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네덜란드 숲속에 감추어진 비밀의 집은 사실은 숨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동조되어 인위적인 공간이 사라지는 친자연적인 공간으로 계획되었습니다. 육안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북측의 파사드는 기존 대지를, 마치 담요를 덮고 있듯이 하우스로 밀착시킵니다. 이렇게 밀착된 대지는 작은 둔턱을 이루는 자연지형으로 형성화 되는 동시에 북측의 차가운 외부환경으로 부터 내부 주거공간을 보호하는 역활을 수행합니다. -건축적 재료로써 흙은 어떤 재료 못지 않게 단열과 보온에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열의 흡수력이 뛰어나서 겨울철에는 보온효과를 여름철에는 저온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남측으로 열린 전창은 외부 자연을 내부로 투영 및 유입시키는 동시에 자연의 빛과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킵니다..
때로는 단순함이 주제를 명확히 합니다. 과거의 건축적 유산과 현재의 공간 사이를 메우는 우드스틱은 중첩된 시간의 간극을 표현합니다. 일정한 수평적 간격으로 심어진 우드스틱은 현재의 공간 속에서 반복적인 규칙으로 공간을 분할합니다. 여기에 우드스틱의 높낮이를 배열함으로써 그라운드레벨 위에 또다른 형태의 파동을 지오메트릭화 합니다. 이것은 예전 장소가 가지고 있던 건축적 자취에 대한 노스텔지아를 쫓아 감으로써 현재의 지형과 간극을 만들어 냅니다. 이러한 간극 속에서 발생하는 활동적인 에너지는 정적인 중정을 향후 이곳을 이용하게 될 청소년들에게 열정, 창조, 공연, 패션, 건축 등 다양한 문화매개체로 전달하게 됩니다. 이곳은 인근 주민들 사이에서는 예전부터 유명한 장소로 인지되었던 곳입니다. 하지만 건축적으로..
메탈하우스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오직 메탈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디자인을 완성한 쓰리 더블유 아파트는 또다시 러시아 건축가 피터에 의해 나무를 사용한 따뜻한 공간으로 리노베이션 되었습니다. 이전 공간이 차가운 산업적인 냄새를 풍기는 공간이었다면 지금은 따뜻하고, 밝고, 부드러운 나무들의 공간으로 안락하게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걸, 두고 차가운 도시남자의 조용한 변신이라고 해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 reviewed by SJ After he built an apartment using almost only metal materials, Russian architect Peter Kostelov has, seven years later, renovated the space using lar..
자연은 어느샌가 건축공간과 교감하며 건축적 요소로 사용되고 건축 공간은 어느샌가 자연의 일부분이 되어 버린다. 이러한 인공적인 요소와 자연요소의 아름다운 균형은 캐나나 밴쿠버 밴두슨 식물원에 위치한 방문자 센터가 추구하는 친환경 디자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것은 구릉지로 내려오는 지형 문맥을 인공적인 건축요소가 아닌 물결치는 듯한 유기적인 구릉지 형태의 조경지붕으로 연결하여 함으로써 반자연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에 또다시 내부의 우드스트럭쳐로 공간은 이동하면서 자연이 빚어낸 동굴과도 같은 신비로운 형상을 구현하게 된다. 리드-플랫티넘 등급을 유지하기 위한 제로에너지 구축은 지열과 태양열 온수 그리고 태양광전지를 통한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으로 구축된다. 건축이 자연과 만날때 그 자연스러움을 유지하는 것은 ..
새로운 매뉴얼 디자인인가? 아니면 컨셉디자인인가? 암스테르담에 새롭게 문을 연 스타벅스는 기존 스타벅스의 매장분위기와 확연히 다른 로컬디자인의 특색을 보여줍니다. -며칠전에 겐조쿠마가 일본 후쿠오카에 설계했던 포스팅이 생각나네요. 각 나라별로 스페셜 아이템으로 매장을 만드는 걸까요?- 시애틀, 뉴욕, 런던, 파리, 그리고 암스테르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시작되는 로컬디자인 프로젝트 중 암스테르담은 '느림'을 주제로 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커피의 역사와 전통 그리고 현대적 디자인의 매치를 주제로 한 인테리어 디자인은 편안하면서도 빈티지 스러움이 가득 묻어 납니다. 기존 콘크리트 면을 이용한 내츄럴함, 1920년대의 마블 플로어, 앤티끄 델프트 타일 등 이전부터 사용해 오던 재료들의 재구성과 우리 삶에 너무나도..
비비드 컬러와 쓰임새에 맞도록 계량된 사이즈는 우리의 거실공간 잘 어울립니다. 특히 모던한 디자인은 모든 공간에서도 부담없이 어울릴 것 같습니다. French designer Gaspard Graulich has created Les frères Plo. With a basic interlocking system, vivid colors and friendly proportions, they just want to give some lightness and personality to our living spaces. from contemporist
후쿠오카에 새롭게 문을 연 커피샵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내부 인테리어의 캐릭터를 부여하는 우드블록에 대한 정의가 아닐까요? 각 브랜드는 각자의 고유한 디자인 매뉴얼에 따라서 공간을 정의합니다. 하지만 후쿠오카에 문을 연 스타벅스는 기존 매뉴얼 디자인과는 차별화되는 고유한 캐릭터를 공간에 부여 하였습니다.-대지가 가지고 있는 장소성을 거기에 들어서는 공간에 캐릭터로 심어 넣는 것은 커피삽 매니저가 하지 않는다.- 거리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문화에 대한 흐름과 전통목수쟁이에 대한 노스텔지어가 반영된 장소의 기운이 합쳐져 지금의 자리를 정의하는 모티베이션이 됩니다. 6미터 길이의 사각우드블록은 주로 천장재의 서포팅 재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비스듬한 사선방향으로 교차하여 연속시킴으로써 숲속의 나뭇가지들을 바라보..
하우스 내부를 구분짓는 각기 다른 공간들은 서로 연결되고 확장되면서 커다란 하나의 볼륨을 이루고 있습니다. 거주의 메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생활공간과 숙면을 위한 개인적인 공간 침실은 주거를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으로 정직하며 심플한 우드프레임 하우스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서두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열려 있는 각 공간들이 입니다. 각 공간들을 구획하기 위한 벽들은-벽식구조-최소한의 구조적인 벽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제거하여 시원한 오프닝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구획된 공간들은 각각의 공간들로 서스럼없이 넘어가며 연결 및 확장됩니다. -흠, 가만 보면 집에 문이 없네요. 프라이버시는 어떻게?- 여기에 1층과 2층을 연결하는 보이드스페이스는 수평적 확장을 다시 수직적 확장으로 방향을 ..
1910년부터 1937년까지 시청사로 사용되었던 건물을 새롭게 호텔로 리노베이션한 프로젝트 입니다. 잘려진 동측부분을 추가로 증축하면서 색다른 접합방식의 디자인양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존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 텍스쳐에서 모티베이션한 패턴은 -알루미늄 패널에 건축가의 패턴북에서 발전시킨 패턴을 레이져 커팅을 이용하여 절삭 가공합니다. 그리고 내후성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분체도장을 합니다.- 기존양식을 재구성한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으로 기존 구조물과 한치의 양보없이 같은 선상에서 만나 특정한 캐릭터를 만들어 냅니다. -보통적으로 기존의 구조물과 만나는 재해석 또는 새로운 덧붙여지는 공간,외피들은 경계를 이루는 선,면 또는 메스로 구분하여 기존공간에 대하여 경계합니다. 하지만 이번과 같이 연속적으로..
19세기 수도원의 리뉴얼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주제는 역사와 시간이 담겨져 있는 공간을 보존하는 동시에 그 잃어버린 역사적 기억의 조각들이 오역되지 않도록 현대적인 퍼즐을 껴 맞추는 것입니다. 그것의 시작은 주방이 있던 자리에 설치되는 수직계단과 수도원 홀의 지붕을 새롭게 떠 받치고 있는 우드프레임의 아치형 박공지붕에서 시작합니다. 하부 레벨의 전시영역과 상부공간을 연결하는 계단은 수도원의 전통적인 재료인 돌 그리고 블록과 시간을 뛰어넘는 조화를 이룹니다. 특히 상부에 설치된 박공지붕으로 부터 유입되는 태양광은 공간의 수직적 깊이를 더하는 음영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전 공간에서 찾을 수 없었던 생동감을 불어 넣는 역활을 합니다. 언제부턴가 새것보다 오래된 것이 좋고, 반짝이는 것보다 모서리 낡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