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디자인은 환경을 생각하고 인간을 배려하는 디자인에서 출발한다. 대나무 자전거는 저소득층의 사람들에게 값싼 가격에 운송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삶의 권리를 보장해주는 프로그램의 일환 중 하나로 시작되었다. 특히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경제적 부담감과 환경적 부담감에서 벗어 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제품의 디자인은 나무가 가지고 있는 내츄럴한 매력과 오가닉한 형태를 잘 구현하여 일반적인 자전거보다 훨씬 매력적으로 보인다. 그동안 우리가 잊고 있었던 자연은 우리가 다시 지키고 보살펴야 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자전거는 친환경적인 운송수단으로 더 많이 사용되고 활용될 것이다. reviewed by SJ as his master's t..
장소가 가지고 있는 장소성이 내부로 투영되는 공간의 확장성은 상점에서 외부의 손님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외부와 내부를 구분짓는 경계가 사라지면 자연스럽게 고객이 동선은 원활해지고 그만큼 매출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시드니 해변가에 위치한 리테일샵은 이곳 장소가 가지고 있는 바다를 모티브로 하여 공간의 확장성을 꾀한다. 특히 내부 벽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플라이우드는 물고기 비늘과 같은 패턴으로 하는 강한 디자인 어휘를 사용하며, 천장에 매달린 스피어 조명 또한 어부의 그물과 같은 뉘앙스를 풍기며 바다에 대한 컨셉을 은연중에 이야기한다. 이렇게 디자인 어휘는 형태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가치 추구에 목적을 두고 이루어줘야 실질적인 값어치를 하는 것이다. revie..
패브릭 캐노피 아래로 활짝 열려진 폴딩도어는 집안 내로 스톡홀롬의 대 자연을 힘껏 빨아 들인다. 자연을 닮은 우든 하우스는 소나무를 외장재로 사용하여 공간안의 거주자를 내부 공간이 아닌 자연의 일부분으로 동화시킨다. 자연과의 소통은 건축가의 영원한 숙제 중 하나이다. 특히 24시간 거주하는 집은 기타 다른 공간에 비해 보다 많은 쾌적성과 친자연적 공간을 필요로 한다. 콘크리트 성냥갑 속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 많은 개수의 방의 숫자가 아니라 더 많이 자연과 접할 수 있는 공간이다. reviewed by SJ Large folding doors open this woodland house outside Stockholm onto a decked terrace that is shaded by a fold..
천국의 문 물줄기가 끝나는 곳, 우리는 신을 만나기 위해 머나먼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그 문에 도착하여 문을 두드린다. 노킹온헤븐스 도어 저 문 넘어에는 무엇이 우리를 기달고 있을까? 저 물줄기가 끝나는 곳에는 무엇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 공중에 부유하고 있는 듯한 루프는 세장한 우드프레임의 짜임새 있는 디자인으로 한층 더 심볼리즘한 디자인 경향을 보여준다. 과거와 미래가 멈추어 현재에 굳어버린 이곳을 무엇이라 부르면 좋을까? reviewed by SJ Through a unique and divine series of events, a group of people with diverse backgrounds discovered each other and found that they had the ..
오리가미는 형태를 만들어내는 기술이 아니고 공간을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오리가미를 통해 구현된 모바일 레지던스는 새로운 주거의 패러다임과 디자인을 보여준다. 어른두명과 아이한명이 먹고, 읽고, 씻고, 잠잘 수 있는 파빌리온은 cnc커팅기롤 절삭한 플라이우드를 겹겹이 쌓아 만듬으로써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패브릭케이션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물론 현재 상태에서 주거가 가능하지는 않다. 하지만 새로운 생각은 새로운 공간을 만들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서 우리를 즐겁게 한다. reviewed by SJ sydney-based practice LAVA has created 'digital origami emergency shelter', a conceptual prototype for the emergency ..
피봇힌지를 이용하여 양면 거울이 각기 다른 뷰의 크기를 보여준다. 단정한 브라운톤의 우드가 더없이 심플하다. reviewed by SJ The Iona Cheval mirror is a full-length elliptical mirror framed in solid oak with a shaker-style joint and brass rivet detail at one side. The solid oak A-frame is finished in a matt white oil, allows the mirror to pivot, and supports an off-white lacquered drawer section, whose top doubles as a compact low dressing tab..
브라질의 모던 컨템퍼러리 디자인을 이끄는 마르시오 코간의 스튜디오 디자인이다. 역시나 그의 건축공간은 우리가 쉽게 정의 할 수 없는 깊은 공간감과 예상할 수 없을 정도의 시원한 스페이스를 보여준다. 일련의 그의 작품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리니어한 오픈 플래닝에서 오는 심플함과 그것을 정직하게 투영하는 구조시스템은 여기 스튜디오에도 잘 반영되어 있다. 전면에 위치한 커다란 슬라이딩 메탈 도어는 다양한 파사드의 얼굴을 갖으며 내부와 외부를 연결 및 확장한다. 이것은 다시 중앙에 위치한 스튜디오 스페이스가 열려진 자연과 소통하며 자연과 같이 유연하게 플래닝하도록 도와준다. 이렇게 유연한 평면은 각기 다른 프로그램들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이어줌으로써 벽식구조에서는 찾아 볼수 없는 유니버셜 스페이스의 활용을 보여준..
술은 마시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즐기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조니워커 하우스는 위스키와 조니워커에 대한 역사와 위스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여러 단계에 걸쳐서 교육하고 커뮤니티하는 새로운 소사이어티 공간이다. 위스키를 닮은 브라운 색감으로 마무리 된 내부 인테리어는 고풍스러운 공간으로 이용자들에게 여유와 즐거움을 선사한다. reviewed by SJ Collaborating with creative agency LOVE, The Johnnie Walker House is an experiential, interactive space created to host the most sophisticated ‘Whisky Conversations’. Housed in the 3-storey Sinan..
미니멀은 아름다움을 만들고 모던함으로 표현된다.전통적인 보트하우스의 목구조형식으로 지어진 레지던스는4명의 협업으로 디자인되었다.(건축주,건축가,엔진니어,디자이너)구조의 대부분을 나무와 유리를 사용하여 2동의 건물을 만들고이것을 다시 브릿지로 연결하였다.이중 첫번째 레지던스는 거주자에게 편안하며 윤택한 주거환경을 즐길 수 있도록저층부에 거실과 식사,조리를 할수 있는다용도실을 배치하고 상층부에 갤러리를 형성하였다.이와는 달리, 두번째 레지던스는 두개의 오피스와 게스트룸을 저층부에 구성하고상층부에 욕실과 화장실을 계획하여 워크스페이스와 퍼블릭 스페이스의공간으로 계획하였다.여기에 레지던스 전체를 지면으로 부터 60센티미터 정도 이격시켜레지던스가 공중에서 부유하는 뉘앙스도 풍긴다.특히 호수의 아름다운 전경을 감상..
베를린 국립미술관의 오마쥬일까? 우드격자프레임 구조가 보여주는 단일감에서 오는 경쾌함은 심플함과 모던함을 넘어선다. 미스반데로우가 수평적공간에 대한 새로운 공간을 열었다면 지금의 스튜디오 파빌리온은 내부공간과 외부자연과의 자연스러운 조우를 디자인 하였다. 우드격자프레임은 공간을 구획하는 주요한 요소로 사용되는 동시에 구조제의 역활 그리고 내외부의 적절한 관계 유지를 위한 (패시브디자인을 위한 장치) 다목적 요소로 디자인 되었다. 계산된 격자의 오프닝 개수와 사이즈는 빛의 유입량 조절을 가능케 하여 내부의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여기에 내부중정은 디자인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으로 빛과 자연환기를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역활을 수반한다. 공간과 디자인을 만족시키는 패시브 건축으로 플래닝된 커뮤니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