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에서 남서측 샤빌에 위치한 익스텐션 하우스는 리노베이션의 또다른 방향성을 보여준다. 1920년 대의 오랜된 주택을 동측으로 인접해 있는 이웃주거와의 보이드 공간을 이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였다. 건축주의 요구에 따라 첼로를 연주 할 수 있는 리허설 룸과 그 하부에 위치한 차고는 클래식한 기존 디자인과 차별화 되는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새로운 접점를 만들어 낸다. (과거와 현재를 접붙여 작업할때 그것을 경계를 명확하게 하여 두드러지게 할 것인지, 아니면 모호하게 만들 것인지는 향후 디자인의 방향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할 것이다.) 오랜된 것에 새로운 것을 더한후 이것을 다시 재해석 과정을 통해 디자인된 프로젝트는 시간의 연속성과 새로움을 접목시켜 이질적인 공간을 만듦으로써 우리가 보지 못하는 과거와..
6미터의 계단실은 3개의 공간을 이어주며 수직공간에 대한 깊이감을 방문자에게 인사시킨다. 백색의 공간은 수직공간의 깊이감 만큼이나 미니멀하고 심플하다. 어른들에게는 불편한 거주형식이고 소통을 위한 방법에도 다소 어려움이 있는 구조형식이지만 좁은 공간을 효율적(실질적인 공간의 면적이 아닌 거주자가 향휴하는 쾌적성,공간감)으로 풀어내는 건축가의 디자인 센스가 돋보인다. reviewed by SJ japanese architectural practice studio noa designed the 'house in sanno', a single family dwelling located in tokyo, japan. visitors enter a recessed windowless entryway and are..
반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는 유형의 큐빅을 비물질화 시켜 주위 환경에 동화를 시킨다. 심미적 탐구에서 시작되는 재료의 선정은 내외부의 관계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건축의 조각화를 만드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야기한다. 여기 '도무스 테크니카' 와 같이 주위 환경과 건축물의 만남, 그리고 내부 공간과 건축물의 만남이 담겨 있는 세심한 프로젝트를 보자. 사용자와 기능에 의해 결정된 큐빅형태는 주위환경에 대하여 유연하면서도 배려하는 재질로 디자인 되었다. 이것은 공간이 기능적인 약속을 지키는 동시에 주위환경과의 싱크를 통하여 주위환경(자연)을 건물안으로 유입시켜 내외부의 관계성을 원활하게 만든다. 그리고 기능적인 공간 조닝은 엔진니어와 교수들 간에 긴밀한 협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먼저 그라운드 레벨에 위치한 아트..
내외부의 경계가 사라지면 공간은 외부로 무한히 확장된다. 17개의 공간은 11개의 아웃도어 스페이스와 6개의 인도어 스페이스로 나뉘며 조합된다. 내외부를 관통하는 중첩된 시야는 우리에게 공간의 깊이감과 다양성을 주며 일반 아파트에서는 즐길 수 없는 쾌감을 안겨준다. 이것은 마치 한옥의 중정에서 대청을 가로 지르며 안채와 사랑채를 바라보는 중첩된 시각을 보여주기도 하고 일본 다다미방의 플렉시블한 플랜구성과도 유사해 보인다. 여기에 각 공간들이 만나 하늘로 열리는 옥상정원은 17개의 공간을 통합하여 하나의 외부공간으로 소통한다. 화려하지 않지만 리드믹컬한 공간구성으로 사는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프로젝트 인 것 같다. reviewed by SJ Ikimono Architects‘ clients, with th..
화려함과 럭셔리에 눈이 부시다. 감각적인 선들의 향연으로 펼쳐지는 인테리어 스페이스는 최고급 클럽하우스를 전세계적으로도 유명한 장소로 만들고 있다. 아부다비에 위치한 5성급 호텔 야스 호텔의 요트클럽하우스는 최고급 귀빈들을 위한 커뮤티니 스페이스를 제공함에 손색이 없다. 감각적인 유기적인 패턴의 향연과 적절한 간접조명은 은은한 분위기와 함께 귀빈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분명, 상위 몇퍼센트의 사람들이 세상을 움직이고 그들로 부터 돈이 움직이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그들의 문화를 접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정도를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뱁새가 황새와 다름을 인정할때 그는 진정 황새와 친구가 될 수 있다. 기회가 된다면 될 수록 다양한 문화를 접하는 것이 당신의 그릇을 ..
화이트 그리고 블랙의 그 아름다움에 대하여... 1980년대 아파트는 에이세로에 의해서 새롭게 모던한 인테리어로 리뉴얼 되었다. 심플한 화이트는 인테리어를 정의하는 기본 컬러코드로 적용되어 더이상의 다른 색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았다. 화이트 글로시 플라스틱, 화이트 패브릭, 화이트 우드패널등 통일감 있는 화이트 메트리얼은 내부공간을 정의하고 통일감있는 고결함으로 분위기를 마무리한다. 어쩌면 심심함 또는 지루함으로 다가올 수 있는 공간의 단조로움은 블랙컬러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화이트 스페이스를 유지시키며 모던한 디자인으로 만들어 주고 있다. (콩국수에 소금을 약간 넣으면 더 고소하게 느껴지는 것처럼 아주 미량의 상이한 요소의 적용은 전체 큰 디자인의 통일감을 유지시켜주는 역활을 한다.) 나에게는 정말 부..
어반보이드: 작가를 위한 은둔처 건물과 건물사이 공간은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은 서로의 버퍼를 위한 공간이다. 또한 도시환경의 바람길을 만들어주는 중요한 역활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부적절한 이격거리는 이것도 저것도 아닌 지금의 공간을 만들어 버렸다. 그 애매모환 공간에 싱글 레지덴션을 제한한다. 심플한 삼각형구조의 스틸프레임은 최소한의 유니트를 거주자에게 만들어준다. 외피마감은 샌드위치 패널과 베니어 합판 콘크리트와 스티로폼이 합쳐진 건식재료들을 이용하여 소프트한 건축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이와 같은 부분들이 존재한다. 상업지역의 건물과 건물사이... 당신은 이곳을 무엇을 사용하였으면 좋겠는가? reviewed by SJ 스티로폼이 내장된 콘크리트 In Warsaw, Poland in the dis..
다크 솔리드와 화이트 보이드는 그렇게 만났다. 볼륨과 공간의 대비와 상치한 만남은 다른 듯 하면서 조화로운 디자인 구성을 보여준다. 특히 입구의 어프로치는 강한 흡입력으로 고객의 시선을 내부로 유입시킨다. 최신유행의 제품들을 편안하게 구경할 수 있도록 백색의 심플한 인테리어는 내부를 감싸고 도는 현대적인 램프들과 어울어지면서 엘레강스하며 현대적인 상업공간으로 변화시킨다. 심플하며 흡입력 강한 공간구성이다. reviewed by SJ The idea was to create a trend inviting project to the customer. A large box with brown color on and a tear on the side shows the window and the light fro..
특색없는 주변건물과 확연히 차별화 되는 블랙앤 화이트 하우스는 백색과 검은색의 대비가 다채로운 볼륨감과 함께 어울어져 독특한 메스감을 느끼게 한다. (백색의 스터코와 다크그레이의 돌을 사용) 특히 리드믹컬한 볼륨과 빛의 만남으로 연출되는 빛과 그림자의 대비 또한 드라마틱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내외부의 다양한 볼륨감과 공간감은 거주민들에게 사적인 즐거움을 안겨주는 동시에 내외부의 경계를 비쥬얼적으로 확장시켜 공간의 연속성을 크게한다. 주변의 무채색톤의 획일화된 주거와는 달리 리드믹컬한 볼륨감의 레지덴셜은 거주자의 아이텐티를 충분히 올려주고도 남는다. reviewed by SJ Located on a main highway in Kuwait, the houses differentiate themselves ..
형태를 바라보는 건축의 심미적 연구는 끝이없는 도돌이표와 같다.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다양한 오브제는 건축적 요소로 벽, 천장, 바닥 이라는 것들로 나뉘어 진다. 이것은 수천년동안 건축이 발전해온 결과물이며, 우리가 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유념해 두고 사용해야하는 것들에는 틀림 없지만 아날로지한 공간에서 디지털과의 경계를 점점 좁혀가고 있는 지금 시대에 무언가 다른 시도들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여기 논린린 파빌피온은 다양한 매개변수를 통하여 반응하고 변화하는 실험적인 공간에 대한 실험적 탐구를 엿 볼수 있다. reviewed by SJ Marc Fornes of the New York-based design studio THEVERYMANY has sent us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