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동적인 다이나믹함이 도시전체를 압도합니다. 네덜란드 헤이그시의 관공서로 사용되는 오피스 빌딩은 범상치 않은 외모만큼이나 형태적 표현력과 전달력이 좋은 프로젝트 입니다. 두개의 백색 역삼각형 메스가 만나면서 두개의 파사드를 이루고 그렇게 이루어진 볼륨 속에 또다시 공간을 비워 에어 아트리움을 형성합니다. 이 에어 아트리움은 전체 개실에 풍부한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유도하여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역활을 수행합니다. 도시를 압도하는 카리스마가 향후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것 같네요. reviewed by SJ Rudy Uytenhaak Architects have designed a new municipal office in The Hague, Netherlands. Het ‘t..
현대적인 디자인의 특징인 모던함과 간결함 그리고 오픈스페이스의 특징을 보여주는 플렉시블한 공간계획이 돋보이는 레지던스 입니다. 아름다운 가로수길에 맞다 있는 듀플렉스 아파트는 4인으로 구성된 젊은 가족들을 위한 유니크한 공간을 제안합니다. 인테리어의 시작은 2400스퀘어미터의 공간에 가구와 라이팅이 자유롭게 구성되며 전체적인 공간이 막힘없이 열리도록 하는 오프스페이스의 조닝에서 시작합니다. 스테인 콘크리트와 아메리칸 블랙월넛 그리고 브론즈와 스틸을 적시적소에 사용한 재료 마감은 인공적인 녹청과 수성페인트 그리고 하이글로시로 마감한 벽의 베이스와 절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공간의 모던함을 풍부하게 합니다. 여기에 생활공간의 중심인 거실과 주방의 색다른 리노베이션 스페이스는 5층 슬래브를 연결하여 새로이 증축한..
3개의 길다란 공간-두개의 주거공간과 한개의 외부공간-은 건축가의 엄격한 볼륨에 대한 통제에서 시작한다. 외부로 유입되는 공간의 볼륨-아웃도어 스페이스-은 두개의 무채색 메스를 만나면서 마주보는 커다란 창으로 연계되는 주거의 중정이 된다. 두개의 길다란 주거공간은 기둥이 없는 무주공간으로 공간을 연속시키는데, 그것은 단일화된 플로어 투 실링-속이 빈 원통과 같은 구조 형식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것 같다. 예를 들면 곤충의 껍데기와 같다고 해야 할까?-구조로 계획함으로써 끝임없는 연속된 공간을 생산해 낸다. 여기에 중정으로 넓게 열려 있는 각 주거공간의 창문은 거실과 중정을 연결하고 욕실-야외의 자연속에서 세신을 즐기는 여유로운 공간-과 중정을 연결하여 3개의 리니어한 공간을 병합하는데 건축적 장치로 사용..
토교의 조용한 주거지역내에서 자리 잡고 있는 큐브코트 하우스는 두가지의 상반된 얼굴을 가지고 있다.-야누스?- 전면도로와 마주하고 있는-주출입구가 있는-전면파사드는 창이 없는 백색의 솔리드로 디자인되어 있는 반면에 내부 중정으로 면한 거실과 각 공간들은 전창 글래스로 적극적인 내외부 호흡을 같이 한다. 내부 중정을 기점으로 북측에 프라빗 스페이스-메인침실과 아이들 침실-가 위치하며 이와 대칭으로 남측에 거실을 포함한 공용공간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반된 두개의 파사드는 하우스가 말하고자 하는 컨셉을 분명히 한다. 지리적으로 도시에 위치해 있지만 도시와의 관계를 철처히 배제시키면서 자신만의 자연속에 주거공간을 맡긴다. 비록 주거에서 중정이 차지하는 볼륨의 비율은 작지만, 중정이 하우스내에서 외부와 소통하..
백색의 프리즌 트리는 도시공용 공간에 새로운 패스를 만든다. 도시보행자를 위한 공간적 패스는 광장을 나누는 새로운 기준이 된다. 백색의 원통 속에 설치된 LED는 야간에 더욱더 드라마틱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공간적 쉼과 문화 컨텐츠를 만들어 사람들을 끌어 모은다. 도시의 공용공간에 설치되는 설치물은 도시공간 속에서 자신이 무엇을 만들어내고 무엇을 담을지 고민이 반영된 디자인으로 자리 잡아야 공간과 결부된 장소로 인지된다. reviewed by SJ Designed by Like Architects, Frozen Trees is a temporary installation for Christmas lighting in D. Pedro IV square in Lisbon. It builds an illumin..
케이케이씨 하우스는 나무로 둘러 쌓여진 대지안에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 놀수 있는 넓은 정원과 필로티로 띄워진 단층 개인주택이다. 필로티 상부의 주거는 리니어한 형태로 구성된 두개의 공간-거실, 주방, 식당 으로 이루어진 공용공간과 메인침실과 아이들 침실로 이루어진 개별공간으로 구분된다.- 으로 구분되며 내부에 외부로 연결되는 반중정공간을 생성한다. 리니어한 주거를 가로 지르는 반중정공간은 공간의 방향성을 따라 그라운드 레벨에 위치한 정원과 측면에 설치된 그린계단으로 연결된다. 집은 아이들이 처음 접하는 생활공간이다. 어쩌면 건축을 알게되는 처음 공간이기도 하다. 장차 성인이 될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며 공간에 대한 즐거움과 행복감을 심어 줄 수 있다면 모든 부모들은 무엇이든 할 것이다. 건축이 만들어 내..
컴퓨터를 통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페브릭케이션에는 많은 난제가 도출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3차원 재료의 부재는 유기적인 형상의 구현을 가로 막는 첫번째 이유중에 하나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량생산화 가능한 부재를 이용하여 전체 형상을 유닛으로 디바이드 한후 일정한 패턴으로 모듈 및 배열한 공식에 따라 구축해야 한다. 그렇치 않다면 지금과 같은 유기적인 휀스 디자인은 전체를 오브제로 구축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막대한 지출을 감소해야만 구현 할 수 있게된다. 쓰리 디멘젼 휀스의 경우에는 전체 형상을 모듈화하여 나눌 수 있는 수치적 데이타를 추출한 후 그것을 나누는 기준라인을 스틸프레임으로 구축한다. -형상을 구축하는 스트럭쳐 라인을 추출하는 과정, 면 작업 이전에 선형 작업을 통하여 뼈대를 만든다.- 그렇게..
새롭게 계획되는 도서관은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지 역활을 수행하는 동시에 바다와 워터프론트를 연결하는 커넥포인트가 된다. 지역의 랜드마크로 꽃을 형상화한 볼륨의 형태는 중심에 위치한 에어 아트리움을 기점으로 나선형 공간을 형성한다. 공간의 연결 및 확장은 볼륨이 지향하는 형태로 구체화된다. 그것은 대련 공용도서관 프로젝트에도 여실히 나타난다. 이것은 서로 상이한 컨텍스트들의 연결을 일련의 공간으로 연속시켜 볼륨을 커뮤니티 스페이스로 통합하는 설계과정을 보여준다.-1.바다와 육지와의 연결/ 2.외부주변자연환경과 내부 중정과의 연결/ 3.내부 커뮤니티와 외부 커뮤니티의 연결, 등 각기 다른 연결관계를 연속시켜 이어주는 공간계획- 자신을 위한 공간은 한계성이 있다. 공간은 주변을 담고 자신은 그것들 담아 주는 ..
멕시코 시티로 부터 몇시간 거리 떨여진 발레 드 브라보를 굽여 내려다 보는 위치에 자리 잡은 싱글훼밀리 주거는 기존 환경의 컨텍스트를 이어가는 재료와 형태로 부터 시작된다. 경사지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배치는 대지의 토포그래피를 살짝 비틀어 건축공간과 틈을 벌려 생긴 보이드를 이용하여 3개의 화이트 박스를 적층한다. 이렇게 자리 잡은 3개의 박스는 경사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각자의 워터뷰를 확보한다. 이와같은 배치는 하부에 위치한 주거의 지붕을 상부주거를 위한 테라스로 활용되며, 전면 테라스로 부터 시작된 외부 공간의 연결은 화이트박스를 투명하게 개방하는 창을 통과하여 후면 테라스까지 연결된다. 사람은 자연을 떠나 살수 없다. 특히 산과 강과 같은 거대한 자연은 우리에게 넘을 수 없는 커다란 존재..
요리도 이제는 과학이다. 스페인에 위치한 바스크 쿠리널리 센터는 미식학-솔직히 나도 이러한 전문적인 학문이 있는줄 오늘 알았다. 마찬가지고 요리학교가 아닌 과학적인 분석과 연구를 하는 학교라니 놀랬다.-을 전문적으로 연구 및 개발하는 교육기관으로써 감각과 손재주가 아닌 과학적 탐구를 위한 시설이다. 전문적인 인재 양성을 위한 각종 교육시설은 크게 학생들의 훈련과 자기 개발 그리고 각종 연구와 지식을 배우는 연구시설과 테크놀로지 센터 그리고 사회적 활동을 통한 캠페인을 진행하는 시설로 구분된다. 그런데 여기서 특이한 점은 이와같은 일련의 시설들을 단일화된 볼륨의 형태로 구조화 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비탈진 대지를 적극적으로 껴 안은 U자 형태의 공간을 각각 대지 레벨에 켜를 나누어 맞추는 방식으로 디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