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UTAA 서울 스튜디오가 진행한 어린이 센터의 집 모양 확장 파트이다. 이 부분을 통해 아이들이 놀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정원 쪽을 바라보면서 책을 읽을 수 있게 하였다. UTAA에 한 선생님이 요청하기를, 피노키오 어린이 센터를 만들기 위해 낡은 건물 하나를 확장개장하고 싶다고 하였는데, 이 공간은 공연과 전시를 할 수 있으면서도 교육적 활동과 독서가 이루어질 공간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 건물은 포천 시 근교 산을 둘러싼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서울에서는 북쪽으로 2시간 방향이었고, 예전에 예술작가의 집이자 스튜디오로 사용되었던 곳이었으나 2년 정도는 그냥 방치되어 있었다. 클라이언트는 이미 이 건물의 집을 '피노키오'라고 지어놨기에, 그 스토리를 기반으로 공간을 상상하기 시..
Eduardo Souto de Moura와 Graça Correia이 작업한 포르투갈 Portalegre의 가상현실 연구센터 내 강당에서 빛나는 메탈 외관과 노출 배관은 인더스트리얼의 느낌을 느끼게 한다.버츄얼센터의 시작 Auditório Audiovisual이란 이름의 강당 시설은 Souto de Moura 가 개발한 방대한 계획 중 일부인데, 전체적으로 ICT-VR(International Centre for Technology in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술을 위한 국제 센터)의 목적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접근을 교육하고 접근함으로써 가상현실 기술의 개발과 사용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Auditório Audiovisual은 낡은 창고와 공장 건물들이 일련으로 들어선 곳에..
컴템퍼러리 갤러리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의 시작은 주변 도시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연속성 확보와 한정적인 대지조건;협소한 경사지를 극복(프로그램을 수직으로 조닝한다.)하는 건축을 목표로 한다. 갤러리 구성 교육시설이 위치한 지하1층, 소규모 갤러리가 위치하며 그 아래2개층으로 작업장과 창고, 주차장이 위치한다. 두개의 외부동선 중, 건물사이를 따라 연결된 저층부 외부계단이 외부와 지하주차장을 연결하는 동안 상층부에 위치한 브릿지는 갤러리와 Lopdell House사무실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 역활과 조각전시 및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옥외 전시장으로 옥상테라스와 함께 사용된다. 갤러리의 첫인상, 알루미늄 시트로 마감된 외부는 마주한 가로와 갤러리의 만남을 주선한다. Lopdell House하우스와 동일한 배치..
(생활 밀착형 의료진료를 목적으로) 심층적인 전문분야보다 광범위한 가정의학 제공을 목적으로 아사히초 크리닉은 자리한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지만 점차 늘어나는 노인인구 비율에 발맞추어 이런시도가 점차 늘어 날 것이다.- 건축물의 배치는 대지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북동방향의 L자 형태로 배치된다. 자연채광 및 내외부 소통을 위한 대형 오프닝은 역동적인 입면과 함께 건축물의 얼굴(어프로치)을 생성하는 동시에 환자 및 방문객들의 프라이버시 확보한다. 친숙한 이미지 생성을 위해 재해석된 박공지붕; 집의 이미지는 열림과 닫힘을 반복, 건축적 은율을 발생한다. 내부로 이동할수록 증폭된 은율; 긴장감은 외부자연환경과 내부를 긴밀히 연결시키는 매개역활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한 기능적 요소로 적용된다.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자리한 영어국제학교, 앨리스 스미스 스쿨(Alice Smith School)의 5개년 개발계획 중 첫번째 단계, Jalan Bellamy가 최근 완공된다. 공간구성 열린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지원시설은 부모를 위한 원스톱 센터와 카페테리아 그리고 아이들 놀이공간을 제공한다. 200명 수용가능한 아이들 구내 식당이 대형 주방과 함께 1층에 자리하는 동안 선큰플레이 공간이(지면으로 조금 내려간) 계단실 및 엘리베이터와 함께 건축물의 앙커지점으로 배치된다. 2층은 부모를 위한 간단한 식음료 공간과 기타 프로그램; 관리사무실, 번역사무실, PTA미팅룸, 유니폼 삽과 화장실이 자리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project started with an educational ..
커뮤니티 시작 커뮤니티 홀가 바라보는 지향점은 주변자연환경 및 단절된 도시환경을 연결하는 노드점 역활에 있다. 도시의 캐릭터를 보여주는 오래된 석축으로 부터 연속된 장소성 연출은 지역재료를 현대적 건축어휘로 다듬은 건축설계를 통해 구현된다. 무엇보다 도시의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를 자연스럽게 소통시키는 역활(입지적인 특징)과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사회, 문화활동 지원을 위한 장소로써 센터의 건축환경은 완성된다. 절제된 건축은 컴팩트한 볼륨으로 주변 자연환경과 어울리는 외부 장면을 연출한다. reviewed by ZH,오사 Our project is part of the landscape of the town of Saint-Pierre-des-Bois (Sarthe), characterized by numer..
The project for the realization of the Brescia’s swimming center, is located in the district of Mompiano in the north part of the city, near the football stadium. The volume is characterized as an urban architecture, open to a specific relationship with the sorroundings, against the logic of sports building seen as ubiquitous object, placeable in each site. 도시와 관계맺다. 이탈리아 몸피아노 위치한 브레시아 스위밍 센터의 건..
와이즈 건축의 최근작, '어둠속의 대화 북촌'은 건축을 넘어서 공간과 인간의 경계를 두드리는 실험적 장소를 제안한다. 건축의 심미적인 한계에 대한 도전은 (가시적인) 물리환경을 배제한 무형의 공간속에서 답을 찾는다. 이를 위해 건축가는 건축이 아닌 기존 장소에 투영된 자연속에 해답을 제시하며 이를(자연을) 적극적으로 내부 유입한다. 그리고 방문자에게 실질적인 경험을 접하도록 유도한다. -16미터 고저차의 지형, 수직적 이동 경험 속에 거대한 암석과 자연식생을 경험한다.- 건축물의 캐릭터를 강화하는 입면 디자인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발'을 모티브로 재구성함으로써 건축환경이 지향하는 가시적 환경에 대한 도전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아래에 건축가의 이야기를 더 들어 보자. reviewed by SJ,오사 ..
열린 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하이스쿨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대지의 장소성 존중에서 시작된다. 기존, 오래된 학교와 연접한 새로운 교실 건물은 총 5개층으로 증축, 15개의 교실을 추가한다. 유연한(flexible), 열린 교육환경은 추가된 교실뿐만 아니라 다양한 내부 공간 내에서 생동감 넘치는 공간; 쾌적한 중정, 가로환경을 옮겨 놓은 연결복도에서 학생들의 확장된 소설활동을 지원한다. 이와같은 공용부는 재조정된 역사적인 건물의 입면의 각기 다른 건축어휘와 이를 감싸안은 현대적인 건축어휘의 만남 속에서 이루어 지며 외부환경으로 부터 학생들의 프라이버시와 안전 그리고 쉐이딩을 확보하게 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design brief grew out of a review of the sch..
선사시대 고고학적 유물과 초기 중세시대의 역사적인 보물 및 아이템을 전시하는 전시장은 이전 석탄 저장창고와 연속된 공간을 생성한다. (이전 석탄저장고 사용된 공간의 일부분을 재구성한다.) 성당과 유사한 공간감을 제공하는 전시장 홀은 3개의 구역으로 구성, 디스플레이 케이스와 구불구불한 기둥 그리고 국부조명으로 장소성을 연장한다. 또한 양방향 전시동선을 지원하는 내부는 왼쪽과 오른쪽, 중심홀을 기점으로 중세시대 섹션과 선사시대 섹션으로 구분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exhibition rooms were created through the connection of former coal bunkers. They form a cathedral-like three-nave space.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