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PT 헤드쿼터 디자인 제안은 전통과 현대성이 조화된 형상으로 지역적 특징이 투영된 건축공간으로 완성된다. 그리고 여기에 태양의 경로와 일반적인 지중해 건축의 특징이 잘 베어 나도록 한다. 유니크한 건축물의 볼륨 및 외피는 알제리가 위치한 사막기후가 만들어내는, -바람과 모래가 만들어 내는- 자연스러운 건축물에서 영감으로 부터 시작된다. 여기에 지역적 문맥을 고려한 역사성과 현대성의 조화는 고속도로변, 도시공원 속 건축물을 새로운 랜드마크로 디자인 시킨다. 그리하여 완성된 헤드쿼터의 디자인은 사막의 강렬한 기후를 고려한 공기역학적 형상으로 북측면에는 볼록한 유선형태를 남측면에는 오목한 형태로 디자인되며, 강렬한 태양을 버퍼하는 서피스 시스템과 함께 헤드쿼터를 완성한다. reviewed by SJ The..
벨기에 위치한 오피스 리뉴얼 프로젝트는 역사성과 엘레강스를 갖는 심플하며 미니멀한 공간계획을 목표로 디자인된다. 150스퀘어미터의 오피스는 1900년대 초 설립된 직물공장의 일부분을 리노베이션하여 대형 메인 스페이스와 4명의 직원을 위한 작은 사무실로 구성된다. 사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엘레강스한 오피스 디자인이 디자인 스튜디오나 건축회사가 아닌 주로 종자를 수출입하는 벨고-시드 란 점이다. -아마도 국제적인 비즈니스를 하는 회사업무의 특성이 반영될 결과가 아닐까?- 이러한 내부공간은 모던하며 엘레강스한 다크팀버 월 판넬, 라이트 오크 플로어와 기존 공장의 요소인 브릭천장과 아이온으로 마감된 기둥의 매치로 개성있는 오피스랜드스케이프를 완성한다. reviewed by SJ If we at TCH wer..
독일건축가 UNIT4가 최근에 완공한 오피스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새롭게 입주하는 거주 인원들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보장과 비즈니스 활동에 적합하도록 디자인 하는데 있다. 1960년대에 지어진 3층 빌딩은 이제 건축가가 제안하는 3차원 서포트와 실링에 의해 재조립된다. 기존공간의 불필요한 장식은 배제, 제거되며 공간 본연의 기능을 재조명하게 된다. 이를 통해 오피스는 건축주가 요청하는 것과 같이 작업자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분 할 수 있는 동시에 오픈스페이스로 통합되는 사무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reviewed by SJ German architectural and general planning agency UNIT4 has recently completed its Stuttgart headquart..
기존 주택에서 확장된 오피스는 크게 미팅영역, 사무영역 그리고 외부 전면 버퍼스페이스로 구획된다. 이전 공간의 장소성을 연결하는 미팅영역은 리셉션과 작품전시를 위한 구역으로 인포메이션과 기능적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새로운 공간 이외에 기존 공간의 흔적을 최대한으로 보존한다. 새로운 백색공간은 이전공간, 적벽돌과 깨어진 돌무더기와 낯설은 이종접합을 통하여 시공간을 함축시킨다. 그리고 이 함축된 공간 속에서 프로젝트의 컨셉이 적나라하게 표출된다. 미팅영역을 지나 뒷편, 새롭게 증축한 사무영역은 2개층 높이의 작업공간과 사장 및 임원을 위한 임원실을 2층에 위치 시킨다. 또한 미팅영역과는 대조적으로 합리적인 작업활동과 플렉서블한 작업공간을 보장하는 오픈스페이스로 계획된다. reviewed by SJ When ..
뮌스터, 아아제 인공호수에 면한 오피스 빌딩은 건물들 열주 끝자락에 위치한다. 사선으로 기울어진 원통형 계단실은 내부공간을 상부로 상승시키며 아웃도어 테라스를 갖는 3층 공간을, 상부 캔틸레버로 깊게 형성된 저층부의 주출입구를 형성한다. 한정적인 용적률 내에서의 건축은 이렇듯 건축가의 도전을 받아 들이며 건축물을 역동적으로 형성한다. reviewed by SJ Situated in an exposed position in Münster close to the Aasee, the office building forms the end of a row of buildings facing the lake. The starting point for the design concept was a provision i..
1899년도에 건립된 인더스트리얼 빌딩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1980년대에 화재로 인하여 멈추어버린 공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는 작업으로 사무실, 예술가 스튜디오, 전시장, 음악 및 이미지 스튜디오, 극장, 유치원이 새롭게 계획된다. 이와같이 기존 공간 속으로 삽입된 새로운 공간들은 하늘로 열린 대형 천장 그리고 몇개층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보이드 스페이스를 통하여 빛과 함께 열린 공간으로 연속된다. reviewed by SJ Space Group completed the refurbishment of the former industrial building designed by architects Ove Ekman and Einar Smith and erected from 1896 to 1899. In..
The housing association, l‘Office 64 de l‘Habitat has built a new company headquarter in Bayonne in southern France. The fact that the building is an ecological example is proudly presented for visitors to see. Green architecture is not merely a theme or topic it is taken literally. Indeed, the slender block of office accommodation, clad in a green ALUCOBOND® façade, looks like a greenhouse than..
헤이그시의 새로운 명물로 자리 잡은 오피스 빌딩은 백조를 모티브로 하여 건축적 언어로 디자인한 헤이그 랜드마크 타워이다. 기존에 고속도로를 사이로 건너편에 위치한 TNT빌딩의 모던하며 슬림한 형상과는 달리 역동적이며 우아한 선형이 잘 살아 있는 파사드로 스틸과 글래스를 이용 구축된다. 이러한 드라마틱한 형상은 대지가 갖고 있는 환경에서 기인한다. 저밀도 주거지역, 교통량이 많은 고속도로 교차로에 위치한 대지의 특성상 분절된 도시공간 구조를 갖게 되는데, 여기서 빌딩은 자신의 한부분을 도시에 내어줌으로써 단절된 도시가로환경을 연결하는 숙명을 해결하게 된다. 그리하여 지면으로 부터 12미터 들려진 필로티 구조물은 헤이그시의 새로운 캐릭터 백조를 연상시키는 빌딩의 단초를 제공한다. 이렇게 시작된 수직방향의 디..
암스테르담 싱켈지역 가장자리, 강가에 면한 삼각형 대지위에 위치한 TBWA 오피스 빌딩은 대지가 갖고 있는 시간을 흔적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건축적 언어로 재구성되는 산업지역의 흔적은 가로로 긴 코르텐 스틸 파사드로, 현재의 공간은 가로로 연속되는 수평 띠창으로 구분되며 구현된다. 과거, 현재의 수평켜로 구분된 파사드 디자인은 이웃한 건축물의 스팬드럴을 참조로, 도시 건축과 동기화 하며 두드러지지 않는 모습으로 도시 속으로 사라진다. -수평 창보다 외부로 더 나아가 있는 코르텐 스틸 부분은 해당층의 발코니로 사용되는 동시에 하부층의 쉐이딩을 해주는 차양역활을 동시에 수행한다.- reviewed by SJ The offices of TBWA are situated at the edge of the..
일본 건축가 시게루 반의 최근작 스위스 미디어 컴패니, 타미디어 본사 프로젝트는 우드팀버를 이용, 구조화한 독특한 방식으로 구조에 대한 많은 이야기 꺼리를 생성한다. 이번 프로젝트에 적용된 구조방식은 이전 일반적인 가구식구조와는 사뭇 다른 결구 방식으로 일본 장인들의 디테일과 CNC밀링 머신의 정확한 가공으로 완성된다. 접합을 위해 기둥과 보에 뚫어 놓은 홀에 빔이 관통하여 이들 부재를 연결한다. 여기서 빔은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연결재 이자 세컨더리 구조부재로 하중을 다시 분산 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완성된 구조 프레임은 건축물을 지탱하는 구조의 역활은 물론 외부를 감싼 투명한 글래스 파사드를 통하여 적나라하게 외부로 드러나는 디자인 요소로 정의된다. 이전 시게루 반 작업의 연장선 상에 위치..