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를 거점으로 한 périphériques architectes는 자연 풍경을 온전히 혜택받은 프랑스 반도에서도 바닷가에, 문화센터를 건설하였다. 해변 위 도로들은 나무가 우거진 산울타리들이 심어져 있는데, 이는 바람으로부터도 보호를 해주지만, 빛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아치형 천장을 식물들이 만들어 주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디자인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 공간이 된다는 점이 독특하다. 문화센터는 유리와 거울이 번갈아 가며 커튼월을 둔 건물로써, 색채가 다양한 메탈 패널을 조각적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날이선 기하학적 모양을 갖춘 빌딩 내 복도는 낮에는 채광을 통해 환하고, 밤에는 또 그 나름의 빛이 투영된다. 이 복도는 외부를 향해 확장되고 뒤쪽으로까지 연결된다. paris-based périphé..
Much-loved children’s author Roald Dahl was the inspiration for a new dining hall and after school facility in Buckinghamshire’s Prestwood Infant School. The author – who lived locally – had already apparently based the headteacher Miss Trunchbull in his popular book Matilda on a former real-life headteacher at the school.Architects De Rosee Sa and PMR turned to the pages of Dahl’s books again f..
건물을 구성하는 주된 재료- 풍화스틸, 노출 철근 콘크리트, 유리, 철강, 목재-는 기존 건물에서 찾아낸 것이었다. 건축의 재료로써, 이러한 것들이 자신의 표현력에 제한이 없이 채택될 수 있음을 오늘 소개할 건물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특히, 풍화 스틸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완벽하게 연결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풍화 스틸은 "이미 채색된" 솔류션이자 모방으로 보기는 힘들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어 새로운 건물 내에 극적인 재료로 사용되었다. 건물을 철거하는 작업은 사실, 복원을 하거나 그 위에 가치를 부가하는 일보다 쉬운 시대를 살고 있다. 그러나 사물이나 건물에 숨겨진 역사적 가치는 발견하거나 재발견 될 필요가 있다. 현존하는 건물에 대해 작업을 할 경우, 어쩔 수 없이 구성하고 있는 물질..
가족 구성원의 변화나 여성의 사회진출이 많아짐에 따라 아이들은 일찍부터 교육 시설에서 배울 기회를 가족 내에서보다 전보다 많이 갖게 되었다. 그래서 탄생한 "집 속의 집"이라는 아이디어는 거의 하루 종일 데이케어센터에서 보내야 하는 아이들이 '집처럼 편안한' 생활을 해야한다는 취지에서 만들어 졌다. 유치원은 아이들을 위한 작은 도시가 되었다. 거실은 광장으로, 복도는 거리로, 그리고 방은 건물로 -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같이 조직되었다. 유치원의 형태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놀이 중 하나인 '오리가미'에서 착안하였다. 하얀색 표면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얇은 종이가 접힌 것과 같은 인상을 주기 위해 1층에는 벽돌로 구성하여 부분적으로 구분하였다. 아이들에겐 하나의 커다란 집안에 여러개의 작은..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위치한 ‘te oro’는 지역커뮤니티와 아트센터를 위한 장소로 제공됩니다. 고대문화의 가치 계승은 현대적 건축어휘 속에 발현, 고유한 외관 디자인으로 표현됩니다. 공중으로 부유하는 장면을 연출하는 상부는 고대부족의 상징적인 이미지가 새겨진 외부 기둥에 의해 지지 됩니다. 특히 내외부 밀착된 건축환경을 유도하는 거대한 창과 연속된 재료의 사용 (외부 목재패널은 창문을 기점으로 내부 합판과 연결)은 이러한 디자인을 배가시킵니다. ‘te oro’ is a community and arts center located in glen innes, auckland, new zealand. designed by archimedia, the space blends notions of ancient p..
서울 독일 학교의 강당에 대한 Daniel Valle이 제시한 디자인 제안은 총 3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번 비전은 융통성, 창조성, 안락함과 안전함을 기초로 하였다. 디자인 특징의 그 첫번째는 스마트하면서도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악기 보관실 시스템을 꼽을 수 있다. 두번째 특징은 큰 교실 안에 두개의 작은 방을 구성하는 것으로 밴드 리허설 실과 음악 선생님을 위한 사무실이 그것이다. 밴드실은 움직일 수 있어, 방의 그 어떤 위치에도 놓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특징은 학생이나 직원들이 자유로운 방식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을 꼽을 수 있다. 이 곳은 회의나 게임, 교실이나 강의를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방식을 허용하는 개별 유닛으로 쪼개질 수 있는 라운지 공간이다. 이 곳은 수많은 조직들을 구..
화이트 블럭 갤러리는 대한민국 해이리예술마을의 중심부에 위치한 15백 평바 미터에 달하는 전시관이자 문화공간이다. 총 3개의 전시관을 갖춘 이곳은 추가적으로 7개의 전시관을 더 만들면서도, 열린 배치를 구성하였다. 수퍼 사이즈의 조각상과 그림들부터 멀티미디어 구조물에 이르기까지 글로벌한 컨템포러리 작품들의 쇼케이스를 계획하면서 이 곳의 공간들은 미래적 예술의 형태와 미디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위치와 빛에 있어 독창적인 공간이 되었다. 수동으로 온열과 환기의 통제 시스템 또한 이곳의 고 효율적인 환경적 체제에 통합되었고, 우수조절층량은 예술작품의 공간적 경험의 일부가 되었다. The White Block Gallery is a 1500 square meter exhibition and cultural sp..
키치스럽다. 펑크하다라는 표현이 어쩌면 적절할 수도 있지만,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달리 읽는다. 먼저 유쾌한 감정이 든다. 다소 난해에 보이는 그림이지만, 파스텔톤의 컬러가 전달하는 달짝지근한 감성이 전체 벽화를 순화시키며 흥미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도와준다. 여기에 비현실적인 그림 또한 감각적인 상상력을 자극, 이곳에 있으면 무언가라도 해야 할 것만 같은 심상을 불러 일으킨다. 치과교육장으로써 학생들의 교육에 얼마나 도움이 될런지는 조금 생각을 해보자. for the collective inside out exhibition hosted an old dental school in rennes, french illustrator known as freak city has completed an i..
샌프란시코에 위치한 100년된 건물은 이제 지역주민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로 복원 됩니다. 외관에 부착된 기존 석재 복원 (적색 페인트 도장과 새로운 사인 추가)은 물론 콘크리트와 강철구조를 이용, 내부공간을 로비와 카페 그리고 두개의 강당을 포함한 극장시설로 재구성됩니다. SOM's San Francisco office has transformed an abandoned cinema into a multipurpose performance and community venue for the American Conservatory Theater, a prominent arts organisation in the Bay Area .Photography is by Bruce Damonte. The firm re..
동경의 전형적인 도시외곽에 도호음악원(Toho Gakuen School of Music)을 설립하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음악을 배우는 적절한 장소를 만들어 내려던 고심 끝에 일종의 감옥과도 비슷한 형태로 복도 하나에 교실이 연결된 낡은 1층짜리 건물에서 전통적인 캠퍼스 형태도 아니고 새로운 강의실을 배치한 지금의 모습이 탄생하였다. 동떨어진 곳이라기 보다는 주변 환경이나 동료 음악가들 사이에 좀 더 가시적인 커넥션을 요하는 작업이었기 때문에, 때로는 각기 다른 악기들을 다룰 수 있다는 상황을 위하여 학생들은 서로 떨어져 있는 강의실을 갈 때 복도나 계단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음악 수업을 위해 조화된 공간 만큼이나 강의실과 복도 사이에도 조화가 필요했다. 음악원은 지역 사회에서도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