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permanent flower kiosk in Ladbroke Grove, built using digital and handcrafted fabrication techniques. This project, for a permanent flower kiosk in Ladbroke Grove, came about as part of a change of use application for the neighbouring retail unit, which had previously been used as a florist. Contract value: £47,000 Location: St Helen's Gardens, London Client: Mountgrange Heritage and The C..
Located in Malalcahuello, in the Araucania region of Chile is a winter retreat perfect for observing nature. Designed by Francisca Cifuentes and Alejandro Maorales of MC2 Arquitectos, the 48sqm Winter Cabin has a sloped roof for snow dispersal, an elevated wood walkway for access even when the snow is one meter high, and a large expanse of glass overlooking the Northern views toward a small wate..
새롭게 재구성된 모바일 하우스; 템퍼러리 쉘터는 유목문화의 향취를 재현, 아웃도어 레크레이션을 제공한다. 이전 유목생활을 위한 공간과 유사한 외형과 내부 구성은 중심부에 위치한 화덕을 기점으로 자리할 수 있는 벤치가 배치된다. CNC 커팅된 플라이우드와 폴리카보네이트는 3.8 지름에 4.7미터 높이의 돔의 형태로 구현되며 가죽을 덧 붙여 구성한 것과 같이 백색의 폴리카보네이트 연결재를 피스결합으로 디자인한다. 두개의 출입구와 상부의 오프닝은 사람들의 출입을 용이하도록 돕는 역활과 내부 화덕으로 피어 오르는 연기를 배출하는 스모그 오프닝으로 기능한다. 여기에 상부에 설치된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는 솔리드한 돔형태의 공간 속에 주간에 태양빛을 유입시키는 채광창 역활과 야간시 이곳을 여행하는 여행자의 안내를 도..
클래식에 대한 재고. 여기 방문자 센터는 중국 전통 목조건축에 대한 재고의 장소로 제안된다. 센터를 구조화하는 쇼케이스 스트럭쳐는 현재 중국문화에 적응 가능한 현대적인 재료의 사용과 기술의 혁신을 통한 역사적인 목조건축의 선례를 재현한다. 건축재료로써 나무의 대두는 지속가능한 건축의 큰 테두리 안에서 친자연적이며, 재생가능한 디자인 요소로의 접근에서 시작된다. 그러한 목적은 이곳 방문자센터를 구성하는 주요한 3가지 포인트에서 구현된다. -중국 전통목조 건축의 구축방식, 돌로 이루어진 기단부, 주춧돌과 그 위에 세워진 나무 기둥 그리고 주변 자연경관을 닮은 곡선형 지붕- 센터를 만나는 도입부; 주출입구, 고객 대응 판매 서비스 구역, 커피 바, 이렇게 내부를 구성하는 주요한 공간은 대지의 형상에 따라 자연..
헝가리 쾌세그, 외곽지역 채석장에 위치한 주거 프로젝트. 주변환경과 대비되는 심볼릭한 형태가 특징. 하우스를 디자인하는 재료와 형태는 각기 다른 요소에서 다른 스케일로 적용, 리니어한 주거의 공간을 완성. 특히 거주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반영된 주거 플랜은 연속된 보이드와 솔리드를 주변에 위치한 바위와 매치하며 두드러지는 건축의 캐릭터를 구현. 여기 주거의 외형적 특징을 정의하는 다크밴드 -수직패턴이 가미된 팀버 판넬- 가 리니어한 주거를 밴딩하며 대비감을 증폭 시킴. 내부에 위치한 각 공간은 인접한 바위 또는 울창한 숲에 향하며 외부와의 관계성 확보. 그렇게 주거는 오가닉한 환경 속에서 자신의 당위성을 구현함으로써 심볼릭화 된다. reviewed by SJ in the outskirts of kőszeg..
싱가폴, 금융 중심 구역에 위치한 부띠끄 캡슐 호텔의 가장 큰 장점은 최소의 공간으로; 최소의 비용으로 간편하면서도 평온한 그리고 편리한 숙박공간을 여행자 또는 비즈니스맨에게 제공한다는 점이다. 83 개의 캡슐; 정제된 공간은 캡슐호텔이 지향하는 모던과 미니멀 디자인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고객들 개개인의 맞춤형 개인서비스를 지원, 편리함과 안전함을 도모한다. 이밖에 세탁서비스와 조식서비스, 네스프레소 커피, 하이스피드 와이파이가 제공된다. reviewed by SJ Formwerks Architects have designed the POD Hotel in Singapore. The POD is Singapore’s latest boutique capsule hotel catering to discern..
자연 속에 건축은 순응하고 그에 합당한 공간 및 볼륨을 만들어 낸다. 여기 시카고 클라크 공원내 수변가에 위치한 보트하우스는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우를 첫번째로 이러한 환경의 연속성을 두번째로 그리고 수상활동; 조정을 위한 공간 제공을 위해 자리한다. 공원내 야외활동과 수변가의 다양한 야외활동을 연속, 연결시키는 레크레이션 스페이스 구축은 수변가에 다양한 퍼블릭 스페이스 구축과 이를 대표하는 연속된 박공지붕 형태의 건축; 보트하우스를 구축한다. 이러한 톱니형태의 연속된 박공지붕은 보트하우스의 고유한 캐릭터를 구현하는 동시에 시카고의 사계절에 순응하는 친자연적인 건축을 지향한다. -지속가능한 건축은 남측으로 열린 연속된 천창을을 계획한다. 이를 통해 건축물은 여름철에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자연환기 ..
하우스의 건축적 헤게모니를 정의하는 주요한 수단; 물은 자연과 도시를, 건축과 인간을, 심연과 공간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운하를 이용한 교역의 발전으로 다져진 지역적 특징은 여기 하우스의 내외부 경계를 구분, 연결하는 중정과 연못에 투영된다. 그렇게 투영된 공간의 이미지는 지역적 건축양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건축, 그리고 이를 가능케 하는 나무와 석재와 앙상블을 이루며 거주자에게 최고의 안식처로 제공된다. reviewed by SJ the city of lijiang, china, is known historically as a trading settlement marked by bridges and canals activated by the presence and utility o..
삶의 연장자; 노인들을 위한 주거시설은 그들의 안정적인 삶을 제공하는 안식처로 주위환경과 긴밀하게 조우되는 건축공간 속에서 실현된다. 확연히 구분된 두개의 생활공간으로 분리된 주거동은 중심부에 위치한 메인홀과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주출입구로 구성된다. 효율적인 동선체계 구축 및 합리적인 공간 조닝을 통해 입주민들은 개인적인 생활공간 확보 속에 사생활보호와 작업공간 확보를 완성한다. 여기에 내부와 외부, 퍼블릭과 프라빗, 글래스와 우드 등 각각의 대비되는 요소 및 개념이 친밀하게 발란스를 이루며 노유자시설을 대지속에서 자립시킨다. -건축의 외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글래스 박스는 각 개실마다 외부의 뷰와 채광을 확보하는 동시에 우드와 글래스, 보이드와 솔리드로 구분, 대비되는 건축의 다양성을 표현, 건축을..
매개공간, 신과 인간을 연결한다. 자연과 건축; 인공적인 공간을 연결한다. 신과 건축을 연결한다. 에든버러, 조지 스퀘어에 위치한 성 알버트 채플은 신학대학의 다양한 종교행사를 수행하는 공간이자, 지역주민들의 예배를 위한 공간으로 디자인된다. 주변 자연환경과의 심도 있는 조우를 위한 디자인, 재료의 선택은 내외부가 밀착된 건축공간을 구현한다. 내부의 깊은 공간감을 연출하는 평행한 두개의 스톤월, 채플의 가장 인상적인 시퀀스를 만드는 커브 캐노피; 오크 슬래이트로 마감한 자연지향형 디자인은 나뭇가지 형태같은 코르텐 스틸 기둥으로 지지된다. 그렇게 공간은 무심한 듯 서로 간의 간극을 유지하며 물리적인 채광과 환기를 확보하는 동시에 자연과 동기화된 건축을 보여준다. reviewed by SJ located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