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아름다운 그곳, 피렌체와 시에나 사이, 키안티에 위치한 키안티 안티노리 와인너리는 단순히 와인을 생산, 저장하는 장소가 아닙니다. 외부자연환경의 많은 영향을 받는 포도의 퀄리티는 대지와 생산자의 깊은 유대관계 속에서 만들어 집니다. 이러한 유대관계가 반영된 와인너리는 자연을 존중하고 받아들이는 열린 건축공간을 형성합니다. 지면으로 부터 낮게 깔린 넓은 데크와 캐노피 그리고 이 평행성이 만드는 오픈뷰를 통한 내외부의 교감, 이와같은 관계속에 자연과 건축 그리고 사람은 하나가 되고 밀착도 또한 높아지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원형으로 하늘향해 열린 캐노피의 시퀀스는 저멀리 보이는 포도밭과 함께 와인너리를 풍부한 공간감으로 가득차게하는 첫번째 요인인 것 같습니다. reviewed by SJ located ..
집 속에 집. 외부에서 바라보는 누들하우스의 첫모습은 흡사 산업적인 한장면이 연상됩니다. 창고 슬라이딩 도어와 유사 해보이는 출입구가 이러한 분위기를 만드는 것 같습니다. 다시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들어온 내부공간 속에는 작은 마을이 펼쳐집니다. 각각의 좌석을 아늑하게 감싸고 있는 작은 집모양의 미니멀한 설치물은 소인국을 연상시키는 분위기로 누들하우스를 정의합니다. 정갈하지만 차갑지 않은 인테리어 디자인은 그렇게 따뜻한 감성의 나무의 사용과 상부에 매달린 펜던트 타입의 조명으로 공간을 완성합니다. reviewed by SJ Noodle style For this noodle restaurant in Osaka, Ietsugu Ohara of Stile Space Industrial Arts+ comple..
벨기에 숲속에 새롭게 자리 잡은 트리 하우스는 건축을 통하여 자연과 동기화 되는 공간을 연출합니다. Will planning your business strategy among the trees make you more eco-friendly? That’s the idea for this tree house, designed as a meeting room and technology hub tucked inside the Hechtel-Eksel Forest in Belgium. The structure was designed by Baumraum, a German firm known for its inventive tree houses and hotels, for paper company Sappi a..
지역적 건축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팜 하우스는 건축가 헤르조그 앤 드뫼론에 의해 새로운 아트 뮤지엄으로 탈바꿈 됩니다. 팜하우스의 전형적인 박공지붕 형태는 뮤지엄을 구성하는 다이나믹한 단면으로 재정의 되며, 또다시 수평적으로 연속되는 긴회랑 공간으로 투영됩니다. 건축의 아이텐티를 살리는 동시에 공간을 정적인 공간으로 낮춤으로써 주변 랜드스케이프를 여과없이 내부로 흡수 유입시킵니다. 또 이렇게 흡수된 랜드스케이프는 지역적 특색을 잘 나타내는 예술작품과 동조됨으로써 아트 뮤지엄이 지향하는 공간적 특징을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저는 한편으로는 우리가 갖고 있는 세계적인 유산 정전을 떠올리기도 했습니다. 수직이 아닌 수평적 공간의 장중함을 만날때 우리는 건축이 갖고 있는 힘보다 건축이 어떻게 자연과 동화 될려고..
Designer Magnus Pettersen talks about his Locker side table and how he was attracted to east London because it has a “good vibe for any creative industry” in this movie filmed by Dezeen. “I’m attracted to east London due to the feel of the whole place, and also it’s a good vibe for any creative industry whether it’s furniture design, graphic design or even advertising,” says Pettersen. He contri..
매시브한 큐브들이 감각적인 균형미를 이루는 씨지엠 하우스는 건축주의 두가지 큰 요구사항에서 시작합니다. 요구사항은 어른들 및 아이들의 그룹핑 커뮤티니가 가능한 퍼블릭 스페이스와 각 개실간의 독립성이 보장되는 거주환경 입니다. 이러한 공간 계획은 은유적이지 않은 즉각적인 공간구성을 바탕으로 시작 됩니다. 먼저 건축가는 구분이 가능한 개실을 별도의 큐빅으로 나누어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큐빅으로 나누어지는 외부공간을 다시 다양한 그룹 커뮤니티가 가능한 공용공간으로 리디자인 합니다. 이것은 주변환경과 다양한 방향에서 조우함으로써 주변환경에 흡수되는 공간적 특징을 만들어 냅니다. 그래서 그런지 주거형태는 마치 주변에 널려 있는 바위덩어리를 많이 닮아 있습니다. 이렇듯 인공적이지만 자연적인 주거공간 배치에..
스위스 디자인 스튜디오 이컬의 친환경 프로젝트 로우-테크 팩토리는 에너지 순환을 통한 에너지 재생 운동을 지향합니다. 겨울시즌을 맞이하여 새롭게 발표한 흔들의자는 의자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잉여 운동에너지를 의자 상부에 달린 니트제조기의 나사를 돌리는 에너지로 변환시켜 털모자를 제작합니다. 어느정도의 왕복운동을 통하여 어느정도의 퀄리티 있는 털모자를 만들지는 모릅니다. 하지만 디자인이 소비적인 생활이 아닌 생산적인 에너지를 만든다는 것 그것도 잉여 에너지를 통하여 순환 시킨다는 점이 이 프로젝트에 가장 흥미로운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reviewed by SJ shown in the ruckstuhl building as part of ECAL's 'low-tech factory' exposition du..
베스트셀러 로지틱스 센터는 유럽의 유명한 의류브랜드 물류를 담당하는 회사 입니다. 산업형 빌딩의 전형적인 예시를 목표로 계획된 건축물은 물류 기능을 만족시키는 공간을 설계하는 것은 물론이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아이이텐티를 갖는 건축물을 지향합니다. 그리고 또한 지속가능한 건축을 지향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면에서도 충실히 솔루션을 찾아 내고 있습니다. -재활용 마감재, 우드 클래이딩 시스템, 대형 스케일의 그린 루프, 고효율 기계설비의 사용- 이러한 설계환경은 모든 작업장이 균질한 환경 속에서 쾌적하고 안전하도록 유지시킵니다. 베스트셀러 로지틱스 센터가 유럽 물류회사의 표본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reviewed by SJ The new logistics centre, located on th..
디메르담 요새 파빌리온 프로젝트는 네덜란드의 그 유명한 암스테르담 방어선 재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유네스코가 지정한 방위선상에 위치한 여러개의 벙커와 요새들을 연결 및 투어하기 위한 인포메이션 센터로 계획되었습니다. 기존 벙커 혹은 요새의 복원과 자연보존 프로그램을 병행하는 암스테르담 방어선 리개발 프로젝트는 이와 같은 파빌리온을 새롭게 형성하며 135 킬로미터에 걸쳐 형성된 설치물들을 안내하는 역활을 수행합니다. 특히 나선형태로 기울어져 올라가는 외형의 독특한 형태는 주변의 물결치는 랜드스케이프를 영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파빌리온의 아이텐티한 형태가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유네스코가 지정한 암스테르담 방어선의 수 많은 설치물들이 세월과 함께 자연과 조우하듯이 자기 자신도 묵묵히 주변환경과 동조하며..
하늘 저 구름 한조각을 사로 잡습니다. 스카이 캐쳐 하우스 외벽에는 창문이 없습니다. 외부에서는 내부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없습니다. 메인 출입구에 디자인된 격자문을 통해 진입한 내부 공간은 가운데 하늘로 열린 중정을 기점으로 플로워 투 실링 글래스로 내부로 열린 주거공간이 중정을 감싸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거공간의 각 개실은 베란다와 외부와 관계속에서 조정되며 중정과 소통합니다. 스카이 캐치 하우스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일까요? 제목처럼 하늘을 한폭의 프레임으로 담아 내는 중정을 극대화 하기 위함 일까요? 단지 그것뿐만은 아닐껍니다. 도심 속 자연과의 조우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선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reviewed by SJ the 'sky catcher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