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와 연결되어 있는 공간을 개방하고 건축적 조화를 창조해내기 위한 목적으로 이전에 있던 집을 복원하는 일이 진행되었다.자연 채광과 더불어, 새롭게 부여된 쓰임과 주변을 둘러싼 정원의 잠재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공간들 사이의 관계에 있어 최대의 이점들이 부여되었다. 다양한 외부 공간은 각기 다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이것이 감싸고 있는 각 방에 따라 서로 다른 수준의 사생활을 제공하고 있다. 통일성을 위해 수영장은 거실과 외부 지붕 덮개와 같은 비율로 설계되었고 그 위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메인 침실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The restoration of this pre-existing home aimed to create architectural harmony and open u..
Librairie Avant-Garde가 운영하는 11번째 서점인 Avant-Garde Ruralation 도서관은 지역의 독창적인 자연환경과 인조적인 환경에 '아방가르드'와 '도서관' 이라는 문화를 보급하는 아이디어가 더해져, 현지의 문화창조 산업의 포인트가 되었다. 도서관의 메인 바디는 이 지역 메인 도로 한켠에 위치한 뜰이었는데 이 곳에는 2개의 노란 진흙집과 산기슭으로 나온 플랫폼이 존재했다. 구조적이면서도 공간적인 건물의 시퀀스를 유지하면서 건축적인 디자인을 건강한 위치로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 속에서 '새로움'과 '낡음' 간 관계는 '시간'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시간과 추억의 흐름이 함께 어우러져 기능 부활의 공공성에 더해졌다. Located in Daijias..
서울 desi_architects는 서울 중심에 위치한 노후된 한국 전통 가옥들을 리노베이션하여 예술공간이나 카페, 바 등으로 만드는 작업을 해왔다. 600년 이상 서울의 중심이었던 종로는 소위 '한옥'이라고 부르는 한국 전통가옥과 그림같이 아름다운 좁은 골목으로 가득하다. 그 중 익선동에서 desi_architects 는 인접해있는 4개의 한옥을 '식물'이라는 이름의 다목적 공간으로 탈바꿈 시켰다. 이 곳은 전통적인 한국의 건축이 지닌 특징과 분위기에 현대적 감각을 더하면서 이 지역에 새 생명을 불어넣었다. Seoul based studio desi_architects have created an art space/café bar by joining and renovating four aging tra..
타이완의 레지덴셜은 원래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지은 집을 리노베이션한 것이다. 타이완의 첫 군대 정착지였던 이웃 마을들은 일본군이 물러난 후 빠르게 황폐화되었다. 철거되는 대신 마을은 보존해야할 문화적 의미를 지닌 랜드마크로써 2015년에 새롭게 등재되었고, 시민들은 이 곳을 임시 숙소로 바꾸기로 했다. 오래된 주택을 리노베이션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긴 해도, 물도 전기도 없는 이미 무너져내리기 시작한 집이란 사실은 변함없었기에 디자인 팀은 현존하는 건축과 갈등없이 새로운 공간을 창조해야만 했다. 일 례로 지붕 타일은 일본식 건물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물이 새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존재했기에 타일을 복원하기 전에 방수 처리를 철저하게 해야만 했다. 빨간 대문 또한 군사 마을의 상징과 같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환경 구축을 위해 소극적인 건축이 필요합니다. 소극적인 건축은 시간의 흔적이 만든 물성을 활용하는 방법과 불필요한 오너먼트를 배제하는 방법이 동시에 적용됩니다. 그리고 자연을 플러스 합니다. 코펜하겐에 위치한 레스토랑 인테리어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환경을 지향합니다. 국립은행에서 사용된 선반재는 바테이블을 포함한 내부 목재 부위에 적용됩니다. 고객을 위한 최소한의 가구와 디자인이 적용됩니다. 그리고 노르딕 온실 기능을 더한 식물이 내부에 삽입됩니다. Built completely out of upcycled materials, Väkst is the youngest brainchild from Cofoco, the restaurant group behind other Danish eate..
David Thulstrup 스튜디오는 코펜하겐에 있던 공장 건물을 포토그래퍼를 위한 주거공간으로 탈바꿈 시켰다. 식물이 채워진 아트리움, 벽돌과 목재, 그리고 철강으로 구성된 벽이 특징인 이 집은 리노베이션 과정을 통해 기존에 있던 벽돌의 분계선을 건축가는 그대로 이용하고 싶었다. 창문이 거의 없는 벽이었기에 주택의 정가운데에 유리를 끼운 아트리움을 놓음으로써 3개 층에 이르는 건물 전체에 채광이 잘 통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약간의 트위스트를 이용한 단순한 제스처로 기존의 벽돌 벽을 유지하면서도 좁은 부지에 위치한 새 건물 구조 안으로 채광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Studio David Thulstrup has turned a former factory building in Copenhagen into..
해안가 작은 마을에 새로운 베이글 가게가 문을 엽니다.이전 낚시용품 창고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작은 베이커리 카페로 변신합니다. (지역에서 생산되는 밀을 사용합니다.)외부로 노출된 내부공간과 고목은 공간의 기억을 적나라하게 노출합니다. 여기에 새롭게 더해진 백색공간이 현대적인 공간과 기능을 뒷받침합니다. 낡음은 고유한 캐릭터를 생성합니다. architecture in japan: yokohama-based architects ROOVICE have renovated a former fishing supplies warehouse into a bagel shop for the small coastal city of miura. with only a population of 1300, the archit..
Archi-Union는, 낡은 콘크리트와 벽돌로 만들어진 공장 건물의 꼭대기에 작은 나무 조각들로 된 가로장을 확장해보기로 했다. 전시회 공간으로 리노베이션 하기로 결정하면서, 오래된 공장을 그 원래 건물이 가진 특성을 잃지 않으면서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시켜야 하는 숙제를 디자이너는 해결해야 했다. 그렇게 해서, 기존의 벽돌과 콘크리트를 그대로 내외부적으로도 분명히 가시화 하면서 여기에 작은 나무들로 대들보를 세운 듯한 펴면을 상단에 덧붙임으로써 외부면을 통해 그대로 채광을 허용하고 동시에 가시적으로도 부담이 가지 않을 정도의 면적을 더하는 효과를 냈다. Archi-Union Architects has added a slatted timber extension on top of an old concre..
컨테이너를 이용, 구축한 유치원 프로젝트는 50년간 유지된 지역문화 영속을 바탕으로 합니다. 용이한 건축은 지진으로 건물을 보호하는 구조체 역활을 동시에 수반합니다. 내부에 위치한 중정을 기점으로 컨테이너를 적층, 외부로 부터 어린이를 보호하는 보호막 역활을 수행합니다. 외부와 대비되는 내부는 목재로 마감, 어린이들에게 안락하며 따뜻한 분위기를 전달합니다. this kindergarten in saitama, japan has been renovated using a series of stacked shipping containers. designed by HIBINOSEKKEI + youji no shiro, a team of architects who specialize in the design an..
from now until june 26th, toronto’s iconic hearn generating station hosts the world’s largest enclosed temporary community and cultural center for the 10th annual luminato festival. for ‘#turnonthehearn’, partisans was responsible for transforming the decommissioned power plant into a monumental performing arts venue, repurposing the landmark coal plant as a place to celebrate the energy of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