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AA가 설계한 비트라 캠퍼스는 비트라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창고와 물류를 담당하는 물류시설로 30,000m2 가 넘는 거대한 규모-축구장 2개 이상의 크기-로 건축되었다. 재미있는 점은 이러한 거대한 시설이 일반적인 기능공간이 갖는 스퀘어볼륨 형태가 아닌 그 크기를 가늠하기 힘든 곡선 원형의 평면으로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공간은 기능에 충실하도록 구분, 분리되어 제품의 적재, 보관과 제품의 출하동선이 혼선되지 않는다. 이러한 건축행위는 비트라가 추구하는 디자인의 지향점과 SANAA가 추구하는 건축의 지향점이 같은 선상에서 만나 미학, 기능, 구조가 단일화된 건축으로 발현된다. 내부의 기능적 분리는 제품의 종류와 보관기한에 따라 구분된 중앙 적재소를 기준으로 방사형태로 배치된 도크..
콘크리트의 차가운 물성, 나무의 따뜻한 물성. 그리고 중앙에 위치한 글래스 아트리움, 그곳에 식재된 올리브 나무.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평온한 감성을 전달하는 빈티지 스페이스가 완성된다. 일반적인 레스토랑과는 차별화되는 '쿡 오스터리아 앤 피자리아'는 레스토랑이 아닌 빈티지 하우스와 같은 공간감을 앞서 말하는 요소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경향의 공간으로 만들어 낸다. 그것은 절제된 심플한 공간 속에 자연스럽게 배치된 빈티지 요소들과의 조합에서 찾을 수 있다. 치장없는 백색의 벽, 자연스럽게 노출된 조명과 배관들은 절제된 심플한 공간을, 보르도 가죽쇼파, '트리토리아' 빈티지 스타일 체어, 샹들리에 등은 빈티지 요소를 만들며 이곳 레스토랑의 디자인 캐릭터를 구체화 한다. reviewed by SJ K..
시부야에서 오모테산도에 걸쳐 형성된 패션거리 '캣츠 에일리'에 새로운 플래그쉽 스토어 '오프닝 세레머니'가 새롭게 다시 문을 연다. 1,200 스퀘어미터 면적안에 4개의 테마로 구성, 하라주쿠 거리의 젊은이들의 패션을 대변, 투영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은 다채롭고 활동적인 공간으로 디자인 된다. 이와같이 구분된 테마공간은 각기 다른 테마로 각 디자이너들의 옷과 소품이 진열된다. reviewed by SJ Opening Ceremony has relocated its flagship store from Shibuya to Omotesando to the home of street fashion on Cat’s Alley. The new Tokyo flagship store sees OC founders Hum..
손님들의 출입구 방향을 향해 일정한 각도로 돌려진 상품의 디스플레이는 손님을 환영하는 인사와 쇼핑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건강보조 식품을 판매하는 나낙 리테일샵의 독특한 진열방식은 수평으로 연속되는 선반과 직교하는 수직 판넬-황금색 버티컬 우드판넬-로 모듈화 및 유닛화 된다. 황금색 버티컬 우드판넬은 상품의 진열방식에 따라 각도의 조절, 모듈간극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디자인되어 플렉서블하면서도 효용성 높은 공간활용을 가능케 한다. reviewed by SJ Brazilian architecture practice MACh Arquitetos, in collaboration with Mobio Arquitetura’s Gabriel Castro, have recently complete..
일본과 브라질 두개의 상반된 두개의 문화를 섞는다. 평온과 미니멀을 첫번째로, 다양함과 활력을 두번째로, 표현하는 알키바나 레스토랑은 이 서로 다른 문화를 섞어 퓨전음식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이것은 두나라 문화의 특징을 추출, 공유함에서 시작한다. 브라질 삶의 밝고 다양함은 일본 전통의 회화의 극적 예술공간으로... 이를 통해 레스토랑 내부, 천장을 구불거리며 휘감아 도는 우드밴드는 마치 거대한 숲처럼 공간을 감싸는 동시에 각 프로그램; 주방, 바, 손님좌석을 구분하는 기능적 디자인 요소로 표출된다. 이로써 일키바나 레스토랑은 거대한 숲을 투영하는 또하나의 자연공간이자 두개의 문화가 공존하는 드라마틱 스페이스가 된다. reviewed by SJ The Ikibana restaurant offe..
파리 시내 오랜된 은행이 있던 빌딩 1층에 트랜디한 안경점이 새롭게 문을 연다. 고객과 건축주를 만족시키는 디자인의 완성은 고객이 바라는 현대적이며 감각적인 공간의 부흥의 기대를 만족시키는 감성적인 인테리어 디자인에 있다. 커다란 오픈 스페이스에 아파트와 같은 몇개의 룸은 웨이팅룸, 리빙룸, 키즈룸 그리고 작업및 연구실로 구성된다. 특히 작업 및 연구실은 글래스월 -고객들이 유리창 넘어로 작업공간을 살펴 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안경이 제작되는 과정을 확인, 신뢰를 높인다.-의 파티션으로 구획된다. 여기 기존공간을 활용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은 플로어에 퍼즐 페인팅과 -다채로운 공간의 확장성- 안경을 디스플레이하는 블루 캐비넷으로 구성, 이곳을 찾는 고객들에게 집의 안락함과 패셔너블하며 트랜디한 스..
낡음의 미학, 오래된 것, 시간의 흔적이 담긴 공간, 발리에 위치한 비스롯 레스토랑은 빈티지 인터스트리얼 디자인의 종합선물세트를 보는 듯 하다. 인도네시아의 토속적인 재료 및 디자인 요소는 앤티크함과 클래식함을 전달해주는 요소 내부 곳 곳에 위치하며 거친 바닥재와 벽돌, 나무로 마감된 천장재와 더불어 공간에 온화한 빛을 감돌게 하는 분위기를 형성시킨다. reviewed by SJ The Bistrot, the new vintage Parisian eatery and bar on buzzing Jalan Kayu Aya - also known as Jalan Laksmana and Jalan Oberoi - fondly known as the ''eat Street'' in Seminyak, Kuta di..
인상적인 형태미를 보여주는 파빌리온은 패스트 푸드- 맥도날드-와 주유소가 결합된 복합 상업시설로 삼각형 반투명한 글래스 조각으로 이루어 진다. 여기 거대한 캔틸레버 구조 시스템은 내부의 중앙 코어를 기점으로 회전하는 내부공간을 구성하며 내부정원이 포함된 맥도날드로, 외부 캔틸레버 하단부로는 주유소가 프로그래밍 된다. 반투명한 글래스 파사드의 다면체 조각들은 주야간 상반된 시퀀스로 도심 속 건축물을 투영하는 장치로 때로는 내부의 발산하는 불빛으로 도심 등대로 랜드마크화 되는 동안 캔틸레버 하단부에 위치한 불투명한 조각들은 내,외부를 분리하며 도심 속 차량이용자들의 안전한 휴게쉼터와 주유 공간을 확보한다. 이러한 다이나믹함은 프로그램의 이종접합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디자인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주목하게 만드는 ..
아테네에 위치한 300m2 크기의 커피샵은 외부자연환경을 내부에 유입시켜 도심 속 또다른 그린 스페이스를 창출한다. 두개의 세미 오픈스페이스에 설치된 그린월은 내부공간을 풍부하게 유지시키며 이곳을 찾는 고객들의 심신을 안락하게 유지시켜주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그리고 여기 오픈 스페이스에 설치된 천창은 내부에 대량의 자연광을 유입시킴으로써 내부에 사용된 나무, 메탈, 콘크리트와 같은 재료들의 고유한 물성들을 공간 속에 잘 투영되도록 도와준다. reviewed by SJ The coffee shop is located in the Athens and has an area of 300m2. The concept was to create a chilled environment that gives the impr..
살롱 내부에 설치된 자작나무는 이곳을 찾는 당신을 오사카 어느 헤어샵이 아닌 평온한 숲속으로 인도할 것이다. 살롱은 크게 자작나무게 배치된 숲속 구역과 고객의 스타일링을 위한 의자와 거울이 준비된 구역으로 나뉘며 곳곳에 건축주가 제작한 엔티크 소품으로 채워진다. reviewed by SJ This forest-like beauty salon in Osaka has birch trees wedged between the floor and ceiling. Named Onico, the hair and nail salon was designed by Japanese architect Ryo Isobe. The architect imagined the space as a woodland filled with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