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워 파크를 여는 새로운 문이 열립니다. 공원의 새로운 주출입구로써 제안되는 블루섬-게이트는 공간의 시작임을 알리는 언어의 의미를 건축적 언어로 시각화함으로써 거대한 게이트 구조물을 형상화 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이지역에서 자생하는 꽃으로 부터 모티브를 얻어 제작되며 수백가닥의 대나무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구조물로 구체화 됩니다. 아름다운 조각물 이상의 강렬함으로 다가오는 조형미는 중국 서예가의 심도 깊은 필적의 강렬한 붓 놀림과 같은 긴 여운을 던집니다. 여기에 작은 스테이지를 위한 계단식 좌석은 기능을 고려한 배려가 아닐까 싶습니다. reviewed by SJ vienna-based firm prechteck has finalized their concept for the 'blossom-gate' ..
피크닉을 위한 완벽한 동반자. 네덜란드 디자이너 블룸은 언제든지 간편히 자전거와 함께하는 피크닉을 즐길 수 있는 바이크 랙 바스켓 테이블을 제안합니다. 자전거 뒷자리에 간단히 설치되는 이동 테이블은 두명이 피크닉을 즐길 수 있는 각종 음식과 소품을 담을 수 있는 바스켓을 지원합니다. 그 바스켓은 두명이 앉을 수 있는 의자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디자인과 실용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제품입니다. reviewed by SJ warmer weather brings the perfect climate for riding bikes and enjoying nature by having a picnic in the park. dutch designer jeriël bobbe of bloon design brings ..
이번 프로젝트는 2009년 지진으로 대부분의 문화시설이 파괴된 라퀼라 시티의 문화재건 프로젝트 중 하나로 템퍼러리 오디토리옴 프로젝트 입니다. 이제는 과거의 기억만 남겨진 광장속 대지는-이전의 성곽과 극장이 있던 자리- 문화재건의 시작이자 구심점으로 중요한 장소가 되어집니다. 템퍼러리 오디토리옴은 총 3개의 볼륨으로 중앙에 위치한 거대한 큐브내부에 268명을 수용하는 오디토리옴과 화장실 그리고 공연팀을 위한 개인 드레스룸으로 구성됩니다. - 큐브의 형태는 전면 광장방향으로 30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외부 전면에서 바라볼때는 건축물의 역동적인 공간감을 내부에서는 다양한 퍼포먼스의 테니컬 스페이스 확보와 관객들의 눈높이를 확보하기 위한 형태입니다.- 3개의 큐브는 우드팀버로 구조화 되며 외부에 다양한 컬러의..
공정거래를 위한 첫단추는 힘없는 로컬 주민들이 거대한 유통조직에 대응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통한 계몽활동에서 시작합니다. 여기 까시아 쿱 트레이닝 센터는 전세계 시나몬 생산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인도네시아 전원 마을에 새롭게 자리 잡은 커뮤니티 시설로 마을주민들의 교육과 각종 사회활동을 보장하는 공간입니다. 여기 트레이닝 센터를 통해 마을주민들은 정기적인 교육과 각종 커뮤니티 활동을 체험 함으로써 그동안 오랜 노동시간에도 불구하고도 적은 임금으로 대물림되는 가난의 사슬을 벗어 날 수 있습니다. 까시아 쿱 트레이닝 센터는 화려하지 않습니다. 이지역에서 생산되는 벽돌과 나무는 센터를 구성하는 주요한 재료로 사용되며 연면적 600 스퀘어미터로 중앙에 커다란 중정을 가진 ㅁ자 형태의 건물로 구체화됩니다. 여..
푸어 토이는 하우스 와이프의 다양한 친구들과 함께 합니다. 빨래집게, 싱크홀 마개, 브러쉬... 이렇게 만난 친구들은 귀여운 크레인 자동차로 재구성 됩니다. reviewed by SJ This set of wooden toys by Polish studio Poorex incorporates tools associated with household chores. Made out of beech wood, the Poor Toys combine simplified wooden vehicles with household items such as a brush, a plug and a clothes peg. The Peg Car presents the user with the option of playing ..
힐림캠프, 우리가 생각하는 몸을 트레이닝 하기 위한 헬스클럽은 아닙니다. 몸과 마음의 피로를 풀고 재충전을 하기위한 쉘터 입니다. 공간이 지향하는 바와 같이 내부 인테리어는 자연 재료 그리고 부드럽고 평온한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디자인 되었으며 직선적이지 않고 유기적인 공간을 구현합니다. 무엇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막힘없이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공간의 연계성이 억지스럽지 않고 유들유들해서 좋은 것 같습니다. reviewed by SJ Crox International have sent us images of the One Taste Holistic Health Club they have designed in Hangzhou, China. from contemporist
The apartment is on the 5th floor of a tall multi-storey building with inner yard. The large balcony next to the dining room, the low location of the apartment and the part of the house that strongly shadowed the inner yard all meant that the sun didn’t get into this very part of the house. Built Area: 110 m2 Location: Moscow, Russia Project Author: Peter Kostelov Architect: Peter Kostelov 3D mo..
대지가 갖고 있는 포텐셜을 파악하고 이것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건축가가 해야될 첫번째 의무 입니다. 폭 11미터, 길이 200미터의 리니어한 대지는 전면 가로변으로는 파리 북동측을 관통하는 트랩 선로와 면해 있으며 후면으로는 풋볼 경기장과 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지에 위치한 바스켓 아파트먼트는 총 11개층으로 가로변으로 길쭉한 형태를 따라가는 장축의 볼륨형태로 가운데 브릿지를 기점으로 두개의 동으로 계획됩니다. 전면 가로변에 면한 저층부는 필연적으로 트랩 차량기지와 벽을 공유해야 하는 구조적인 형태를 띤 공용공간으로 그 위로 연속된 9개층은 학생들을 위한 스튜디오 유닛으로 구성됩니다. -아파트먼트 유틸리티는 지하층에 계획됩니다.- 여기 바스켓 아파트먼트가 다른 공동주거와 다르면서 재미있는 점은 ..
관계 및 연계성은 동시성에서 옵니다. 다른 공간, 다른 용도, 다른 형태의 성질이라도 같은 주파수를 맞추며 같은 시간을 공유한다면 그것은 동조를 일으키며 같은 성질의 것으로 전향됩니다. 피트 하우스는 이러한 동시성 작업을 통하여 자연과 건축을 하나로 묶는 일련의 작업을 보여줍니다. 공중을 부유하는 듯한 인상을 풍기는 외형은 저층부의 열린공간과 상층부의 솔리드 공간으로 크게 구성됩니다. 저층부는 일반적인 개실타입의 주거와 차별화되는 오픈플랜의 평면형태를 띠며 투명한 글래스로 외부로 오픈된 주거형태를 보여줍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외부환경을 내부로 끌어 들임으로써 내외부를 혼합 또는 동조하는 평면구성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이와같이 동조된 내부 저층부 공간을 중앙에 위치한 실린더 형태의 코어를 통하여 상층부로..
1930년대에 개발된 스팀벤딩 공정을 이용한 소넥 바이크는 수려한 곡선이 독특함을 넘어서는 기능적 아름다움을 선사합니다. 여기에 비치우드를 벤딩한 프레임은 별도의 강성처리를 통하여 탄력과 강성을 확보합니다. 이렇게 통합된 기능과 디자인은 소넥 바이크의 독특한 아이텐티를 만듭니다. reviewed by sj thonet has collaborated with london-based designer andy martin to develop a concept road bicycle using their steam bending process developed in the 1930s. constructed using beech wood, the frame is precisely adjusted with a 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