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형 대지에 맞추어서 자연스럽게 사이드로 밀려난 건축물 사이로 형성된 외부공간은 각 내부공간을 연계하는 중정및 야외운동시설로 계획된다. 대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축은 건축물을 감각적인 부정형형태로 만들며 전체 건축물의 아이텐티를 부가시킨다. 이렇게 조각으로 나누어진 백색 공간은 교실, 탁아 및 보육시설등으로 구성되며 다시 신체내부의 속살을 연상시키는 주황색 복도 및 램프(계단)로 연결된다. 감각적인 선으로 구성된 유니크 폼의 조합도 훌륭하지만 색의 대비로 구성을 심플하게 정리하는 신선함에 더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strasbourg based-practice dominique coulon & associés has created 'josephine baker' a group of schools i..
도심속에 친환경 노천 박물관 공원 만들기: 공원전체를 산책로와 녹지대로 연결하여 공원 전체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생태공원입니다. 각 구역별로 프로그램을 다르게하여 다양한 생태환경을 체험 할 수 있네요. new york based office K/R architects (john keenen, terence riley) has unveiled their master plan for parque de levante, a 400,000 m2 park in murcia, spain. snaking along the segura river close to the city's historic center, the design revisits the idea of a 'museum-park' and aims t..
통합형 디바이스의 미래를 보여주다: 디바이스마다 포지셔닝이 다르다.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이 다르고 아이패드와 같은 터치패드의 포지셔닝은 다르다. 하지만 아직은 이 모든것을 통합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없는 현실이다. 후찌스가 제안하는 통합형 디바이스는 이 문제를 해결한다. 시디, 메모리카드, 전화기, 유에이스비...통합관리하여 새로운 멀티미디어를 재생산해 낸다. 재생된 컨텐츠는 다시금 디바이스로 연결되어 다른 디바이스로 확장된다. a concept by japanese designer toru tomiji, 'nesting pc virtual tablet' is a combination laptop and data visualization interface with automatic batt..
뉴욕,브록클린에 위치한 콜로니 레스토랑은 자연속에 녹아 있는 시간과 공간에 대하여 진실한 얼굴로 우리에게 이야기 한다. 시골의 고풍스러운 집과 어느 한적한 교회의 벽과 바닥 등의 재료등은 콜로니에서 제 2의 공간으로 탄생되었다. 이렇게 디자인된 공간은 시공간을 뛰어넘어 과거와 현재의 동시다발적인 공간안에 우리를 가져다 놓는다. 일련의 빈티지 공간 연출을 위해 많이 시도되는 디자인 방법으로 고풍스러운 시간의 흔적을 디자인 요소로 사용하여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사람들은 고풍스러운 것 빈티지 라벨이 있는 것을 그것이 갖고 있는 값어치가 좋아하는 것이 아니고 부담감없이 즐길 수 있는 편안함이 아닐까 싶다. 새하얀 순백색공간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그래서 사람냄새나는 공간을 찾는게 아닐까 싶다..
강가에 위치한 오래된 방직공장을 멀티미디어센터로 리뉴얼한 프로젝트: 예로부터 방직공장은 수력발전으로 부터 동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강가에 위치하게 된다. 산업적인 측면에 의해 선정된 자리가 지금은 아름다운 풍경을 제공하는 산책로와 연결되어 주변 사람들에게 새로운 문화를 공유하는 장소로 바뀌는 모습이 참 재미있다. 새로운 문화공간(멀티미디어센터)은 마치 멀리서 보면 강가에 떠있는 배를 연상시키는데 이것은 지식의 배를 정보의 강에 띠워 여려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한 건축가의 숨은 의도가 아닐까 싶다. 목재로 된 수직루버는 건축물의 형태를 반물질화 시킴으로써 내부와 외부의 간극을 없애준다. 이렇게 좁혀진 공간은 내부 공간확장으로 이어져 외부 자연과 하나가 된다. 또한 실제적으로도 외부 산책길과 연계되어 자연스럽게..
가자, 밀란으로!! 과거의 시간에 안에 펼쳐진 현재의 디자인들이라 다양한 작가들의 기발한 작품들도 볼 수 있어 좋네요. 몰론 집적가서 만져보고 앉아보고 핱아보고(이것 아닌거지...) 해야 제대로 느끼는거지만 일단 이태리까지 못가는 형편상 비디오로 대체 합니다. Vítor Gabriel shared us showing experimental installations that mix micro-architectures or macro-objects created by international designers during the Design Week that took place at Milan from April 11 to April 17. Enjoy it! from archdaily
은행과 고객과의 거리를 0미터로 만드는 휴먼스페이스 만들기: 감각적인 직선과 곡선의 미학으로 감겨 있는 순백색의 공간은 마치 호텔의 로비나 고급 클럽하우스의 라운지를 보는 듯하다. 이것은 건축가 말한 것처럼 고객과 은행의 물질적인 거리는 물론 심리적 거리까지 허물어 생활 속의 은행으로 다가갈려는 커다란 마케팅 포지셔닝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아직 우리나라의 국*은행이나 우*은행에서는 찾아 보기 힘들지만 아마 이 포스팅을 본다면 한번더 생각을 해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절대 나만의 생각?) 벽면에 도트패턴으로 형상화된 인물들은 은행의 역사와 관련 깊은 인물들로 구성하여 자연스럽게 은행에 대한 호기심으로 사람들을 이끈다. 언제부턴가 우리가 패셔너블한 공간에 많이 사용하는 직선의 각도와 곡선의 크기를 볼 ..
전통과 현대적 모더니즘 디자인 만나기: 중세 유럽풍의 건물로 둘러쌓여 있는 작은 광장앞에 위치한 '다스 아이그너'는 역동적인 구성으로 건축되었다. 외피는 로컬리즘을 고려하여 모던한 스틸재질로 계획되었는데 실은 이곳의 위치가 대장간이 있던 자리를 새롭게 리노베이션하여 그 전통성을 계승하는 의미에서 반영 되었다. 또한 저층부는 주변 건물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고 상부에는 스틸로 접혀 있는 폴딩형태를 취하여 다이나믹한 느낌을 받게 한다. 이것은 상이한 시간과 공간의 만남을 상이한 재료의 만남과 상이한 형태의 만남으로 표현하여 시간의 거리감을 좁혀주어 '다스 아이그너'와 기존건축물 간의 이질감을 없애주는 역활을 한다. 3개의 싱글 유니트가 조합된 플랜계획은 상주하는 거주인을 위한 시설이라기보다 관광객 또는 비상주..
그의 그래피티는 단순한 아트가 아니고 메세지이다. 시간이 흔적이 남겨지는 도심의 벽에는 많은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낡은 것에서만 나는 향기를 우리는 흔히 빈티지라는 라벨이 붙인다. 빈티지 속에는 새로운 것들이 흉내 낼 수 없는 시간의 때가 있기 때문이다. 시간의 때를 다시 새로운 그래피티로 재현하는 아티스트 알렉산드레는 거기에 메세지를 더 한다. 그 메세지가 말하는 각 인물들은 제각기 다른 표정으로 삶과 죽음, 사랑, 열정,.. 을 담아 낸다. 메세지가 담긴 벽에서 우리는 새롭게 도시를 읽고 삶을 읽는다. Call it street art, call it reverse graffiti, or call it architectural sculpture - whatever it is, Portuguese a..
상업시설은 상업공간이외에 이용자들을 위한 공용공간의 적극적인 계획이 중요하다. 지상층에 계획된 공원은 자연스럽게 도심의 야외휴식공간을 주도하여 주변유동인구를 끌어 모은다. 유입된 사람들은 또 다시 자연스럽게 지하 쇼핑몰로 연계되어 문화와 소비활동을 하게 된다. 간단한 공식이지만 개발논리에 맞춰 당장의 상가전용면적에만 열올리는 개발자와 디자이너에게는 쉽지않은 선택일 것이다. 흔히들 오해하는 것 중에 하나가 만들면, 지으면 무조건 온다. 아니면 기존의 유동인구가 많으면 무조건 된다라는 식의 안이한 상업공간의 계획으로 많은 상업시설들이 문을 닫고 있다. 인터넷이 발전되어 이미 무언가를 사기위해 움직이는 시대는 지나갔다. 사람들에게 일방향적으로 광고하는 마케팅의 시대가 갔듯이 자발적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일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