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의 시선..수평적 공간에서의 정적인 공간과 동적인 공간의 이성적 분리 1970년 부터 유명한 바를 새롭게 리노베이션을 거쳐 전면부에는 바 앤 레스토랑을 후면에(내부 공간)는 나이트클럽을 계획한 재미있는 프로젝트 입니다. 중첩된 공간이 갖는 힘은 사람들을 모이게 하고 사람들의 활동으로 부터 나오는 힘은 다시 공간에 투영되어 레스토랑과 나이트클럽을 하나의 공간으로 묶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리노베이션은 그 이전의 시간과 지금의 시간 그리고 미래의 시간을 묶어서 하나로 만드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과거의 시간을 이해하고 배려해야 하며 미래에 대한 시간 또한 예측하여 지금의 시간으로 만들어야 하는 힘든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볼 수 있는 공간의 폭과 깊이는 얼마나 됩니까? 며칠 후의 미래까지 당신..
발리는 언제부터인가 우리에게 편안함과 평온함을 주는 안식처의 대명사가 되었다. 발리에 위치한 더블유 리트리트 스파는 그중에서도 심신의 피로를 풀수 있는 최적의 서비를 제공한다. 인터네셔널한 모던함보다는 지역의 특성화된 자연적인 모던함이 더욱더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조금은 거친듯한 디테일이 오히려 우리에게 친근함과 자연스러움으로 평온한 분위기를 안겨준다. 한달정도 선벤치에서 반누워서 자다가 책보다가 자다가 책보다가를 무한 반복 했으면 좋겠다. reviewed by SJ AB Concept have sent us images of the Villas and E-WOW Suite interiors they designed for the W Retreat & Spa Bali – Seminyak.
생물의 신, 바다는 모든 생명의 시작이고 끝이다. 이와 같은 컨셉을 모티브로 작업된 설치물은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의 관계를 새로이 정립하며 아름다운 예술설치물로 리크리에이션 되었다. 여기에는 도시의 상업, 교통, 에너지, 음식 등 우리 생활의 모든 관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패브릭 위에 다채로운 색상으로 프린팅 된 생물의 형상은 유기적인 패턴으로 디자인되어 방문자들에게 신선함과 장엄함을 선사한다. reviewed by SJ new york based artist swoon has created 'thalassa' for the new orleans museum of art.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site’s century-old hall, the 20-foot ..
대형광장안에 새롭게 설치된 랜드스케이프는 파도의 웨이브처럼 은색으로 된 작은 둔덕을 만든다. LP와 TAPE가 그랬듯이 CD 또한 저장매체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생활 속에서 점점 불필요한 요소가 되어 사라지고 있다. 6만여개의 CD의 발광면을 이용한 기념비적인 설치물은 우리가 사용하는 생활제품의 수명 (제품사용시간이 아닌 제품활용수명)에 대하여 심도 있는 질문을 던진다. 사회적 쓰레기로 전락 할 것인지, 아니면 재활용되어 제 값어치를 할 수 있을지... reviewed by SJ Elise Morin and Clémence Eliard have created the Wastelandscape installation at the CENTQUATRE in Paris, France. “Waste Land..
반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는 유형의 큐빅을 비물질화 시켜 주위 환경에 동화를 시킨다. 심미적 탐구에서 시작되는 재료의 선정은 내외부의 관계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건축의 조각화를 만드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야기한다. 여기 '도무스 테크니카' 와 같이 주위 환경과 건축물의 만남, 그리고 내부 공간과 건축물의 만남이 담겨 있는 세심한 프로젝트를 보자. 사용자와 기능에 의해 결정된 큐빅형태는 주위환경에 대하여 유연하면서도 배려하는 재질로 디자인 되었다. 이것은 공간이 기능적인 약속을 지키는 동시에 주위환경과의 싱크를 통하여 주위환경(자연)을 건물안으로 유입시켜 내외부의 관계성을 원활하게 만든다. 그리고 기능적인 공간 조닝은 엔진니어와 교수들 간에 긴밀한 협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먼저 그라운드 레벨에 위치한 아트..
소리로 만들어지는 공간은 기능적인 공간과 볼륨과 깊이에 차이가 있다. 파빌리온의 메인 형상을 이루는 3개의 구조체는 악기의 울림통이 음을 안아 소리를 발생시키듯이 안으로 공간을 감아 그 안에 소리를 가둔다. 이렇게 가두어진 소리는 내부 곡면을 따라 흐르는 사운드 보드에 맺힌다. 두요소의 조합은: 소리를 환원해야 하는 공간에서는 반사를 시키고 소리가 중첩되는 공간은 소리를 흡수시키면서 내부 청중들에게 균질의 :소리를 선사한다. 연주회, 시낭송회, 리사이클,등과 같이 소규모 프로그램은 물론 외부 중정과 연계하여 대규모 콘서트나 연주회 또한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었다. 심미적인 탐구보다 소리가 주는 감동이 더 아름다운 볼륨으로 다가온다. reviewed by SJ Clad in copper-hued shin..
웨스트 첼시에 위치한 아트 뮤지엄 밀집지역에 모던하면서 심플한 실버 메스가 들어 섰다. 전동식 슬라이딩 셔터가 개별적으로 움직이며 다이나믹한 입면이 나타나는 메탈셔터 하우스는 일본건축가 시게루반에 의해 디자인 되었다. 일본 전통건축의 모던함과 심플함(다다미방)에서 모티브를 얻어 디자인 했다는 셔터 하우스는 특이한 입면이 말해주듯이 개별적인 공간을 중요시 하는 프라빗 주거시스템이다. 중앙에 위치한 시크릿 엘레베이터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로비와 전실을 사용함으로써 타인에게 방해 받기 싫어하는 개인적인 도시인의 삶이 공간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특히 도로변에 면한 발코니는 개별적인 전동 슬라이딩 시스템의 셔터를 사용하여 프라빗 스페이스의 정수를 보여준다. 총 11개층 안에 구성된 8개의 독립적인 듀플렉스 유닛은..
만나다: 소리와 건축 방콕에 위치한 하드락 카페의 새로운 파사드는 우리에게 또다른 즐거움을 안겨준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소리는 무형의 풍부한 볼륨감과 깊이를 가지고 있다. 소리의 볼륨은 리드믹컬한 음악선율에 따라 파동치며 굵은 웨이브 선을 만든다. 이와 같은 파장의 곡선은 스틸 캔틸레버 웨이브 구조물로 구현되어 유형의 웨이브 패턴으로 시각화 된다. 여기에 곡선을 따라 흐르는 블랙미러 판넬을 부착하여 소리와 건축이 만나면서 발생되는 경계라인을 건축물과 거리사이에서 발생된 다양한 반사 빛을 산란시키며 버퍼스페이스를 발생시킨다. 이것은 무형의 소리와 유형의 볼륨이 만나 하나의 형상을 이루어 내듯이 거리의 다양한 액티브(무형)와 건축물,공간(유형)이 서로의 관계를 이해하며 자연스럽게 싱크되는 디자인 장치를 ..
안에 있는 자신만 사랑하기 주위 외부와 관계를 찾지 못할경우, 우리는 다른 방향으로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리투아니아에서 두번째로 큰 도시인 칸우나스에 세워진 훼밀리 하우스는 외부와의 관계성을 입면 파사드에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있다. 주위환경과의 관계를 거절하는 외부에 면한 파사드는 코르텐강(내후성강판)으로 마감하여 관계를 단절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내부로 열린 공간은 알루미늄 글래스로 투명하게 처리하여 적극적으로 관계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디자인 코드는 도심지 내에 프라빗한 중정을 갖는 소규모 단독주거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데, 타인의 시선을 받지 않고 자신의 영역을 보호하고자 할때 많이 사용된다. 이것은 이와같은 경우는 주택뿐만아니라 아파트단지라는 성을 쌓고 사는 집단주거에서도 찾을 수 있다. 사람..
아웃도어 스페이스를 디자인할때 당신은 무엇을 먼저 고려하는가?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주위환경이 내포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그것들의 관계성을 잘 연결시켜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건축가, 디자이너들이 갖는 그릇된 아웃도어 스페이스에 대한 편견은 그래서 깨져야 한다. 건물로 부터 연결되어야 하고 그렇게 연결된 루트는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그 나머지 공간은 장식적으로 페이빙 또는 조경으로 처리한다. (랜드스케이프 또한 조경전문가에게 맡겨버린다. 그러면 당신은 건물만 디자인하면 되는가? 아니 건물 앞 공개공지까지만 당신의 영역이라고 생각하는가?) 기능적인 연결이 중요하지만 전체 공간을 읽고 공간에 대한 유기적인 조닝과 배치 그리고 이것들을 연결해주는 다양한 연결고리를 계획함으로써 아웃도어 스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