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스 브리태니 고등학교 공학동의 모놀리틱한 형상은 두개의 핵심구역; 원형극장과 카페테리아를 통해 구현되며 이를 통해 학교의 건축적 캐릭터를 새롭게 정의하게 된다. 여기에 열린 교육과 상호소통 공간의 지향은 학생, 교수, 연구원 그리고 직원들 간의 긴밀한 상호교류를 증진시키며 교내의 긍정적인 시너지를 발생, 보다 진보적인 교육공간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건축환경은 중첩된 공간들의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특히 콘코스를 중심으로 배치된 교실 및 강의실 그리고 다양한 공용공간들이 서로의 네트워크 속에 발생시키는 역동적인 에너지를 통해 실현된다. 무엇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건축이 지향하는 점은 열린 교육을 위한 훌륭한 매개체로서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사람과 공간을 통합한다는 점이다. reviewed by SJ,..
달라스 브룩스 커뮤니티 초등학교 프로젝트의 독특한 파사드 디자인은 브로드미도우스 재건 프로젝트의 상징적인 이미지 구현과 더불어 이 지역의 전통적인 의상의 패턴을 재해석한 조적구축 방식으로 보여준다. 재건사업은 다음과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달라스 지역의 3개 초등학교를 하나의 밴드로 융합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지역적으로 소외된 계층의 소셜활동 증진 및 저소득층의 경제적 불균형 해소와 범죄예방) 그리고 여기에 교육과 지역문화를 통합하는 허브로써 다양한 퍼블릭 스페이스를 삽입시킨다. 학생 및 지역주민들을 위한 두개의 스포츠 홀, 커머셜 키친, 커뮤니티 가든, 성인교육 센터, 유아교육센터, 방송스튜디오 등 다양한 서비스 공간이 하나의 소도시를 형성, 독특한 스펙트럼 밴드로 구획된다. reviewe..
지역주민들의 문화생활 및 소셜활동 보장을 위한 센터는 도시공원의 전면부에 위치한 KRNAP 어드민 빌딩의 지층에 배치된다.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지면으로 선큰된 센터는 Krkonoše산의 형상을 모티브로 경사진 지붕 위에 실제 토피가 적층되며 세듐과 같은 초화류가 식재된다. 이를 통해 건축과 자연은 연속된 환경, 분절점 없는 환경을 구축하며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더불어 자연보존 및 국립공원의 지속성을 상기시키는 건축적 제스쳐로 사용된다. 내부공간은 플라이우드를 이용한 파티션과 가구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각종 세미나와 강의 공간으로 제공된다. reviewed by SJ, 오사 The building is situated into a city park in front of the administration ..
기존 역사문서고 확장 및 신규 프로젝트. 두개의 새로운 빌딩은 기존 건축물과의 관계를 맺으며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로변에 위치한 첫번째 빌딩은 지역주민 및 이곳을 이용하는 방문객들을 위한 공용공간으로 스크린-프린트된 글래스 판넬을 이용한 파사드 디자인을 구현한다. 특히 투명한 글래스를 통해 형성된 내외부 밀착관계는 랜덤한 글라데이션을 통해 다양한 시퀀스를 생성한다. 기존 문서고로 부터 확장된 두번째 빌딩은 브르고뉴 지방의 스톤을 연상시키는 무채색 계열의 콘크리트 판넬을 배치, 첫번째 빌딩과 대비되는 모놀리틱한 건축환경을 구현한다. 이렇게 이란성 쌍둥이는 각자의 테마에 맞게 건축된다. reviewed by SJ, 오사 The rundown building housing Nièvre’s departmenta..
슈퍼 헥사곤, 31개의 블록이 만드는 8개의 클러스터(육각형태의 중정)는 주변자연환경과의 적극적인 호흡을 위한 건축적 제스쳐로 이를 통해 생성되는 다양한 외부환경; 랜드스케이프를 거주자와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활을 수행한다. (6층 규모의 블록)은 '슈퍼레벨'을 통해 4개의 분절레벨로 다시 24층 규모의 아파트로 각 세대의 적정한 버퍼스페이스(이격거리)를 확보, 자연채광과 자연환기가 원활한 거주환경을 구현한다. (24층, 170,000sqm, 1,040세대) 여기 다양한 외부공간; 8개의 클러스터 뿐만아니라 각 블록이 만나면서 생성된 잉여외부공간은 거주자를 위한 그린네트워크, 소셜네트워크로 저층부의 센트럴 광장, 극장 플라자, 워터파크와 함께 각종 부대시설(클럽하우스, 극장, 짐) 및 옥상가든, 테라스등으..
텍사스의 대자연 속 하우스는 자연과의 교감, 그리고 이러한 밀착된 경험 속 지속적인 거주환경 구현을 목표로 진행된다. 지붕층에 설치된 낙수 및 워터탱크는 태양전지판과 태양열 온수시스템과 함께 하우스의 지속성을 보장, 무더운 텍사스 기후로 부터 내부환경의 냉방부하를 도와준다. -태양판 전지를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와 온수시스템으로 생산된 온수는 전기와 가스를 절감하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여기 하우스의 캐릭터를 구축하는 라임스톤 월은 경사면을 따라 배치, 퍼블릭 윙과 프라빗 윙으로 구분하며 경사면 아래로 열린 풍경과 하우스를 조우시킨다. 같이 들려진 지붕, 그리고 무주공간으로 개방된 전창은 풀 데크를 통해 유입된 풍부한 자연환경을 통해 내외부를 밀착시킨다. reviewed by SJ,오사 Bercy Che..
국제적인 온라인 뮤직 플랫폼, 사운드 클라우드의 헤드쿼터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베를린 장벽, 인근에 위치한 기존 양조공장의 3개층(4,000sqm)을 재구성한다. 온라인상의 활발한 음악적 교류를 제공하는 유명한 허브를 목표로 180명 직원들에 원스탑 오피스 환경을 인큐베이터 퍼니쳐와 함께 구축한다. 기존 장소의 캐릭터(산업환경)는 오피스르 리노베이션하는 또 하나의 매력적 장치로 기존 작업장(양조공장)의 천장과 벽을 구획하는 벽돌 및 콘크리트를 노출, 새롭게 제안되는 소음재 및 재료와 함께 열린 비즈니스 플랜을 형성한다. -음악에 대한 온/오프라인의 비즈니스 환경의 소통을 지향- 이를 통해 구현된 오피스는회사가 지향하는 자율성 및 다양성에 부합되는 다양한 개별 작업실과 미팅룸 그리고 열린 작업공간등을 준비..
주변 건축물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외관을 지닌 하우스의 외피는 110sqm, 협소한 대지위에 구축된 주거를 보호하는 동시에 캐릭터를 정의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내부에 공기층이 단열효과를 내는 이중구조는 경량철근 콘크리트와 파이버 글래스, 그리고 스틸시트의 모듈의 합성으로 제작, 공장 제작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축된다. 내부의 중정을 기점으로 수직으로 연속된 내부 프로그램은 캔틸레버 계단을 따라 저층에서 고층의 루프탑 풀장 및 미디어 스페이스로 연결된다. reviewed by SJ,오사 Architecture firm SDeG have recently completed the S-House in Chennai, India. Our proposal is located in a dense, ..
created french designer ferréol babin for italian light manufacturer fontana arte, ‘lunaire’ is a wall lamp with a surprising illumination effect, reminiscent of the phenomenon produced by eclipses. a smaller front disc contains the light source, set inside a large concave of aluminum. two different lighting effects are created depending on how the small disc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di..
‘Let’s Sit and Talk’ by sculptor Marie Khouri is currently on display at the Equinox Gallery in Vancouver, Canada. Born in Egypt and raised in Lebanon, Vancouver-based sculptor Marie Khouri has developed vast range of cultural and historical influences within her practice. With a childhood interrupted by the assassination of her father during the Lebanese Civil War, Khouri was relocated to S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