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스테르담에 위치한 오렌지 컬러의 흥미로운 정글짐을 통해 아이들은 놀이를 통한 사회성을 자연스럽게 습득한다. 오르고, 매달리고, 때로는 종종 걸음으로 터널을 통과하는 다양한 형태의 체험, 움직임은 여럿 아이들과 함께하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놀이가 된다. 4개의 앵커포인트를 연결하는 약 5미터 길이의 그물망 터널은 삼각형태의 단면이 트위스트 하면서 다이나믹한 공간들을 생성하는데, 아이들의 움직임은 이러한 공간에 진동을 주며 정글짐을 더욱더 흥미로운 놀이터로 변모 시킨다. reviewed by SJ In June 2013, the winding playstructure at the Sloterplas was inaugurated. The project is ahead of the major developme..
내외부의 경계를 없애다. 하우스K가 지향하는 건축은 도시거주에서 발생하는 자연과의 괴리, 지면과의 괴리, 외부공간과의 괴리를 건축공간을 통해 해결, 향유하는 공간 구축에 있다. 입구로 부터 리니어한 대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주거의 볼륨은 마치 보아뱀? -고구마 같다.- 대지 내부로 향할 수록 공간의 크기는 비례하며 상승한다. 그리하여 하우스는 4인 가족을 위한 안락한 내부 거주공간과 자연의 구릉지를 인공적으로 형상화한 외부 경사공간으로 구현된다. -주거의 내부와 외부는 이원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내외부를 경계하는 지붕, 벽? 의 건축적 장치는 단순히 공간 구축을 위한 요소가 아닌 자연과 사람을 병렬로 연결하는 장치로, 주거내부의 자연채광을 위해 오픈된 천창으로 실질적인 연결을 ..
랜드마크 프로젝트, 파괴된 지역 경제, 문화 재건을 위한 모티베이션은 랜드마크를 통한 상징적인 이미지로 구현된다. 여기 2010년 지진피해로 파괴된 칠레 중부도시, 랑카구아 재건프로젝트 기존 워터탱크에 새로운 랜드마크를 부여한다. 기존 형상위에 구축된 와이어 메쉬, 그리고 그 서브 스트럭쳐에 매달린 수천개의 메탈판넬로 구성된 워터탱크의 외피는 바람에 의해 즉각적인 반응하는 물의 형태 -물결-를 건축적인 어휘로 투영, 반영함으로써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구축한다. 2차원적인 공간의 볼륨은 3차원적인 공간으로 볼륨으로 정적인 공간은 동적인 공간으로 도시의 평범한 일부분에서 도시의 앵커로 공간은 장소화 된다. reviewed by SJ The exterior of this water tower in Chile w..
BMW group has unveiled the production version of their first purely electrically powered super car, the 'BMW i8', at the international motor show (IAA) 2013 in frankfurt. the plug-in hybrid combines the dynamic capabilities of a super car with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s you would normally expect from a small city car. featuring a passenger cell made from carbon-fibre-reinforced plastic (CFRP..
Nowadays we work in open-plan offices, and we try to create a loft feeling at home as well. But this means places where we can make a quick phone call in peace or work by ourselves on our laptops have become rare. Designer Alain Gilles’ solution is the BuzziBooth: a felty ‘phone box’ made of sound-insulating felt that dampens outside sounds. Now you can have a moment alone even in the noisiest o..
무형의 박물관을 만들다. 벽이 없는 박물관 -경계가 없는-, 박물관이 없는 박물관은 Alpes Cotes d’Azur의 현대아트센터가 지향하는 건축컨셉이다. 방문객을 비롯한 다양한 움직임들을 도시의 편린들로 연속시킨 박물관의 외피는 시티스케이프의 매력적인 파사드 디자인을 구현함으로써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생성한다. Vincent Leblanc 도로변에 면한 본동은 전시장과 문서보관서가 위치하며, 오디토리움과 아이들 워크샵이 위치한 타워와 더블글래스로 마감된 브릿지로 연결된다. 그렇게 도시의 편린들은 모이고 흩어지고 연속되며 박물관의 고유한 캐릭터를 정의하는 디자인 매개체로 사용된다. reviewed by SJ The project of the contemporary art center (FRAC) for ..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한자리에 공존시키다. 나란히 강을 바라다 보며 두개의 건축물은 자리한다. 하나는 과거의 모습을 -돌로 이루어진 박공지붕형태- 고스란히 간직한 고풍스러운 주거의 모습으로, 또다른 하나는 현대적인 거주공간이 연출된 모던한 건축공간으로 자리한다. 이러한 극적인 대비감은 상반된 두개의 시간을 한자리에 공존시키는 건축 디자인으로 상이한 재료, 시간, 공간, 볼륨을 병렬로 접합 연속시킨다. 그리고 시간에 반응하는 코르텐 스틸의 물성은 이중적인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특성으로 두 건축물을 버퍼하며 연결한다. reviewed by SJ The original structure once belonged to the Hudson Bay Company and had the main entra..
도시의 뒷면을 디자인하다. 폴딩 지오메트릭 파사드는 도쿄 긴자 메인 스트리트에 면한 건축물의 후면부를 디자인한다. 메인 스트리트로 부터 확장된 거리환경은 -가로수길에서 세로수길이 자생적으로 확장되는 것처럼 거리의 네트워크는 확장된다.- 이면도로로 확장되며 증가된 보행자들의 유입을 흡수하기 위한 매력적인 파사드를 디자인하게 한다.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 생성된 불규칙적인 형상은 에어컨디셔닝이 고려된 기능적 스케일로, 그래픽 처리된 알루미늄 펀칭 메탈 판넬을 이용하여 더블 스킨으로 구축된다. 도시의 수직과 수평의 다양한 컨텐츠는 여기 함축적인 건축언어로 귀결, 새로운 랜드마크가 된다. reviewed by SJ a folding geometric facade makes this building by jap..
건축물 중심부에 위치한 리니어한 아트리움을 감싸는 3개의 L자 볼륨은 로우센터가 추구하는 로우스쿨의 상징적 이미지를 투영한다. 여기에 그린톡 -아트리움-은 교실, 사무실, 법률자문실, 법률도서관으로 구성된 내부 프로그램의 상호 연계는 물론 학생과 교수와의 원활한 소통을 지향하는 공간으로 제안된다. 특히 각 공간의 프로그램이 투영된 파사드 패턴은 공간의 특성, 조망, 향이 파사드에 반응한 기능적 디자인으로 적절한 채광을 내부로 유입시킨다. -직사광선은 방지, 내부 조도를 위한 간접광 유입- 각 볼륨이 형성하는 조화 속에 형성되는 하모니는 로우센터를 정의하는 건축언어로 공간에서 장소로, 건축물을 랜드마크화 한다. reviewed by SJ The new home of the John and Frances A..
사가현에 위치한 주거프로젝트는 특징없는 필지 속에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구축하기 위한 건축에서 시작한다. 지면으로 부터 상승하는 폴딩된 파사드는 상층부로 연결되며 자연스럽게 저층부의 전실과 상층부의 중정을 형성한다. 여기에 백색으로 마감된 기본 볼륨과 대비를 이루는 블랙 우드판넬은 폴딩된 파사드를 더욱더 두드러지게 형성하며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구체화한다. 여기에 거주환경의 질 향상을 위한 자연채광과 환기는 파사드를 디자인하는 기본원칙으로 포함되어 디자인의 당위성을 배가시킨다. reviewed by SJ This house was built in the subdivision in Tosu in Saga. A lots of Subdivision was homogenize site, and also ho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