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공간을 지향한다. 70년 지어진 오피스 건축물 내부를 관통하는 14미터 높이의 보이드 스페이스는 각 레벨공간의 물리적인, 기능적인 연결은 물론 내부의 소통을 주도한다. 지그재그, 사선으로 각 레벨을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공간의 시퀀스는 거대한 조각 예술작품의 심미적인 효과를 전달한다. 저렴한 인더스트리얼 테크닉 디테일은 스틸 프레임 스트럭쳐를 감싸는 심플한 플라이우드 시트로 완성된다. 커피 아로마향이 보이드 스페이스를 통해 각 공간에 전달되듯이 소통공간의 구심점으로 보이드/ 계단 공간은 제공된다. reviewed by SJ The office building on the Burgemeester Pabstlaan dates back to the 70's and is centrally located in ..
당신에게 꼭 맞춘 안식처를 선물합니다. ÁBATON가 제안하는 파빌리온; APH80시리즈는 일반적인 주거의 특징을 함축시킨 미니 하우스로 사용자의 취향,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이동 설치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숲속의 오두막 또는 깊은 곳에 숨겨진 개인적인 은식처은 이번 파빌리온을 디자인하는 모티브로 왠만한 주거 못지 않은 거주환경을 제공한다. 탁 트인 전면창으로 열린 거실과 주방 그리고 더블베드가 준비된 침실로 연속된 리니어한 내부 공간은 어느샌가 외부로 확장되며 거주자에게 또다른 생활 바운더리를 제공한다. -27m2, 약 8평 조금 넘는 내부공간은 이제 거주자에게 어느 단독주택 부럽지 않은 공간으로 변신한다.- 여기에 심플한 박공지붕으로 구현된 외형적 특징은 그레이 시멘트 우드 판넬을 이용 완성..
암스테르담, 그리고 인근 위성도시를 포함하는 문화공감대를 위한 차일드 센터는 아이들의 놀이를 포함한 교육,문화 등의 다양한 활동을 보장하는 장소로 제안된다. 건축주의 요청과 같이 센터가 추구하는 건축목표는 다기능적, 유연성, 에너지효율성, 친환경성, 저렴한 공사비로 이곳 센터에 투영된다. 아이들을 위한 문화공감대; 차일드 센터는 내부 프로그램을 통합, 연계하는 중심부에 에어아트리움을 기점으로 아이들의 놀이와 교육을 수행하는 클래스룸, 오디토리움, 도서관, 놀이공간 등 배치된다. 통합적인 공간의 구축을 통하여 내부는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인 동시에 배움의 장으로 제안된다. reviewed by SJ The school of the 21st century needs to satisfy a long list o..
기존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드립커피메이커 제품은 나무를 사용하여 모던, 심플한 디자인으로 완성된다. 미세하게 세공된 역삼각뿔형태의 계단식은 가운데 원뿔에 의해 형성되는 회오리에 커피가 드립되며 찌거기들이 필터링, 안착되도록 설계된다. 홀의 크기와 물의 뜨거움에 차이는 있지만 대략 2분에서 4분정도면 드립이 완성된다. 이거 아이템인데.. reviewed by SJ carved out of cherry, walnut and maple lumber, the ‘canadiano‘ brewer by fishtnk design factory is a personalized system for crafting a cup of coffee in a block of carved wood. placing the..
브리스 솔레이유, 태양을 이야기 하다. 직사광선의 유입은 차단하되, 보다 많은 간접광을 유도하여 내부 채광을 확보한다. 곡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조경, 그리고 그 조경을 따라 타원형으로 디자인된 체육시설은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체육활동과 더불어 사회활동을 보장하는 장소로 제공된다. 크게 다양한 체육활동을 제공하는 체육관과 관람석, 지원시설, 다목적 시설로 이루어진 스포츠센터는 태양과의 뜨거운 조우를 위한 내츄럴 우드 스크린을 남측, 서측, 동측에 설치, 각 공간들을 보호, 버퍼하는 동시에 북측으로 열린 글래스 커튼월을 통해 주변자연환경과 조우한다. reviewed by SJ The building's elliptical form is naturally inscribed within the existi..
장소의 기억을 복원하다. 이곳 센터에 지리적 특징을 재구성하는 건축물은 다양한 건축적 장치를 통하여 장소의 역사를 현대건축 공간과 랜드스케이프 속에 투영시킨다. 이러한 장소의 재구성은 로컬 커뮤니케이션의 앵커 플레이스로 센터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삽입시킨다. 주변에 위치한 역사적인 하우스의 도시적 해게모니를 따라 저층으로 구성된 센터는 메인 출입구에 위치한 대형 로비로 부터 전시장, 갤러리, 렉쳐룸, 200명을 수용하는 퍼포먼스 스페이스가 배치되며 리니어한 복도를 따라 커뮤니케이션 스페이스와 도서관이 배치된다. 그리고 2층에는 인디안의 구전전설을 청취할 수 있는 레코딩룸과 관리사무실, 각종 유틸리티룸이 위치한다. 여기에 도시와 올드하우스를 시각적으로 투과하는 우드립+글래스 파사드로 구성된 리니어한 복도는 ..
레알 마드리드 축구경기를 보는 즐거움, 그리고 유쾌한 놀이가 이루어지는 플레이 스페이스. 레알 마드리드 축구경기장 내 아디다스 후원으로 디자인된 VP관람석 인테리어 디자인은 축구역사와 함께한 아디다스의 유구한 역사의 단편들을 전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스와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공간적 체험을 선사하는 플레이 스페이스 그리고 축구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관람석으로 이루어 진다. 유쾌한 공간을 구획하는 매트블랙의 오크 월은 브라운계열의 바닥재와 대비를 이루며 아디다스의 심플한 로고 스트라이프로 디자인되며, 내부를 조닝한다. 공간이 주는 즐거움도 크지만 역시 레알 마드리드 경기를 본다는 즐거움만으로 행복한 공간이다. reviewed by SJ Stone Designs have created for Adid..
롯시 호수 대피소는 조정과 같은 각종 수상스포츠를 지원하는 구조물로 아름다운 자연풍경 속에 또 하나의 자연으로 동기화 된다. 인공적인 부산물인 아닌 자연과의 조화를 위한 컨셉은 3층 규모에 심플하며 엘레강스한 파사드로 디자인되며 프로그램 및 계절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변형, 활용된다. 이러한 가변성은 공장주문 생산 방식으로 제작된 우드판넬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 지며 전면 오픈되거나 닫히면서, 전망대 또는 프라빗 큐브로 변화된다. 호수 위 드라마틱한 포지션과 더불어 하나의 예술작품의 퀄리티로 완성된 대피소는 일회성 장식품이 아닌 자연의 오브제로 배치된다. reviewed by SJ Lake Rotsee Refuge was designed by AFGH Architekten in Lucern, Swit..
London-based design practice Giles Miller Studio specialises in innovative surface designs and interior design projects that deploy sculptural relief-like techniques. The studio has built up a reputation for high-quality and visually stunning surface designs that consist of small identical pixel-like elements (these are usually metal, wood or ceramic tiles) which when placed at varying angles, r..
스페인 아로사에 위치한 하우스는 지속가능한 건축의 훌륭한 교보재로 제안된다. 이 지역의 산업마감재로 부터 재활용된 목재의 사용과 적은 에너지 소모량을 -매우 훌륭한 단열성능과 효율적인 환기시스템- 통해 지속가능한 공간을 구현한다. 가운데 코어존 양편으로 위치한 두개의 볼륨은 각각 거주자의 프라빗 스페이스와 리빙 스페이스로 구분되며 각기 다른 성격에 걸맞게 다른 공간감; 다른 재질감으로 디자인된다. 앞서말한 재활용 목재는 판재로 가공 처리하여 시간의 흔적이 베인면은 오른편 메스의 외피로 새롭게 잘려진 면은 왼편 메스의 천장과 벽을 감싸는 내장재로 사용된다. 이렇듯 두개의 메스는 상이한 성격만큼이나 같은 재료를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며 대비감을 전달, 주거공간을 다이나믹하게 구현한다. 두개의 메스에 사용된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