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토 몬트 로얄에 위치한 3층 단독주거 리모델링 프로젝트는 거주자에게 현대생활을 위한 거주환경 구축을 목표로 진행된다. 1880년대 기존 건축물의 구조물은 재구성 및 보강된다. 그리고 모던 디자인 으로 통합, 화이트 스페이스를 통해 리노베이션 된다. 그중, 마스터룸과 스튜디오를 구분 짓는 화이트 유틸리티 큐브는 재활용 목재로 구성된 선반으로 디자인, 실 내부의 구심점 역활을 수행한다. 최소한의 디자인을 통해 향상된 거주기능은 거주자에게는 심플한 라이프 스타일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 건축에게는 다시 태어나는 기쁨을 선물한다.reviewed by SJ,오사 Juliette aux combles | Remodeling of a third-floor single-family dwelling in Plateau..
독일 칼스루에에 위치한 4층 규모, 개인주택의 지향점은 거주환경의 지속성에 있다. 이는 유니버셜 디자인을 통한 무장애공간 연출과 패시브 디자인이 접목된 지속가능한 건축환경을 통해서 얻어진다. 먼저, 하우스 4개층은 오픈형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동시에 북측에 위치한 램프 및 통합 수직동선(엘리베이터 코어)은 공간을 막힘없이 연속시킨다. 여기에 마주한 앞마당은 이웃한 환경과 하우스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건축의 대조(채움과 비움, 건축과 조경, 솔리드와 보이드)를 만족시키는 건축어휘로 제공된다.하우스의 환기와 냉방은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루버 윈도우(자동 조절되는)를 통한 맞통풍과 글래스 윈도우에 시공된 태양열 차단시스템으로 냉방부하를 감소함으로써, 별도의 에어컨디션을 운영하지 않는다.하우스..
벽돌을 통해 건축의 캐릭터를 구축하다. 슬로베니아 수도, 류블랴나에 위치한 공동주거 프로젝트는 지역건축가,dekleva gregorič arhitekti가 지향하는 건축환경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프로젝트에 사용된 재료의 물성은 대지의 이전 기억; 벽돌공장에 대한 장소성을 참조한다. 그러는 동안 프로젝트의 건축환경을 특별하게 하는 파사드 디자인이 추가된다. 이를 위해(재료의 물성을 발현하기 위해) 건축물의 볼륨은 내부로 커팅된(각 세대 발코니) 볼륨과 함께 캐릭터 구현을 위한 바탕으로 제공된다. 내부적으로, 185세대 구성을 위한 명쾌한 건축구조는 17개의 객실타입(각 타입은 실구성과 사이즈에 따라 구분된다.)으로 발전, 조직된다. 여기에 구조 시스템 또한 각 세대의 유연한 공간활용(가변성)을 위해 일정한..
스위스 Ayent 지방에 위치한 오래된 오두막을 개조, 가족들을 위한 휴양주택으로 재생시킨다. -1882년에 건립된 오두막으로 80년대에 개보수를 통해 근래까지 사용하던 공간- 이번 리노베이션은 새롭게 2층을 추가, 현대적인 거주공간을 증축하는 동시에 기존공간 및 요소들을 병치하여 지역환경과의 합리적인 조화를 구축한다. 기존 공간에 대한 시간은(시간의 흔적이 반영된 기존 구조물과 재료들은 고유한 아이텐티를 발산한다.)기존 스톤 속에 함축적으로 내제되며 이것을 다시 기초로 조적벽돌과 현대적인 콘크리트가 합성된 거주공간을 완성한다.작은 규모에 비해 거대한 글래스 윈도우는 효율적인 기능성 및 주변 자연환경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매개체 역활을 수행한다. 그리고 겨울철 산속 추위에 대비하기 위해 솔라판넬과 우드스토..
지금 파리시내의 풍경을 만든 오스만 도시정비사업에 의한 도시환경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리고 향후에도 파리를 다른 도시와 차별화시키는 장소성으로 유지되고 발전될 것이다. 이번 프로젝트 또한 여전히 이러한 도시환경에 구속? 된다. 하지만 외형적인(건축물의 볼륨과 입면은 이미 정해져 있다. 시티스케이프가 제안하는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이를 준수한다.) 접근은 단순히 건축물의 현재의 속성을 이야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향후 변경에 따른 유연성을 고려한 입면으로 재가공된다. 이는 현재 오스만 빌딩?이 현대적인 도시생활 속에 살아 남는 방법으로 오리지널의 속성을 유지하며 오피스, 스토어, 워크샵, 스쿨로 변경, 활용되는 건축을 통해 발견된다. 그리하여 재구성되는 공동주거는 플렉서블(공간의 유연성)을 바탕으..
실버우드 하우스는 이야기한다. 전원풍경에 구속된 일반적인 거주공간이 삶에 어떠한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지에 대해. 그리고 스스로 이에 대한 대답을 매력적인 건축공간 속에 표현한다. 이는 건축주가 요구하는 공간과 동일한 크기로 적용된다. 크지도 작지도 않는 적당함 속에 분절된 공간들과 이것을 다시 거주자의 취향과 입맛에 맞도록 재가공하여 그들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일련의 작업 속에 표현된다. 이는 해변을 모티브로 둔덕과 모래사장 그리고 따뜻한 나무온기가 가득한 하우스로 완성된다. 프라빗 풀장과 우드데크 및 우드판넬 그리고 다양한 외부레벨 공간 속에 식재된 조경을 통해 구현된다.reviewed by SJ,오사 Photographer João Morgado has shared with us photos ..
파리시 15구역, Boucicaut 재개발 지역에 위치한 복합주거 빌딩이 지향하는 건축환경은 도시와 건축 그 어느곳에 치우치지 않는 어반소셜 레지던스 구축에 있다. (어반소셜 레지던스; 개인화된 도시생활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소외 및 개별화(프라이버시와는 다른)를 방지, 인접 거주자간의 소셜활동 증대를 위한 공생공간) 이는 (Felix Faure거리와 rue Tisserand의 코너에 위치한 입지적 특징을 포함한)다양한 도시환경과 구역내 잔존하고 있는 인더스트리얼 악센트를 반영한 거시적 환경과 거주자의 안락한 거주환경을 보장하는 주거환경의 합리적인 건축을 통해 시작된다.도시와의 관계를 위해 빌딩은 두개의 얼굴을 각각 준비한다. Patronage의 공용 프로그램을 위한 입면과 프라빗 하우징을 위한 입면을 준..
아메리칸 원주민(인디언)의 생활을 기억하다. 그리고 그들의 문화에 대한 존중을 여기 스모크하우스를 통해 재현된다. 스모크하우스는 지역문화를 대변하는 장소로 지역축제 또는 행사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된다. 스모크하우스는 건축물 중심부에 자리한 (살짝 한쪽으로 치우쳐 있기는 하다.) 오픈 스페이스를 기점으로 좌측에 퍼포먼스 홀이 우측에 다이닝룸이 위치한다. 내부 다이닝룸은 사냥과 낚시에 대한 원주민의 전통적인 의식절차를 담은 공간으로 (성스러운?) 나무로 제작된 펜던트조명을 통해 온기 가득한 분위기를 생성한다. 세레모니 홀은 춤과 스토리텔링(주민 토론회, 또는), 기타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특별히 제작된 합성토가 바닥에 깔린다.거대한 적색 삼나무는 스모크하우스의 상징성을 표현하는 디자인 요소인 동시에 건축물을..
모던하우스의 지향점은 자연에 접한 여러 건축들과 다르지 않다.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 외부환경의 적극적인 내부 유입 등 주어진 조건들을 충분히 공간에 담고자 노력한다. 여기 마운틴 모던 하우스 또한 장중한 랜드스케이프를 따라 수평성이 강조된 디자인과 자연훼손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건축환경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주변산세와 나란히 평행하게 연속되는 건축공간을 구성한다. 퍼블릭 룸, 스터디룸, 그리고 서측의 아름다운 풍경을 향해 열려 있는 마스터룸을 연속적으로 배치한다. (게스트룸은 마스터룸의 반대방향, 동측에 배치한다.) 이와 맞은편에 자리한 갤러리는 건물의 우측에 설치된 스톤벽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내부 벽, 바닥, 천장은 블랙월넛으로 마감되며, 외부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샌드스톤과 스토코트로 마감된다...
자연에 응답하다. 온타리오 조지아 베이, 아름다운 섬들이 펼쳐진 낭만적인 장소에 프라빗 보트 하우스가 자리한다. 건축주의 여유로운 여가 생활을 위한 이곳은 주변 자연풍경과 하나되는 레져공간을 목표로 지역문화 및 자연환경에 응답하도록 디자인 된다. 먼저 견고한 암석지반에 위치, 팀버 스트럭쳐를 통해 메인 골격을 자리잡는다. 그리고 거주자의 레져를 위한 각종 편의시설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배치된다. 먼저 삼나무데크와 플로팅 독, 브릿지, 여기에 카약과 카누 및 윈드서핑을 보관하는 창고와 식료품 보관창고가 배치된다. 그리고 어두운 색체의 스테인이 채색된 삼나무 보트하우스(보트 창고)로 부터 길게 뻗은 경량 스틸 스트럭쳐가 캔버스와 함께 안락한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또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수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