 새롭게 설치된 놀이기구?는 자연으로부터 차용한 디자인 요소를 아이들의 흥미로운 놀이공간으로 다양한 상상장소를 생성한다. 놀이기구의 닉네임처럼 새둥지와 같은 외형적 특징은 친자연소재를 사용한 목재프레임을 유연한 곡선으로 디자인, 3개의 커다란 물방울 형태를 완성한다. 여기에 3개의 둥지를 연결하는 로프 및 브릿지는 또다른 다이나믹한 놀이를 지원한다. 자연과의 밀착된 경험을 통해 완성된 건축은 더욱더 풍부해지고 다양해지며 지속가능한 상상 놀이터를 생성한다. reviewed by SJ Aside from safety standards and ..
Norweigen product designer Aud Julie Befring has created a stool from birch and felted wool. Inspired by the lambs on the spring fields, this colourful stool made in birch and felted wool came to life. The user may easily change the felted hemispheres by making their own solutions and combinations and attach to the seat. from contemporist
Barcelona-based designer Benjamin Migliore has created the Hedron coffee table. The coffee table was designed with 2 different connecting pieces, that compose a aesthetic structure. The parts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 easily. from plusmood
Decorative pendant lamp EMBRACE – it’s not just attractive and functional interior element it is primarily an invitation to participate in the creation of the object and the opportunity for each to co-sponsor! Those flat parts of birch plywood that you find in a box Only with your help will be at the end of the volume and a lovely lamp, which will be an integral part of your living space and it ..
실린더 형태의 독특한 외형을 보여주는 기숙사 프로젝트에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접점을 연출하는 건축환경의 시도에 있다. 공동주거? 물론 일반적인 공동주거와는 사뭇다르다. 거주자의 스펙트럼이 좁기 때문에 -학생-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접점의 폭이 넓다. 즉, 보다 많은 개방지수, 타인과의 높은 접점개수를 인정하고 진행한다. 건축가의 지향점은 확실하다. 400명의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소셜활동을 지원하는 국제적인 기숙사의 포맷의 구축이 그것이다. 이와같은 디자인 방향성은 내부에 조닝된 개별적인 프로그램 -학생들의 안락한 거주활동을 위한 스튜디오, 보다 많은 소셜활동 지원을 위한 공용공간의 확보로 인근에 위치한 코펜하겐 대학은 물론 인근한 운하와의 관계성에서도 유니크한 캐릭터를 구현하는..
다목적 가구는 한정적인 스페이스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거주자의 생활을 지원한다. israeli architects ranaan stern and shany tal have redesigned an artist’s central tel aviv apartment into a versatile 20sqm studio workspace. the adaptable interior contains a varied family and personal collection of 2D pieces dating from the 1940′s to today, which was specifically measured for storing. they were organized and ordered according to gro..
문화를 담는 그릇. 다인빌 도서관 증축프로젝트는 새로이 증축되는 두개의 박공지붕 형태의 볼륨을 통해 도시와의 호흡, 지역적 유산의 계승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를 꾀한다. 이전 농장의 타이폴로지를 재구성한 박공지붕형태는 현대적인 건축 디자인을 통한 장소적 의미의 재현, 도서관 내부환경의 효율성을 확보한다. 상반된 디자인 어휘는 상부에 설치된 수평 버티컬을 통한 풍부한 간접광 유입을 유도하는 볼륨과 도시와 도서관의 원활한 동선확보를 유도하는 전창으로 열린 주출입구 계획이 반영된 볼륨으로 완성된다. 이와같은 건축환경은 지역문화의 원활한 소통을 제공하는 장소로 농업문화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된다. reviewed by SJ french studio bplusb architectures has extended th..
스페인 북부, 로그로뇨를 여행하는여행자의 안락한 쉼터를 제공하는 호스텔은 기존 낙후된 건축물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현대적인 모던함이 베어나는 숙박시설로 제공된다. 생동감 넘치는 지역문화의 경험을 위한 전초기지, 호스텔 내부공간은 기존 공간의 존중과 적절한 조율 속에 깊은 공간감을 형성한다. 특히 기존 지붕 지지재 -목조 프레임-는 새로운 지붕을 지지하는 구조체 역활과 새로운 백색벽과 시간을 뛰어 넘는 대비감을 통해 내부를 풍부하게 연출한다. reviewed by SJ Spanish architect Sergio Rojo has recently completed the extensive refurbishment of a building which began to deteriorate at the turn o..
일본 내 예술가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회사, 픽시브 오피스 랜드스케이프는 생동감 넘치는 다양한 컬러와 형태로 예술가의 작품 전시와 그 전시에 대한 피드백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창출된다. 그리고 여기 오피스를 지그재그로 휘감아 돌며 직원들의 작업공간 확보와 생동감 있는 공간 연출을 돕는 인터렉티브 데스크는 기능과 예술의 경계에서 회사의 이미지를 배가, 공간을 캐릭터화 한다. reviewed by SJ tokyo based teamlab have designed a vibrantly colored, interactively oriented office space for pixiv, a japanese online community for artists, where users can exhibit t..
Belgium-based Studio Segers has designed Vloed, a fruit tray made from wood. from contempor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