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잇다. 16세기 외부의 적을 감시하기 위한 해안 관측소 및 교회는 역사가 주는 선물이다. 그 무렵의 교회는 모든 공간과 장소의 전부였으며 그 자체가 진실이였다. 그리하여 모든 공간과 장소는 교회와 교합하여 이전의 인간중심의 공간에서 신에 대한 공간으로 교합 변이하였다. 산 피에트로 교회-요새의 복원작업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중요한 작업으로 신에게 내주었던 공간을 다시 인간에게로 되찾아 오는 색다른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현재의 친숙함(친인간적 재료, 휴먼스케일, 안정적인 디테일)으로 과거를 재현함으로써 기존 시간의 차이를 극복하였다. (개보수 내역: 원형지붕과 벽으로 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기초를 통합 및 보수 바닥면의 플라스터 작업으로 평활도 개선 문, 창문 장식의 기능 복원 18세기 종탑 지붕의 ..
새롭게 리뉴얼된 잭 애반스 보트 하버는 이제 가족단위의 레크에이션과 물놀이를 할 수 있는 공공장소로 새롭게 업그레이드 되었다. 이것은 도시생활의 문화와 그린스페이스를 통합하여 도시적생태적환경의 통합을 이룬다. 또한 보행자로와 사이클로의 확장 그리고 해상활동 접근로의 개선은 도시(육지)와 바다를 연결하여 기존의 육지와 바다의 관계를 재조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워터프론트로써 발돋음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reviewed by SJ The design work undertaken by ASPECT Studios on stage one of the revitalisation of Jack Evans Boat Harbour is now complete and the new recreational and aquat..
방콕 엔코 빌딩의 피티티이피 컴패니는 유기적인 건물의 형상만큼 자유스러운 오피스랜드스케이핑을 보여준다. 인테리어 디자이너의 컨셉은 퍼블릭스페이스 존이 오픈플랜의 오피스 존을 효율적으로 연계하며 전체 공간으로 확장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것은 중앙에 설치된 계단실에서 볼 수 있는데 각기 다른 컨셉으로 연계성이 있는 층을 감각적인 계단의 형태와 구조로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각 공간마다 아이텐티한 성격을 줄 수 있도록 점진적인 컬러코딩을 통하여 각 공간을 차별화 하고 있다. 이것은 기업문화를 자연스럽게 공간에 투영하여 직원들이 자연스럽게 기업에 문화에 동화되도록하는 효과를 갖는다. 오피스랜드스케이핑은 단순히 책상을 얼마만큼 놓아 직원이 몇명이 앉을 수 있느냐를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직원들의 업무 효율적..
거친듯 하면서도 유연한 램프는 아름다운 유리공예와 3개의 우드스틱으로 구성되며 인테리어의 재미있는 소품으로 사용된다. reviewed by SJ created by by berlin-born designer hanna krüger, 'add.on' is a series of individually handmade lamps that entwines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final object. during manufacturing, the glass sconce is blown directly onto three wooden legs composed in a tripod configuration. it is the glassbody along with an aluminu..
4미터 높이의 외벽은 도로변에 개구부 없이 디자인되어 이전의 주택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내부로 열린 프라빗 하우스는 로마시대의 주택과 같이 중앙의 중정을 기점으로 외곽에 룸이 배치되어 있다. 외부 자연환경으로 부터 집과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로마인들의 주거형태가 그러했지만 여기 프라빗하우스는 무엇으로 부터 보호를 받고자 한걸까? 이것은 아마 외부의 불필요한 시선을 차단함으로써 내부의 자연과의 집중력 있는 조우를 계획한 것이 아닐까? 이탈리아 전원이 아닌 도심지에 있어야 할 주거형태가 아닐까 싶다. reviewed by SJ Nothing but a four metre-high door penetrates the plain facade of this house in norther..
흔히들 건축물의 외피가 투명해 지면서 내부와 외부의 관계맺기가 가능해 졌다고들 한다. 항상 그렇게 배워왔기에, 그게 굉장히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막연히 생각해 왔지만 가끔 돌이켜 생각 해 보면 그게 왜 그렇게 중요하게 중요했어야 했는지에 대한 이해는 가지만 아직도 그렇게 시조 읊 듯이 되새김질 해야 하는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커튼월로 도색된 도심을 걸어보면 소통이니 뭐니 하는 말이 체험 되는가 하는 문제. 범인의 입장에서 건축사와는 별개로 일단 몸이 먼저 반응하면, 머리가 돌기 쉬워진다. 한번 놀라고, 생각해 본다. 벽 넘어에 있다고 생각 했던 것은 이념인가, 관계에 기초한 의미있는 소통인가, 아니면 공공성에 대한 공공연한 강요인가. 머, 여튼 그들 중에 하나라면 난 차라리 미친 눈요기를 즐기겠..
the recently completed 'norwegian wild reindeer centre pavilion' in dorve, norway by oslo-based practice snøhetta has been shortlisted by the world architecture festival for an award in the display category. the 90 square meter observation pavilion is positioned within the dovrefjell-sunndalsfjella national park, the remaining home to wild reindeer herds. perched upon a plateau at an elevation o..
단순함이 갖는 매력은 객체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단일화된 시선으로 보여줌으로써 그 객체가 말하고자하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는데 있지 않을까 싶다. 원통 나무 하단부를 디지털 커팅한 조형미를 새로운 시각에서 보여준다.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 reviewed by SJ Borrowed from the forest, the trunk “Wryneck” uses both the craftsmanship of the veneer and industrial technology of the digital cutting to find its place in a domestic space,without renouncing its original state. from contemporist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지만 산업단지와 호수가 만나는 공원에 위치한 네덜란드 최대 오일회사 BP는 다이나믹한 볼륨으로 융화하여 새로운 기업이미지를 창출한다. 그라운드 레벨의 그린에서 부터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공간은 내부로 깊숙히 확장되며 빅홀을 형성시킨다. 빅홀 위에 설치된 탑라이트로 부터 유입되는 자연채광은 다이나믹한 우드월에 맺히면서 또다른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와 같은 빅홀은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미적인 공간감을 직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인간존중의 철학적 의미를 보게된다. reviewed by SJ BP Raffinaderij Rotterdam is both the largest and the youngest oil company operating in the Netherlands. T..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산업의 순환구조, 프로세스가 변경하는 것에 따라 그것을 뒷받침해주는 건축공간은 변화한다. 아마도 이것은 건축의 본질적인 목적: 요구되는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대응하는 공간계획 요새 급격하게 변화하는 산업구조 중 섬유산업은 사향산업으로 점차 빛을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시장에 한발 앞서 대응하는 유니클로, 에이치 앤 엠, 자라 등의 몇몇 의류 브랜드는 소비자와 시장의 패턴을 읽어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와같은 상황에 발맞춰 새롭게 디자인된 '바라타 가르시아 헤드쿼터'는 좋은 사례를 보여준다. 발빠른 시장 대응을 위하여 프로세스 공정을 단순화하며 동시에 함축시킨다. (연구와 시제품 그리고 이것에 대한 결정을 하는 헤드쿼터를 집결시켜 놓으므로써 누구보다 빠르게 대응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