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의 주요한 디자인 컨셉은 전통적인 샤머니즘과 현대예술을 접목시켜 살아 움직이는 공간을 연출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공간구축은 스틸프레임 위에 플라스터 보드를 조각조각 모자이크로 이어붙인 거친형태의 마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정교하지 않은 거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는 전시된 작품들과 실시간으로 동기화 하며 오브제와 전시장을 하나의 시공간 속으로 엮는다. 그리하여 이곳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은 이원화 되지 않은 전시공간을 통한 시간여행을 자연스럽게 만끽하게 된다. reviewed by SJ Les maîtres du désordre (Masters of Chaos) exhibition boasts an idiosyncratic scenography that reflects the show’s subject ..
산과 바다를 사이에 위치한 대지. 그리고 이 제한적인 대지 위에 들어선 스포츠 컴플렉스의 막구조물은 바다와 대지의 가시선을 연결하는 뷰포인트를 형성하며 주변 랜드스케이프로 부터 인상적인 시퀀스를 만들어 낸다. 도시 스포츠를 위한 도시공원으로 확장된 스포츠 컴플렉스는 정규 럭비리그와 풋볼 그리고 국제 육상경기를 위한 시설로 제공되며 주변 6개의 학교의 운동장으로도 활용된다. 이와같이 외부공용공간의 확대를 위해 계획되고 건축되는 건축물의 목표는 지역 커뮤니티를 위한 서비스 유틸리티 확보에 의이가 있다. 여기 스포츠 컴플렉스에 설치된 막구조물은 스포츠의 역동적인 흐름을 모티브로 주변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스펙타클한 '멕시칸 웨이브'라고 일컬어 지는 조형미를 만들어 낸다. 패브릭 커버, 메탈, 우드, 무반사 ..
독일 디자이너 Makkink & Bey에 의해 디자인된 싱글아이템 가구는 데스크, 책장, 회전의자가 결합된 복합체로 플렉시블한 작업환경을 지원한다. 부착된 스윙의자가 90도로 회전하면 이전에 팔걸이 또는 사이드 테이블로 사용되었던 책장의 상판은 작업을 위한 데스크로 변신한다. 회전하는 의자를 제외한 가구는 베이지 컬러와 밝은 파스텔계열 파란색을 매치하여 경쾌하며 밝은 가구를 완성한다. reviewed by SJ Dutch designers Studio Makkink & Bey have combined a desk, shelves and swivel chair to create a flexible workspace in a single item of furniture. Designed for Dutch B..
디자인 스튜디오 ON이 최근에 완공한 피카는 레지던스와 스칸다비아 소품을 전시 판매하는 소호가 결합된 복합 공간이다. 다양한 디자인 소품을 진열하는 선반은 1층부터 3층까지 수직으로 연속되며 오픈 아트리움, 홀 스페이스와 각 레벨에 위치한 식당, 침실, 샵을 구분하는 동시에 버퍼한다. 여기에 도로변에 면한 수직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내부공간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진다. 특히 미니멀한 백색의 인테리어 스페이스는 35제곱미터(약 10평) 정도밖에 되지 않는 협소한 대지위에 내부 공간을 최대로 활용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주거 디자인의 컨셉을 정의한다. reviewed by SJ Tying together the concept of display and the spectacle of ever..
디자인 뮤지엄의 어셈블리를 위한 파빌리온은 6개의 모듈 조각을 이용하여 육각형의 볼륨으로 구축된다. CNC 커팅 머신을 이용한 싱글레이어 생산시스템은 생산단가를 낮추는며 효율적인 대량생산의 이점을 갖고 있다. 언리미티드 에디션 파빌리온은 이러한 구축적 특징을 잘 살리며, 플라이우드, 케이블 타이, 가죽끈의 재료로 조형적이며 구축적인 구조체를 구체화 한다. reviewed by SJ Designer in Residence 2012 Commission at the Design Museum Lawrence Lek is a sculptor and architect who experiments with processes of natural growth and industrial fabrication through..
헤르조그와 드뫼론에 의해 새롭게 리뉴얼된 바질전시장내의 메세홀은 기존 위치한 두개의 볼륨을 연결한다. 전시장과 도시를 가시적으로 연결하는 오픈스페이스 구축은 이 지역의 소셜 및 커뮤니티 스페이스로 위치하는 동시에 내부 전시영역과 외부 도시공간을 도시공간 구조에서 연장한다. 특히 상부 볼륨과 하부 볼륨의 위계를 뒤틀어진 메탈 스킨으로 연결하는 파사드 디자인은 내부에 3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홀, 오픈스페이스를 형성하며 도시와의 비쥬얼적인 관계속에서 고유한 캐릭터를 갖게 된다.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통하여 형성된 뱀 비늘같은 조각난 메탈 판넬은 비틀어진 위계 속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공극을 통하여 외부 자연채광을 유입시키는 동시에 자연환기를 유도하는 패시브 디자인을 지향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을 통하여 내..
수변에 드라마틱한 주거공간이 탄생한다. 3개의 메스로 분절된 3개의 동이 수변을 따라 연속된 레지던스는 팜보우트 어반 랜드스케이프의 어반 플랜으로 디자인 된다. 특히 이와같이 분절된 공간적 특징은 물과 공간과의 관계 속에서 가시적인 시야 확보를 위한 물길에 의해 정의된다. 수면에 면한 외부테라스와 집적적으로 연결 가능한 거실공간이 물과 같은 수평선상에서 만남은 물론이고, 그 뒷편에 위치한 주방, 식당 공간 또한 반층 올라가며 또다시 물과 수평선을 맞추는 시야적 교감을 이루어 낸다. 여기에 2층에 위치한 침실은 프라빗한 교감을 만들어 낸다. 건축이 자연과 교감하는 동안 주거단지는 이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어간다. reviewed by SJ The urban plan of Palmbout Urban Lands..
이 아름다운 무지개 컬러 디자인은 베이징 폴라 컬쳐 프로젝트 중 북스토어 내부를 디자인 한다. 책장은 솟아 오르고 낮아지고 때론 휘어지면서 아이들과의 놀이를 위한 플레이 스페이스가 되어 간다. 그것은 또다시 북스토어의 내부공간을 연속시키며 책장으로 윈도우로 아늑한 독서공간으로 변신하며 통합한다. 이러한 인터렉티브 스페이스는 공간의 기능적 요소를 충실히 수행하는 동시에 놀이를 통한 재생산적인 공간활동을 보장함으로써 아이들에게 독서를 통한 지식의 습득은 물론 놀이와 접목된 크리에이티브 스페이스 경험으로 긍정적인 성장을 유도하는데 의이가 있다. reviewed by SJ This beautiful, rainbow-ribboned interior design is Kid’s Republic, the pictur..
디자이너가 제공하는 다음 pdf파일 다운 받아 카드보드지로 폴딩하면 다음과 같이 스타일리쉬한 스툴이 생깁니다. 템퍼러리로 치부하기엔 재미있고 유쾌하며 아이들에게 좋은 시간을 선물해주는 의자가 될 것입니다. We can’t think of a better combination than DIY-crafts, cardboard, and kids- and Swiss architect Nicola Enrico Stäubli’s FoldSchool furniture does just that. What’s more, his chairs-for-kids (or for the kid in you) are not products for purchase, but rather downloadable FREE patterns..
designer Werner Aisslinger of Berlin and Singapore has created a storage system for German brand Flötotto that's held together by plastic clips. The ADD System comprises timber batons joined with plastic connectors hidden on the inside of the frame. Side, front and back panels can then be simply clipped to the plastic components with metal fastenings. “ADD literally contains a ‘hidden hero’ s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