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their first gallery exhibition in france, the brazilian campana brothers have designed, in tandem with carpenters workshop gallery, 'ocean collection'. evolving from their signature 'sushi series', the furniture pieces include a 'sushi buffet' and 'sushi cabinet', a fresh expression of wall and pendant mirrors which are framed with felt, rubber carpet and EVA in different shades of green, bl..
orange glass shades sit on concrete bases to form these chalice-shaped lamps by London designer Magnus Pettersen. The Leimu lamps have tapered concrete bottoms that continue upward as glass. A bulb is placed at the top of this stem so light emanates thought the bowl above. from dezeen
New York studio HWKN has resurrected the nightclub of New York's popular gay resort Fire Island Pines inside an asymmetric pavilion with criss-crossing timber brace The Fire Island Pines Pavilion had been the main attraction of the Pines community since the 1980s, so when the building was destroyed by fire in 2011 HWKN was asked to rebuild it with an improved design. The new building is a two-st..
콘크리트의 차가운 물성, 나무의 따뜻한 물성. 그리고 중앙에 위치한 글래스 아트리움, 그곳에 식재된 올리브 나무.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평온한 감성을 전달하는 빈티지 스페이스가 완성된다. 일반적인 레스토랑과는 차별화되는 '쿡 오스터리아 앤 피자리아'는 레스토랑이 아닌 빈티지 하우스와 같은 공간감을 앞서 말하는 요소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경향의 공간으로 만들어 낸다. 그것은 절제된 심플한 공간 속에 자연스럽게 배치된 빈티지 요소들과의 조합에서 찾을 수 있다. 치장없는 백색의 벽, 자연스럽게 노출된 조명과 배관들은 절제된 심플한 공간을, 보르도 가죽쇼파, '트리토리아' 빈티지 스타일 체어, 샹들리에 등은 빈티지 요소를 만들며 이곳 레스토랑의 디자인 캐릭터를 구체화 한다. reviewed by SJ K..
MIT 미디어 랩의 물질연구소에서 제작한 실크 파빌리온은 제품 및 건축과 디지털을 이용한 생물학적 생산 및 구현에 대한 상관관계 이해를 목적을 실험 제작된다. 누에고치가 고치를 만드는 행동유형의 디지털화, 그리고 다시 육각 프레임 위에 행동유형이 입력, 프로그램된 기계가 실크를 직조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육각면체는 3차원 구의 형태로 귀결된다. 이렇게 26개의 다면위에 누에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영역을 고수하며 각자의 고치를 만들어 이와같은 설치물을 탄생시키게 된다. 바이오 디지털 패브릭케이션 reviewed by SJ Created at the Mediated Matter Research Group at the MIT Media Lab, The Silk Pavilion explores the relati..
지금은 박물관으로 사용되는 프래글 캐슬과 하우스 사이에 새로운 출구가 생성된다. 바로셀로나 건축가 마테오에 의해 제안되는 디자인은 나란히 평행으로 마주한 두건물 사이 보이드 되어 있던 중정에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브릿지 스페이스를 기존 텍스쳐를 사용하며 새롭게 구성한다. 기존 텍스쳐의 연장으로 연결된 외부 출입구를 따라 유입된 공간의 흐름은 서로 상이한 두건물사이 레벨에 의해 형성된 지형을 따라 구분된 레벨로 계획된다. 프로그램을 따라 동선을 따라 빛과 그림자를 따라 내부와 외부를 따라 조각난 평면은 시각적으로 열린, 물리적으로는 구분된 공간으로 외부와 캐슬, 하우스를 버퍼하는 동시에 과거와 현재를 버퍼하는 건축적 장치로 작용하게 된다. reviewed by SJ among the converted p..
공용사무실, 공용공간, CCTV, 온라인으로 공유되는 갖가지 개인정보와 사생활들... 개인적의 삶의 안식처, 휴식처를 위한 코쿤 스페이스. 산업용 10mm 울펠트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특유의 형상과 디자인은 재질이 갖고 있는 탄성 및 연성 거기에 반발력으로 심플하며 유려한 곡선을 갖은 기능적 공간으로 제안된다. 어둠속에서 편안한 안식처를 제공하는 허쉬는 호텔, 공항, 사무실, 도서관 등 다양한 장소에서 개인의 고유한 공간을 확보해주는 장치로 활용 될 것이다. reviewed by SJ Freyja Sewell set out to create a private space within a publicworld, constructed from natural, biodegradable materials. Thre..
보겐지역의 고등학생들과 지역주민들의 문화생활을 위한 복합 커뮤니티 및 교육시설은 3개층 높이로 보이드된 필로티와 다채로운 컬러로 패턴화된 글래스 파사드가 인상적인 외형을 풍긴다. 총 4개층으로 구성된 공간은 다채로운 교육 프로그램 지원-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드로잉,디자인,예술,공예,음악,춤,드라마-을 위한 각 개실과 지역주민들의 문화생활 증진을 위한 스포츠홀, 380석의 강의실, 오디션 및 회의실, 실내체육을 위한 소규모 운동실 등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앞서 이야기한 외형적 특징과는 상반되는 내부에 위치한 커다란 '코쿤'은 라치우드로 마감된 타원형태로 극장 프로그램을 담는다. 극장의 음향적 기능적 공간 특징이 잘 베어 나오는 디자인된 코쿤은 전체 건축물 속에 역동적인 아이템으로 복합 커뮤니티 센터의 캐..
남아프리카 케이프 타운 원앤 온니 호텔 최상층에 위치한 펜트하우스는 산과 바다의 연속적인 뷰의 전망과 거주인에게 프라빗한 공간을 제공한다. 2개층으로 구성, 그중 상부층은 엔터테이먼트 스페이스로 거실과 식당 그리고 바베큐 파티와 스위밍 풀장이 겸비된 넓은 데크로 구성된다. 여기에 아래층은 개인 욕실이 포함된 4개의 실과 TV라운지, 아이들을 위한 키즈 스페이스로 구성된다. 인테리어 디자인의 특징은 중성적인 색체와 공간의 모던함을 베이스로 컬러풀한 포인트가 요소 요소에 삽입되 현대적이며 감각적인 디자인을 완성시킨다. reviewed by SJ This privately owned penthouse apartment is found on top of the One&Only Hotel in Cape Town,..
시간을 연결한다. 그리고 장소와 문화를 연결한다. 오랜시간동안 새겨진 문화는 공간 속에 투영되어 응집력 있는 장소로 숙성된다. 여기 "cishangweiyang" 프로젝트는 지역적 문화를 계승 발전 장소에 투영함으로써 시공간을 뛰어넘는 장면을 연출한다. 여기에 지역적 특징인 고대의 가마터와 여기서 출품된 도자기류를 주제로 중국 전통의 건축적 특징을 현대적인 공간 기법으로 슬기롭게 풀어낸다. 그리고 지역적 문맥의 연결을 통한 열린 공간, 지역적 재료를 이용한 친자연적 화법은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을 공간에 베어 낸다. reviewed by SJ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cishangweiyang' project by beijing-based tonghe shanzhi 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