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프로젝트의 특징은 기존 주거공간과의 연속성을 보장 하는 동시에 개별적인 생활공간 및 휴식공간을 창출한다는 점이다. 대가족과 생활하는 젊은 부부의 사적인 공간 확보를 위한 주거프로젝트는 가족과의 관계, 기존생활공간과의 연계성을 신설된 주거의 측면에서 복도로 연결하며 외형적으로는 전원마을에 유니크한 박공지붕으로 디자인된다. 이러한 외형적 형상은 내부에 설치된 U자 벽을 길이방향으로 연속시키며 V자형태의 지붕 트러스 빔과 연결, 완성시킨다. 건축적 공간의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거주자에게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건축은 그런점에서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상부의 삼각형태의 보이드는 내부거주환경을 쾌적하게 만드는 버퍼공간이다.- reviewed by SJ mA-style architects complete..
리싸이클 실크 체어의 최대장점은 단순히 낭비되는 자원의 재활용이 아니라 내부공간을 유연하며 유쾌하게 만드는 디자인에 있다. 네팔로 부터 공수해온 실크 조각과 아메리칸 오크로 만들어진 체어는 그 특유의 유쾌한 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는 안락함을,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한다. reviewed by SJ Fabric waste into the end material… This ecological furniture family consist of chair, ottoman and stool which are made of American white oak and recycled silk yarns from Nepal. The ethnic-inspired design aims to bring..
라티스의 비밀. 일본 고간쿤 대학에 새롭게 들어선 두동의 건축물, 양궁장과 복싱장은 일본 전통 나무 결구 방식을 이용, 독특한 건축공간을 생성한다. 다양한 활동 -일본 전통 국궁과 복싱-을 보장하는 10.8*7.2의 무주공간은 일본전통사찰의 내부공간과 유사한 볼륨으로 두가지 타입의 결구방식으로 각 각 공간을 구축한다. 나무를 이용한 결구시스템은 학생들의 자유로운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확보는 물론 각 공간만의 아이텐티를 생성시키는 주요한 디자인 수단 활용된다. 무엇보다 적은 비용으로 이러한 공간과 디자인 퀄리티를 연출한다는 점이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큰 장점인 것 같다. reviewed by SJ Complex wooden lattices provide a stage set for archery compet..
코트다쥐르 지역의 항공운항 관련 사업을 위한 초석. 이에 항공운항에 관련된 서비스, 시설물들을 포함하는 단계적 플랜 제시에서 이번 격납고 프로젝트는 시작된다. 새롭게 제안되는 격납고는 16미터 높이에 96미터에 달하는 크기로 항공산업에 관련된 종사자들을 위한 사무공간 및 비행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한 점검, 정비를 제공하는 계류공간으로 계획된다. 특히 소형항공기의 기동확보를 위한 내부공간은 기둥이 없는 무주공간으로 광활한 오픈플랜이 특징이며, 이러한 무주공간 연출을 위해 우드 스트럭쳐 프레임과 경량소재의 마감재 그리고 격납고의 건축적 아이텐티 구현을 위한 배면의 트라이앵글 글래스 파사드가 디자인 된다. 이를 통해 격납고는 항공운항에 관련된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반하는 매력적인 건축공간으로 완성된다. revi..
헤이그시에 위치한 아메리칸 스쿨은 230명 가량의 3~6세 어린이들을 위한 복합교육공간으로 기존에 위치한 16세기 농장을 리노베이션하여 환경과 자연을 통합하는 건축환경을 조성한다. 아이들을 위한 보육시설, 12개의 교실, 체육관 및 다목적실로 구성된 2동의 건축물은 내부 채광을 위한 천창 및 창문을 제외하고 목재를 이용하여 아늑하면서도 포근한 친자연적인 공간을 구성한다. 여기에 지역적 건축의 흔적을 반영한 박공지붕은 내부공간의 효율적인 유효높이를 확보하는 동시에 -지붕 사면에 천창을 설치, 내부 조도를 확보한다.- 스쿨의 건축적 캐릭터를 구체화하는 디자인 요소로 계획된다. reviewed by SJ Rotterdam-based architects Kraaijvanger designed a barn-lik..
시간과 장소와 그리고 사람을 연결한다. 뱅쿠버 서측 해안가에 위치한 고급단독주거의 시작은 지역적 문맥 -1950년대부터 시작된 건축 스타일-이 투영된 열린공간에서 시작된다. 지역 건축특성을 현대적 공간으로 재해석한 주거공간은 내외부가 밀착된 건축을 통하여 발현되는데, 이는 건축가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컨셉으로 지향하는 '캐나디안 오두막' 과 '모던 글래스 하우스'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병합, 버무려 외부로 열린 통섭공간으로 구축하면서 구현된다. 이러한 건축은 우드 스트럭쳐가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포스트 앤 빔 구조와 확장된 글래스 월, 오픈 플로어 플랜, 플랫 루프, 그리고 자연그대로를 닮은 자연 목재의 사용으로 캐릭터를 구체화 한다. 이를 통해 건축주가 요구하는 바다의 아름다운 풍경을 조망 할 수 있는 자연..
사이공간 찾기. 우리 도심지 건축물 사이에 이격된 공지에 불법으로 세워진 건축물을 보는 듯한 시퀀스는 오사카 중심부에 새롭게 들어선 약국 프로젝트을 바라보는 첫 시점이다. 이전 농로로 사용되었다가, 2차세계대전 이후 십수년동안 불법 건축물의 자리였고 철거되어 이제는 주거단지로 변모한 대지의 역사적 컨텐츠는 대지의 리니어한 형상만큼이나 지금 매시브한 건축물로 둘러 쌓여진 주변환경만큼이나 유니크하고 특별하다. 이제 이러한 대지를 따라 스틸 박공지붕과 우드프레임으로 구조화되는 리니어한 약국이 들어선다. 전면공지 이격거리를 지키며 -두 건축물의 사이공간을 배려한다.- 단층으로 최소한의 볼륨으로 신축되며 현재 대지가 담을 수 있을 량만 건축물에 담아 낸다. 어반 보이드를 바라보는 또다른 시각, 그 속에서 우리는 ..
사가현에 위치한 주거프로젝트는 특징없는 필지 속에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구축하기 위한 건축에서 시작한다. 지면으로 부터 상승하는 폴딩된 파사드는 상층부로 연결되며 자연스럽게 저층부의 전실과 상층부의 중정을 형성한다. 여기에 백색으로 마감된 기본 볼륨과 대비를 이루는 블랙 우드판넬은 폴딩된 파사드를 더욱더 두드러지게 형성하며 아이텐티한 캐릭터를 구체화한다. 여기에 거주환경의 질 향상을 위한 자연채광과 환기는 파사드를 디자인하는 기본원칙으로 포함되어 디자인의 당위성을 배가시킨다. reviewed by SJ This house was built in the subdivision in Tosu in Saga. A lots of Subdivision was homogenize site, and also houses..
대나무를 이용한 자전거. informed by the sustainable properties of bamboo, these bikes made by belgium industrial designer michael verhaeren were based on buckminster fuller's geodesic domes. incorporating the material properties of bamboo as much as possible instead of steel or aluminum, they are an ecologically-friendly alternative. the majority of existing bamboo bicycle frames are constructed using car..
수변 재정비 사업의 주된 목적은 어반 보이드로 전락한 도시공간에 활력공간 생성과 연속적인 어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균형적인 도시발전에 목적을 둔다. 고펜하겐 워터프론트 프로젝트는 그러한 지향점을 목표로 거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다양한 커뮤니티, 레크레이션 공간과 시설을 계획, 구축한다. -수상 레포츠는 물론 수변생활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오락거리, 휴양시설이 계획된다.- 이러한 공간들을 연결하는 언둘레이션 보드워크는 우드데크를 이용한 보행자로와 브릿지를 이용 단절된 도시네트워크를 확장, 연결함으로써 사람과 사람, 도시와 바다를 연결한다. 특히 재연결된 네트워크는 어반그리드의 확장으로 새로운 시티스케이프를 생성한다. reviewed by SJ kalvebod waves, collecti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