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하우스 바바리안 레스토랑은 모던스타일 가미된 전원의 전통적인 요소를 조합한 여유로운 내부 공간을 보여준다. 내외부의 다른 시퀀스 속에 -외부에서 바라보는 레스토랑은 스타일리쉬한 폴란드식 주방의 시퀀스가 옅보인다; 디자이너가 폴란드인이라 그런가?- 내부 디자인은 각공간마다 저마다 개성을 살린 서로 다른 캐릭터로 구성되며, 여기에 모던스타일이 가미된 전통적인 바바리안 디자인을 기본으로 조금씩 변형된 디자인으로 접합된다. 그것은 아마도 바바리안식의 주방과 디자인 양식이 반영된 결과가 아닐까 싶다. 그렇게 독일 남부 전원의 여유있는 디자인 요소들은 램프와 샹들리에와 조화를 이루는 그린컬러, 밝은 톤의 유닛들, 볼드하며 미니멀한 구리조명 등으로 레스토랑 내부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로 사용된다. reviewed..
현대적 감각과 키치 디자인이 앙상블을 이룬다. 레스토랑 홀을 구분하는 디자인 파티션은 마치 조립식 상자에 배열되어 있는 조립품들을 보는 듯한 독특한 시퀀스를 만들어 낸다. 이 단면 조각안에는 다양한 조리기구와 주방도구들이 표현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이곳의 분위기를 알리는 디자인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reviewed by SJ Khosla Associates together with tsk Design have completed The Tower Kitchen in Bangalore, India.
Studio Arthur Casas designed the Mistral Wine and Champagne Bar in São Paulo, Brazil. from contemporist
수크는 레바논에 위치한 레스토랑 겸 24시간 푸드 마켓입니다. 비교적 편안한 컬러톤과 무난한 마감재료를 사용한 인테리어 디자인은 이슬람 문화 속에 위치한 레스토랑을 과거의 시간이 아닌 현재의 시간 속으로 인도합니다. 이것은 내츄럴 우드와 콘크리트 그리고 심플한 금속부재를 현대적 모던 양식에 따라 장식을 배제한 디자인 속에서 나타납니다. 특히 이슬람 건축을 재해석한 패턴들은 이곳을 이용하는 방문객들에게 펑키한 의자와 유니크한 팬던트 조명이 만들어 내는 활력처럼 신선하게 전달됩니다. -자연스럽게 벽의 파티션으로 사용되는 칠판보드는 오늘의 요리에 대한 정보를 기재하는 사인 겸 디자인 보드로 활용됩니다.- reviewed by SJ Lebanese food available 24 hours a day in a ..
중국 소주시 신 비즈니스 구역에 자리 잡은 더 레포 몰 쇼핑센터는 상업지역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지역 상업개발을 위한 벤치마크로 활용됩니다. 이러한 거대한 쇼핑센터를 구성하는 주요한 디자인 방향은 '동양의 베니스'라고 불리우는 소주의 아름다운 브릿지와 정원을 모티브로 하는 유려하며 자연스러운 곡선의 흐름을 물의 흐름처럼 막힘없이 연속시키는데 있습니다. 특히 프라이머 보이드 스페이스의 발고 부드러운 오가닉한 수평적 흐름은 6만 5천 스퀘어 미터 쇼핑센터의 아이텐티를 정의하는 핵심공간으로 디자인 됩니다. 자연스러운 물결을 부드러운 곡선은 층마다 연속되는 좌석구역의 맞춤형 퍼니쳐로 구현되어 쇼핑센터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휴식을 보장해 줍니다. 트랜디 합니다. 컴템퍼러리 합니다. 오히려 이러한 면이 이 지역적 특..
commissioned to design the interior of a retail store one year after the devastating tohoko earthquake, japanese studio schemata architects sought to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rcial architecture and the consumer in the 'takeo kikuchi' clothing brand retailer in shibuya. to open up a new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ior and interior, operable wood-frame windows were installed into ..
집 속에 집. 외부에서 바라보는 누들하우스의 첫모습은 흡사 산업적인 한장면이 연상됩니다. 창고 슬라이딩 도어와 유사 해보이는 출입구가 이러한 분위기를 만드는 것 같습니다. 다시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들어온 내부공간 속에는 작은 마을이 펼쳐집니다. 각각의 좌석을 아늑하게 감싸고 있는 작은 집모양의 미니멀한 설치물은 소인국을 연상시키는 분위기로 누들하우스를 정의합니다. 정갈하지만 차갑지 않은 인테리어 디자인은 그렇게 따뜻한 감성의 나무의 사용과 상부에 매달린 펜던트 타입의 조명으로 공간을 완성합니다. reviewed by SJ Noodle style For this noodle restaurant in Osaka, Ietsugu Ohara of Stile Space Industrial Arts+ comple..
영국 치미칸자 레스토랑 인테리어 컨셉은 고대 아즈텍과 마야문명의 패턴이 반영된 현대 멕시코 스트리트 디자인을 정제된 현대적 디자인으로 재배치 합니다. 그러한 결과로 인하여 생성된 레스토랑 인테리어는 2개층으로 오픈된 내부공간 속에 강렬한 레드와 그린으로 믹스매치된 유광 글래스 타일과 재활용 우드 바닥패턴, 그리고 앤티크 미러로 치장된 벽으로 디자인 됩니다. 이국적인 빈티지한 맛이 멕시코 전문 레스토랑으로 손색 없습니다. reviewed by SJ It's your classic high street Mexican restaurant - with a punchy, geometric twist. Tasked with over-hauling British restaurant chain Chimichanga, ..
노르웨이 아케르스후스에 위치한 아이스크림 가게의 인테리어는 에스키모 소녀와 북극곰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디자인 되었습니다. 동화속 에스키모 소녀가 파놓은 얼음구멍에서 쏟아지는 다양한 맛의 아이스크림을 형상화한 인테리어 디자인은 다양한 파스텔톤의 컬러를 겹겹이 레이어드 하면서 다채로운 공간을 연출 합니다. 딸기, 초코렛, 피스타치오, 망고, 등등 다양한 컬러는 다양한 맛으로 아이스크림을 이야기 합니다. reviewed by SJ Scenario Interior Architects have designed the interior of an ice cream shop in Akershus, Norway. The client was presented to us through an advertising and de..
베스트셀러 로지틱스 센터는 유럽의 유명한 의류브랜드 물류를 담당하는 회사 입니다. 산업형 빌딩의 전형적인 예시를 목표로 계획된 건축물은 물류 기능을 만족시키는 공간을 설계하는 것은 물론이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아이이텐티를 갖는 건축물을 지향합니다. 그리고 또한 지속가능한 건축을 지향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면에서도 충실히 솔루션을 찾아 내고 있습니다. -재활용 마감재, 우드 클래이딩 시스템, 대형 스케일의 그린 루프, 고효율 기계설비의 사용- 이러한 설계환경은 모든 작업장이 균질한 환경 속에서 쾌적하고 안전하도록 유지시킵니다. 베스트셀러 로지틱스 센터가 유럽 물류회사의 표본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reviewed by SJ The new logistics centre, located on 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