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의 스튜디오: 역설적으로 작은 공간안에 무한히 확장되는 공간을 만들어 냈다. 보이지 않는, 안개 저 멀리 펼쳐져 있는 공간은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의 공간으로 우리를 데려간다. 패턴 도트의 블로워 효과와 벽과 천장의 곡선의 연결은 공간의 임계선을 잊게 만들어 공간이 무한히 확장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요새 프로젝트 중에 깜짝 놀란 프로젝트인 것 같다. 디자인적인 요소보다 작은 몇가지의 요소로 공간의 확장성을 이렇게 연출 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Beijing based architects Tsutsumi and Associates have completed this dance studio in Beijing with mirrored walls covered in tiny graduated ..
빛의 마법이 시작된다: 공간에 남겨진 빛의 자취는 사인이 되고 노을이되고 우주가된다. 매체와 미디어로 둘러 쌓여 있는 비쥬얼 문화의 홍수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매 순간 지나가 버리는 순간이 담기는 이미지는 순간을 영원으로 바꾸어 버리는 마법같은 일들을 만들어 낸다. 마법의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남길 것 인가? 그래서 캐논 프로젝트에서 우리는 빛의 찰나와 같은 순간들 그리고 영원, 그리고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물론 대기업 자사제품의 마케팅 일환이지만 디자인의 경계에 대한 새로운 시대와 자극은 우리에게 신선한 자극제가 되어준다. Images consume every blink of our moments. Living and breathing a visual culture is part of..
감각적인 메스의 디자인 선택이 돋보인다. 공중을 부유하는 형태는 하늘을 날아갈 것만 같은 배와 닮아 있다. 두개의 공간이 중첩되면서 발생되는 아이텐티한 공간은 내부 콘서트홀의 유니크한 형태가 더욱더 돋보이도록 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물론 외피의 면적이 많아 질수록 금액에서 부담이 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랜드마크를 위해 건물에 힘을 불어 넣기 위해서는 특정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들어가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 주경에는 정형화된 커튼월을 읽고 야경에는 메시브한 컨서트홀의 유니크한 형태를 읽는 것이 이 프로젝트만의 매력으로 다가올 것이다. Founded in 1824,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is one of America’s leading research universitie..
유혹하라 그리도 당당해져라: 당신 지금 무엇을 보고 있습니까? 초록색의 펑키한 스타킹을 보고 있나요? 크론크론은 아이스랜드의 전통적인 양식을 기반으로 새련된 구두를 여러분에게 제안합니다. 투박한 듯 하면서도 거침없는 라인은 펑키한 컬러와도 매치가 훌륭히 됩니다. 구두와 매치하기 위해서는 드레스와 스타킹의 선택이 중요하겠는 걸요. The shoes KRON by KronKron have a distinctive style, a flamboyant attitude and a true Icelandic nature. Their ladylike classiness and the elegant materials used carry an allure from a much-appreciated previous era..
사람을 위한 광장 만들기: 자자 이제 차를 위한 공간은 사람에게 양보를 합시다. 차로로 인해 끊어져 작은 건널목의 공간밖에 없었던 아웃도어스페이스를 사람을 위한 광장으로 리뉴얼한 프로젝트입니다. 광장과 차로는 바닥의 재질과 몇개의 스트리트 퍼니쳐로 나누어지며 차로에는 요철면을 많이 주어 차량의 속도를 높이지 못하도록 계획되었습니다. 많은 디자인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몇개의 디자인 법칙만 지키면 차가 아닌 사람을 위한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 Remodelling of the most central and relevant public space in Puigcerdà, originally very much deteriorated, with an excessive amount of traffic that ..
중국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파사드에 깊이 새겼다. 중국의 고대의 유물들을 전시하는 박물관은 건물자체가 기념비적 역활을 한다. 예로부터 우리는 특정한 장소에 기념비를 세움으로써 그 장소에 특별하고 고유한 아이텐티를 부여했다. 광동뮤지엄은 광저우시의 새로운 도시사업의 일환으로 그 역사와 장소성을 계승한다. 깊이 새겨진 패턴을 따라 들어간 내부의 공간은 커다란 아트리움 중정을 기준으로 다이나믹한 메스로 구분되어 진다. 또 그 메스는 갤러리가 되고 복도가 되고 휴게공간이 된다. 슈퍼메시브한 덩어리를 나눌때 건축가는 여려가지로 방향성을 잡는다. 일반적으로는 내부 조닝에 따라 덩어리를 나눈다. 특정 컨셉에 따라 혹은 친환경적, 구조적에 따라 덩어리를 구분한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와 같이 패턴화 하여 덩어리를 구분..
중력은 자연스럽게 옷을 몸에 걸쳐지게 만들어 준다. 위에서부터 자연스럽게 흘려내려오는 곡선은 사람의 몸에서 다른 형태로 태어난다. 이 자연스러운 현상에서 우리는 지금의 디자인된 옷을 입는다. 스루리는 중력을 거부한다. 위에서부터 아래가 아닌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는 다른 곡선을 보여준다. ‘The creative mind continues playing with the objects it loves…’ Almost a year after the first presentation of the Reykjavic-based designer Sruli Recht and his awe-inspiring work, Yatzer follows the creator to his next steps with a pre..
첫번째 드는 생각은 어떻게 움직일까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아마도 지금의 화석연료 또는 전기로도 움직임이 불가능한 다른 에너지를 활용하여 움직일 것만 같은 느낌을 받았다. 또한 드는 생각이 예전 우리네 가마같다고 생각도 들기도 하고... 정말로 사람이 4명이서 들고서 운반해야하는 걸까?... 새로운 디자인은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나온다. 디자이너도 그래서 다른 패러다임에서 시작하여 지금의 프로젝트를 하지 않았나 싶다. 언젠가 바퀴가 불필요해 지는 날이 올까? in what he characterizes as a kind of 'mutation' on the the classic forms of the citroën brand, french designer ora-ïto has developed the '..
2세대를 위한 고급주거를 보여주다: 상당히 불리한 대지 조건(전면:3.7m,깊이25) 을 효과적으로 풀어낸 프로젝트이다. 크게 두개의 생활공간으로 나눈 후 그 두개의 공간의 중심에 자연적으로 빛과 공기가 유입 될 수 있도록 4개층을 오픈한 중정을 만들었다. 또한 중정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세대를 위한 생활공간은 적절히 나누어진 버퍼존의 형성으로 개인생활과 공용생활의 경계를 만들어 주고 있다. 수직으로 분리된 생활공간은 각각의 독창적인 계단을 통하여서도 재미있게 디자인 구분되어 진다. 물론 수직적 공간을 어른들이 사시기에는 상당히 불편한 점이 많다. 젊은 사람도 마찬가지라 본다. 중정을 기준으로 수직적 구성이 아니고 층간으로 구분하여 수평적으로 세대를 활용하고 한층을 스킵으로 엇갈려서 구성하였더라면 거주..
어느 할머니의 죽음: 낡고 초라한 할머니의 의자는 길거리에 산산히 부서져 내팽겨쳐 버렸다. 누가 할머니를 죽인 것일까? 아니 할머니를 버린 것일까? 길바닥에 버려진 할머니는 사실, 길바닥에 버려진 것은 미국의 정신이고 전통이다. 의인화의 기법은 공간을 만들어 내는 건축가 또는 디자이너들이 많이 사용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사람은 자연스럽게 모든것에 시작이 되고 끝이 되기 때문이지 않을까? 그래서 카렌씨의 바디 유에스에이는 처절하다 못해 가슴 찡하게 다가온다. 세계의 모든 문화를 진공기로 빨아 들여 한없이 커져만 가는 블랙홀과 같은 유에스에이. 더이상 꽃은 피우지 않고 달콤한 열매만 열리고 있다. 꿀벌이 사라지면 꽃들도 사라지고 식물도 사라지고 동물도 사라지고 우리도 사라진다. 몇개의 낡은 의자를 가지고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