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단면을 훔치다. 덴마크 북서부의 풍부한 자연환경을 소개, 전시하는 전시장과 이를 관광하기 위한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센터, RebildPorten는 독특한 외형으로 주변의 시선을 사로 잡는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천혜의 자연경관을 지닌 유틀란트 북부 지역의 자연보호 지역을 소개하는 인포메이션 센터는 자연의 단면; 울창한 숲속, 그리고 그 숲을 가득 채우는 나무들, 그 나무길을 따라 연속된 오솔길을 투영하는 건축물의 외형은 블러프 팀버를 이용 크로스된 구조물로 구체화 된다. 건축적 어휘로 재해석된 자연의 단면들은 마치 숲속 나뭇가지들이 교차하는 시퀀스를 유도함으로써 숲속의 산책, 자연과의 동기화를 유도한다.특히 이곳을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들의 휴게공간으로써 캔틸레버 하부공간은 주요한 공간적 특..
자연은 건축을 만든다. 그리하여 완성된 건축은 자연 속으로 동기화 된다. 중국 쓰촨성; 와우산 정상에 위치한 '와우산 리조트 앤 호텔' 계획안은 이 지역의 풍부한 자연유산이 투영된 건축공간으로 제안된다. 이번 프로젝트의 주요한 시퀀스를 형성하는 8개의 객실동은 필로티를 이용, 다양한 높이와 크기로 공중부양하며 엘레강스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여기에 다층레벨로 구성된 패스와 산책로는 산 정상의 드라마틱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다이나믹한 캔틸레버 구조로 디자인되어 공간을 더욱더 풍성하게 만든다. 휴양과 안식을 위한 쉼의 장소는 최소한의 개입; 최소한의 건축으로 자연 속에 숨겨지도록; 합성되도록 해야 한다. reviewed by SJ designs for a sustainable mountain-top re..
자연에서 차용한 디자인 요소는 건축물 내부를 보호하는 건축요소이자, 건축물을 아이텐티화하는 요소로 사용된다. 전원의 풍부한 자연환경을 건축어휘로 함축시킨 수직 줄무늬 우드 휀스는 여름철에는 뜨거운 직사광선을 차단, 겨울철에는 내부 열에너지를 보호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요소로 사용된다. 거기에 외부의 소음으로 부터 내부 공간을 차단시키는 효과와 인공적인 건축물을 자연풍경 속으로 사라지게 하는 효과도 가져오게 한다. 이렇게 휀스-파사드는 건축과 자연을 밀착시키며 동기화 시킨다. 아무런 충격없이, 아무런 소음없이, reviewed by SJ The site dedicated to the project hold a strong agricultural identity typical of the rural loca..
자연위에 또하나의 자연을 만든다. 유서깊은 조르주 뒤랑 맨션의 수집품을 위한 전시공간, 베트루 뮤지엄센터는 다양한 종의 동식물 표본전시와 교육을 목표로 건립된다. 뮤지엄의 취지에 걸맞는 건축방법론은 친자연적인 소재의 사용과 자연의 훼손을 최소한으로 하는 건축구축으로 이곳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에게 유니크한 장소에 대한 경험을 제공한다. -지속가능한 건축은 주변환경의 배려로 부터 시작, 건축물을 지면으로 부터 분리, 부양시킨다.(이곳 연못에 서식하는 개구리와 왜가리를 비롯한 습지 동식물을 보호하며, 대지를 최소한으로 훼손한다.) 여기에 우리의 볏짚을 이용한 초가와 같은 재료로 건축을 마감한다. 기존 역사적인 조르주 뒤랑 매션과 나란히 이웃한 뮤지엄센터는 장소에 대한 새로운 정의로 건축물의 아이텐티를 배가 시킨..
단독주거 리뉴얼 프로젝트의 시작은 과거의 시간을 현재의 공간 속에 공존시키는데서 시작된다. 길고 좁은 대지위, 드라이 크리너 삽을 리뉴얼한 프로젝트는 한정적인 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내부 각 공간들을 오픈플랜 속에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공간의 흐름의 중심에 있는 오픈에어 중정은 맞다 있는 기존 벽에 기대어 새롭게 증축한 수직공간을 연결, 각 공간 깊숙히 채광과 환기를 유도한다. 여기에 기존 벽과 지붕을 지지하는 블랙 스틸 프레임은 거주자를 위한 프라빗 중층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책장을 거치하며 노출된 벽돌, 우드를 현대적인 주거공간과 연계 시키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그대로 노출된 과거의 흔적들은 아늑한 주거공간 속에 시간의 향기로 아이텐티한 공간을 형성시킨다. reviewed..
공간을 읽는다. 시간의 단면을 읽는다. 상하이에 위치한 캠버사의 새로운 쇼룸 및 오피스는 기존에 위치한 웨어하우스를 활용한다. 여기서 웨어하우스의 내부공간은 부분적인 개보수와 구조적 보강으로 새롭게 조닝되며 고객들을 위한 쇼룸과 비즈니스를 위한 컨퍼런스룸을 비롯한 오피스 영역으로 재설계된다. 특히 인테리어 디자인의 인상적인 시퀀스를 형성하는 레드섹션은 기존 웨어하우스의 내부공간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디자인 요소로 내부공간을 전용과 공용으로 구분짓는 물리적인 파티션 장치로 사용된다. 그리하여 내부공간은 각각 컨퍼런스룸과 쇼룸 그리고 오피스의 독립적인 영역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각 공간들을 연결하는 구불거리는 -골목길같은- 연결 홀로 완성된다. reviewed by SJ chinese p..
안식처를 찾아서... 아름다운 호수를 바라보는 전망 좋은 낮은 언덕 위에 자리 잡은 클리어 레이크 커타쥐는 기존 1950년대에 지어진 구조물 위에 5인 가족의 사계절을 위한 안식처로 디자인된다. 외부에 마감된 다크 컬러는 내부의 밝은 플라이우드와 대조를 이루며 외부 지향적인 건축공간을 전원풍경 속에 생성한다. 이는 숲을 이루는 바람, 빛, 소리 그리고 살아 있는 주변 자연환경과 조우를 이루며 고유한 캐릭터로 구체화된다. 특히 지속가능한 건축의 지향은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건축의 귀결로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는 뷰포인트와 냉방과 환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개구부 및 창문을 디자인 하게 된다. reviewed by SJ Sitting low on the land behind a tree front, ..
Tadao Ando designed Dream Chair as a tribute to Hans J. Wegner. The chair is made of three-dimensional plywood and with this material, Tadao Ando and the cabinetmakers at Carl Hansen & Søn pushed the size and curvature of the plywood sheet in order to achieve the necessary characteristics of a chair, attaining a result beyond what was thought to be possible. It is available in oak and walnut wit..
주거프로젝트의 특징은 기존 주거공간과의 연속성을 보장 하는 동시에 개별적인 생활공간 및 휴식공간을 창출한다는 점이다. 대가족과 생활하는 젊은 부부의 사적인 공간 확보를 위한 주거프로젝트는 가족과의 관계, 기존생활공간과의 연계성을 신설된 주거의 측면에서 복도로 연결하며 외형적으로는 전원마을에 유니크한 박공지붕으로 디자인된다. 이러한 외형적 형상은 내부에 설치된 U자 벽을 길이방향으로 연속시키며 V자형태의 지붕 트러스 빔과 연결, 완성시킨다. 건축적 공간의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거주자에게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건축은 그런점에서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상부의 삼각형태의 보이드는 내부거주환경을 쾌적하게 만드는 버퍼공간이다.- reviewed by SJ mA-style architects complete..
리싸이클 실크 체어의 최대장점은 단순히 낭비되는 자원의 재활용이 아니라 내부공간을 유연하며 유쾌하게 만드는 디자인에 있다. 네팔로 부터 공수해온 실크 조각과 아메리칸 오크로 만들어진 체어는 그 특유의 유쾌한 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는 안락함을,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한다. reviewed by SJ Fabric waste into the end material… This ecological furniture family consist of chair, ottoman and stool which are made of American white oak and recycled silk yarns from Nepal. The ethnic-inspired design aims to b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